[[분류:세계무역센터]][[분류:사무용 건물]][[분류:미국의 없어진 건축물]][[분류:높이 400m 이상의 마천루]][[분류:1970년 건설]][[분류:2001년 해체]]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존하는 빌딩, rd1=제2세계무역센터)] [include(틀:구 세계무역센터 목록)] |||| [[파일:external/pbs.twimg.com/CsFG3d8XEAAOBoJ.jpg|width=300]] 우측 안테나가 없는 빌딩이 2WTC이다. || || '''명칭''' || '''제2 세계무역센터''' ('''2 World Trade Center''', 2WTC) || || '''높이''' || 415.1m/1362ft (지붕) || || '''층수''' || 지상 110층/지하 6층 || || '''착공''' || 1969년 1월 || || '''완공''' || 1971년 7월 19일 || || '''입주''' || 1972년 1월 || || '''개장''' || 1973년 4월 4일 || || '''붕괴''' || [[2001년]] [[9월 11일]] ('''[[9.11 테러]]''') || || '''소유주''' || [[뉴욕 뉴저지 항만청]] (1970~2001)[br]실버스타인 컴퍼니 (2001) || [[파일:external/911review.org/WTC7_View02.gif]] 사진에서 아래쪽 WTC 2라 적힌 곳이 바로 제2 세계무역센터(남쪽 타워) 이다. [목차] == 개요 == [[1973년]]에 개장한 [[세계무역센터]]의 제2동. 1번 타워와 함께 대표적인 건물이었다. 비슷한 형태와 높이를 가진 [[제1 세계무역센터(붕괴 이전)|제1 세계무역센터]]가 가까운 곳에 있었다. 제2 세계무역센터 건물은 위치상 남쪽에 있다하여 남쪽 타워라 불리기도 했다. 2001년의 [[9.11 테러]]로 인해 파괴되어 사라졌다. [[파일:c79c4bb34554b5b7ddba2f732f689c0e.jpg]] 7WTC 옆 West Broadway에서 바라본 2WTC == 구조 == === 기본적인 구조 === [youtube(Wkm0vm6_oTo)] 2WTC는 [[제1 세계무역센터(붕괴 이전)|1WTC]]와 마찬가지로 건물 중심부의 하중을 주로 지탱하는 [[철골]]로 만들어진 [[코어]]와 건물 전체의 하중을 지탱하는 외부의 촘촘한 [[기둥]]들이 건물의 주요 구조체의 역할을 하는 튜브 프레임 구조로 설계되었는데, 이는 1960년대 설계당시 고층건물로써는 최초로 적용되는 획기적인 구조였다. 이러한 설계 방식으로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같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사용하는 [[마천루]]보다 내부 기둥을 더 적게 사용하여 더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다. 전술했듯 이러한 구조는 공간 활용이라는 큰 장점이 있었지만, [[유나이티드 항공 175편]]의 충돌로 인해 발생한 구조적 손상은 매우 치명적인 결과를 불러오게 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세계무역센터 붕괴]] 문서 참조. === 엘리베이터 구조 === [[파일:Floor_Plan.png]] 튜브 프레임 구조라는 특이한 구조에 걸맞게, 쌍둥이 빌딩에는 50~60년대 설계로서는 특이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적용되었다. 위의 사진에서 SkyLobby라 쓰여져 있는곳이 바로 스카이 로비이다. 스카이 로비는 44층, 78층에 있었으며 사이에 있는 ZONE 1은 9~40층, ZONE 2는 43~74층, ZONE 3는 77~107층이고 각 ZONE 안에 4개의 엘리베이터 띠들은 BANK라 부르며 A, B, C, D로 나뉘었다. ZONE 1은 로비에서 바로 로컬 엘리베이터를 타면 된다. * BANK A: 9~16층 운행 * BANK B: 17~24층 운행 * BANK C: 25~32층 운행 * BANK D: 32층~40층 운행 ZONE 2는 익스프레스 엘리베이터로 44층 스카이로비까지 간 다음에 각 BANK의 로컬 엘리베이터를 타면 된다. * BANK A: 44~54층 운행[* 바로 아래에 있는 43층은 엘리베이터가 운행하지 않는다. 대신에 스카이로비인 44층과 2개의 에스칼레이터로 연결되어 있다.] * BANK B: 55~60층 운행 * BANK C: 60~67층 운행 * BANK D: 67~74층 운행 ZONE 3는 익스프레스 엘리베이터로 78층 스카이로비까지 간 다음에 각 BANK의 로컬 엘리베이터를 타면 된다. * BANK A: 78~86층 운행[* 바로 아래에 있는 77층은 엘리베이터가 운행하지 않는다. 대신에 스카이로비인 78층과 2개의 에스칼레이터로 연결되어 있다.] * BANK B: 87~93층 운행 * BANK C: 94~100층 운행 * BANK D: 101~107층 운행 예를 들어, 사무실이 88층(ZONE 3, BANK B)에 위치해있으면 78층 스카이로비까지 가는 익스프레스 엘리베이터를 탄 후, 88층까지 서비스하는 BANK B 로컬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서 올라가면 되는 식. 이 기술 덕분에 상층부 부분에서 하층부 로컬 엘리베이터가 사라진 공간만큼 늘어난 사용가능 면적은 사무실로 이용됐다. 또한 44층, 78층의 '스카이 로비' 도 중앙 부분에서만 엘리베이터 환승층 역할을 했으며, 가장자리의 남는 공간은 다른 층과 마찬가지로 사무실로 이용되었다. === 계단 구조 === [[파일:WTC Stair.jpg]] 쌍둥이 빌딩의 [[계단]] 역시 1950~60년대 설계로서는 독특한 방법으로 지어졌다. 통상적 형태인 1자형으로 만들지 않고 [[화재]]같은 상황이 발생했을 때 연기 확산을 막기 위해 계단의 위치가 여러 번 바뀌도록 설계된 것. 건물에는 총 3개의 계단이 있었으며, 이 중 바깥쪽에 있는 A, C 계단은 총 4번[* 42층, 48층, 76층, 82층]이나 계단의 위치가 바뀌었고 건물 코어(중앙)쪽에 있는 B 계단은 1번[* 76층]만 변경되었다. 여담으로 제2 세계무역센터 피격 당시 비행기가 77~85층 "동쪽" 부분에 충돌했을 때, 서쪽에 있는 A계단은 위에 사진에서 나온 것 처럼 76층에서 코어(중앙)에서 바깥으로 위치가 바뀌도록 설계되어서 테러 당시 유일하게 남아있는 계단이 되었다.[* 이 덕분에 충돌부 상층부에서도 18명의 생존자가 나왔다. 다만 항공유로 인한 화재로 인해 연기가 금세 확산되어 실질적인 대피는 힘들었다.] == 기능 == === 전망대: 탑 오브 더 월드 === [youtube(XQiqoI0QNwg)] [[https://youtu.be/JZSRCtn5o_A|5월 29일에 촬영한 전망대 영상]] [[구세계무역센터|세계무역센터]] 내에서 관광 파트를 담당했다. [[제1 세계무역센터(붕괴 이전)|제1 세계무역센터]]가 사무용 및 레스토랑으로 쓰였던 것과는 달리, 이곳은 관광객들을 위한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2WTC 옥상에는 안테나가 없었고, 대신 헬리포트가 있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WTC_South_Tower_entrance.jpg]] 전망대의 위엄. 창문 안에 있는 사람들 모두 '''전망대로 가기 위해 기다리는 사람들이다!''' ~~절대 직원들이 아니다~~ 얼마나 인기가 많았냐 하면, 과거 1년에 평균 약 180만 명 정도로, 개장 시기인 1975년 12월부터 붕괴 전날인 2001년 9월 10일까지 약 4,635만 명의 방문객들이 이곳을 찾아왔다. 전망대는 내부(107층)과 외부(옥상) 전망대로 이루어져 있었다. 내부 전망대는 연중무휴 상시 개관이었지만, 외부 전망대는 비나 눈이 오는 경우에는 폐쇄되었다. [[파일:external/static.flickr.com/247600522_e66ee53446_o.jpg]] 내부 전망대. 107층에 위치했으며, 날씨가 좋으면 가시거리가 50마일(80km)에 달했다고 한다. 또한 지하철 역사 내부를 테마로 인테리어한 푸드코트와 센트럴 파크를 테마로 인테리어한 식사 및 휴게 공간이 있었다.[* 다만 현재 새로 지어진 [[제1 세계무역센터]]의 100~102층에 위치한 전망대는 과거 탑 오브 더 월드보다는 북쪽 타워의 106~107층에 위치했던 레스토랑 [[윈도우즈 온 더 월드]]의 테마를 계승한 듯한 느낌을 연상시키는 디자인이다.~~마침 레스토랑도 같이있고~~] [[파일:external/onthesetofnewyork.com/homealone2_08.jpg]] 외부 전망대. 사진은 [[나 홀로 집에 2]]에서 케빈이 [[뉴욕]] 전망을 관람하는 씬. 붕괴되기 전까지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의 전망대는 세계무역센터 전망대에 밀렸었다고 한다.[* 왜 세계무역센터 전망대가 원탑이었냐면, 이유는 간단하다. 당시 탑 오브 더 월드는 뉴욕에서 가장 높았고, 가리는 게 별로 없었으니까. 게다가 바깥 공기도 마음껏 쐴 수 있기도 하고. 통유리로 막혀있던 [[록펠러 센터]] 전망대나 창살로 막혀있는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전망대가 버틸 수가 없는 건 당연지사. 다만 이제는 록펠러 센터 전망대에도 옥상 전망대가 생겼다.] [[파일:external/earth.overyourhead.co.uk/wtc3.jpg]] 전망대 티켓. 사진의 티켓 디자인은 [[2001년]] 7월부터 [[9.11 테러]] 당일까지 쓰였다. 이는 2001년 7월 WTC 전체가 실버스타인 프로퍼티에 인수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 회사는 1980년 제7 세계무역센터를 건설했는데 2001년엔 아예 뉴욕 뉴저지 항만청과 99년간 세계무역센터 단지의 임대계약을 맺는다. --그리고 2달 후 붕괴되었다.(...)-- 보험사와의 기나긴 소송 끝에 2007년 45억 달러를 받았다. 이는 예상보다는 적은 금액. 이 회사는 새로 건설된 세계무역센터 소유사이기도 하다. === 입주 기업 === * [[9.11 테러]] 당시 항공기 동체에 피격된 부분에 '''{{{#ff0000 빨간색 바탕}}}'''으로 표기. * 9.11 테러 당시 항공기 날개에 피격된 부분에 '''{{{#fe6b02 주황색 바탕}}}'''으로 표기. * 9.11 테러 당시 항공기 날개에 간접 피격된 부분에 '''{{{#ffff31 노란색 바탕}}}'''으로 표기. * 9.11 테러 당시 피격으로 인해 고립된 부분에 '''{{{#aaaaaa 회색 바탕}}}'''으로 표기. * 입주 된 기업 중 한국 기업이 입주한 층수인 경우 '''{{{#00ffff 하늘색 바탕}}}'''으로 표기. * 각주 및 기업명에서 한국 기업인 경우에는 '''굵은 글씨'''로 표기. || 층수 || 입주기업 || ||<:>옥상 ||<:><#aaaaaa>옥상 전망대[* 참고로 2번 타워는 충돌 당시 코어에 빗맞은 덕에 계단 3개 중 '''1개'''는 온전하게 남아있었던 덕에 '''충돌지역 위에서도''' 생존자가 나왔다.]|| ||<:>110층 ||<|3><:><#aaaaaa>기계실|| ||<:>109층 || ||<:>108층 || ||<:>107층 ||<:><#aaaaaa>탑 오브 더 월드 전망대[br][[코닥]]|| ||<:>106층 ||<:><#aaaaaa>아틀란틱 은행[*K 은행][* 이 회사는 테러 직전인 2001년 7월에 나갔지만 임대료를 계속 지불하였기에 있는 것으로 표기.]|| ||<:>105층 ||<:><#aaaaaa>에이온[*D 보험회사][* 한때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스폰서로써 선수 유니폼 앞에 이 회사 로고가 표기된 바 있다.][* [[9.11 테러]] 당시 105층에서 근무하던 Kevin Cosgrove가 911에 구조요청을 했었는데 [[https://youtu.be/sAyF8KmXORw|당시 구조요청 통화기록]]이 유튜브에 남아있기 때문에 들어볼 수 있다. 다만 영상 마지막에 '''타워가 붕괴됨과 동시에 비명이 들리며 통화가 종료되기 때문에 시청에 주의해야한다.'''] || ||<:>104층 ||<:><#aaaaaa>에이온[*D][br]샌들러 오닐&파트너스[* 사고 당시 남쪽 타워에서 근무하던 83명 중 17명 생존. 투자은행으로 2019년에 파이퍼제프리에 인수합병되어 현재는 파이퍼샌들러로 바뀌었다. ]|| ||<:>103층 ||<|6><:><#aaaaaa>에이온[*D]|| ||<:>102층 || ||<:>101층 || ||<:>100층 || ||<:>99층 || ||<:>98층 || ||<:>97층 ||<|4><:><#aaaaaa>Firduciary Trust[*B 금융 서비스]|| ||<:>96층 || ||<:>95층 || ||<:>94층 || ||<:>93층 ||<:><#aaaaaa>에이온[*D][br]리저스 비즈니스 센터[*P 시설관리]|| ||<:>92층 ||<:><#aaaaaa>에이온[*D]|| ||<:>91층 ||<:><#aaaaaa>깁스와 힐[br][[레이시온]][* 레이더, 미사일 등을 생산하는 방위산업체][br]워싱턴 그룹 인터내셔널|| ||<:>90층 ||<:><#aaaaaa>Firduciary Trust[*B]|| ||<:>89층 ||<|2><:><#aaaaaa>KBW(키프 부르옛&우즈)[*A 투자산업]|| ||<:>88층 || ||<:>87층 ||<:><#aaaaaa>뉴욕 재무부|| ||<:>85층 ||<:><#ffff31>해리스 비치[br]KBW(키프 부르옛&우즈)[*A]|| ||<:>84층 ||<:><#f26b02>유로 브로커스[*i 금융]|| ||<:>83층 ||<:><#f26b02>IQ 금융 시스템[*i][br]주오 미쓰이 신탁 은행|| ||<:>82층 ||<|4><:><#ff0000>[[미즈호 은행|후지 은행]][*K]|| ||<:>81층 || ||<:>80층 || ||<:>79층 || ||<:>78층||<:><#f26b02>'''스카이로비'''[* 하필이면 스카이로비가 있는 78층에 '''항공기 날개가 충돌하는 바람에''' 78층에 있던 대다수가 목숨을 잃었다.][br]우선 상업 은행[br]페이스라인 금융 서비스|| ||<:>77층 ||<:><#ffff31>페이스라인 금융 서비스[* 비행기 날개에 피격되었음에도 끄트머리에 피격된 덕분에 생각보다 온전한 층이였다. 때문에 77층에 있다가 생존한 직원의 후기도 있다. [[https://www.quora.com/profile/Jonathan-Weinberg|#]] 후기에 따르면 더 많은 피격을 받은 바로 윗층인 78층에서도 생존자가 있었던 모양.]|| ||<:>76층 ||<|2><:>기계실|| ||<:>75층 || ||<:>74층 ||<|16><:>[[모건스탠리]][*A]|| ||<:>73층 || ||<:>72층 || ||<:>71층 || ||<:>70층 || ||<:>69층 || ||<:>68층 || ||<:>67층 || ||<:>66층 || ||<:>65층 || ||<:>64층 || ||<:>63층 || ||<:>62층 || ||<:>61층 || ||<:>60층 || ||<:>59층 || ||<:>58층 ||<|2><:>브리지 정보 시스템[*J 금융정보]|| ||<:>57층 || ||<:>56층 ||<:>모건 스탠리[*A]|| ||<:>55층 ||<:>가이 카펜터[* 가이 카펜터는 테러 이후에 마쉬 맥레넌 컴퍼니즈(1번 타워 테러 당시 '''비행기와 충돌한 층'''에 있던 바로 그 기업.)에 통합되었다. ][*H 재보험회사][br]갈반 인터캐피탈|| ||<:>54층 ||<|5><:>가이 카펜터[*H]|| ||<:>53층 || ||<:>52층 || ||<:>51층 || ||<:>50층 || ||<:>49층 ||<:>가이 카펜터[*H][br]세뷰리 & 스미스|| ||<:>48층 ||<:>가이 카펜터[*H][br]파이어맨 펀드|| ||<:>47층 ||<:>가이 카펜터[*H]|| ||<:>46층 ||<|2><:>모건 스탠리[*A]|| ||<:>45층 || ||<:>44층 ||<:>'''스카이로비'''[br]모건 스탠리[*A]|| ||<:>43층 ||<:>모건 스탠리[*A]|| ||<:>42층 ||<|2><:>기계실|| ||<:>41층 || ||<:>40층 ||<:>대처 프로핏 & 우드[*C [[로펌]]][br]사타이론 국제 미국|| ||<:>39층 ||<|2><:>대처 프로핏 & 우드[*C]|| ||<:>38층 || ||<:>37층 ||테러 당일까지 입주 기업이 없었다. || ||<:>36층 ||<:>프렝켈과 컴퍼니[*E 금융회사] || ||<:>35층 ||<:>ABM AMRO[br]프렝켈과 컴퍼니[*E] || ||<:>34층 ||<|4><:>오펜하이머 펀드[*E] || ||<:>33층 || ||<:>32층 || ||<:>31층 || ||<:>30층 ||<|2><:>뉴욕 증권거래소[*Q 증권] 등 2개 기업 입주|| ||<:>29층 || ||<:>28층 ||<:>뉴욕 증권거래소[*Q] [br]빅 여행사 [br] 후아힌 할머니 상업 은행 주식회사 [br] 요셉 베랄드의 법률 사무소|| ||<:>27층 ||<:>테러 당일까지 입주기업이 없었다.|| ||<:>26층 ||<|2><:>[[썬 마이크로시스템즈]]|| ||<:>25층 || ||<:>24층 ||<:>7개 기업 입주[* 올 스테이트, 중국 상공 회의소, 12월 먼저 프로덕션, 글로브 투어 및 여행, SCOR 미국 공사, 시노리온, TD 워터 하우스 그룹].|| ||<:>23층 ||<:>SCOR 미국 공사[br]미국의 유니스트라트 공사|| ||<:>22층 ||<:>안탈 인터내셔널[br]만치니 더피[br]시노쳄 미국 홀딩스[br]워싱턴 뮤추얼|| ||<:>21층 ||<:>아데코 SA[br]경력 엔진[br]차로 엔 폭 팬드 미국[br]만치니 더피|| ||<:>20층 ||<:>타쳐 프로피트 목재[br]LLP, 뉴욕 배송 협회|| ||<:>19층 ||<:>뉴욕 배송 협회[br]물가협의회|| ||<:>18층 ||<:>13개 기업 입주[* 얼라이언스 컨설팅, 카 세르 타 및 회사, 첸, 린, 리, 그리고 장쩌민, 인테라 그룹, 소나무 투자, 전문 지원 및 컨설팅, 쇼 타임 사진, 웨일 랜드 국제, 아 바드, 카스와 말론가]|| ||<:>17층 ||<:>뉴욕 금융 연구소|| ||<:>16층 ||<:>국가발전연구원|| ||<:>15층 ||<:><#00ffff>전체 7개 기업 입주[*L 칸 디아 배송, 제임스 T. 래트너의 법률 사무소, 존 J. 맥물렌 & 어소 시에이, 존 W. 루프버러우 어소 시에이, 만치니 더피, '''[[유안타증권|동양증권]]''']|| ||<:>14층 ||<:>캘리포니아 뱅크 연합[br]차르나 화학[br]페이징 네트워크[br]패틴카 국제|| ||<:>13층 ||<:>테러 당일까지 입주기업이 없었다.|| ||<:>12층 ||<:>유로브로커[br][[버라이즌|버라이즌 커뮤니케이션스]][*M 전기통신]|| ||<:>11층 ||<|3><:>버라이즌 커뮤니케이션스[*M]|| ||<:>10층 || ||<:>9층 || ||<:>8층 ||<|2><:>기계실|| ||<:>7층 || ||<:>로비(2층)[* Mazzanine Floor, 광장 층] ||<:>로비|| ||<:>로비(1층)[* Street Floor, 스트리트 층] ||<:>로비[br]컬레텍 [[코닥]] 이미지 센터 || ||<:>지하 1층 ||<:>니콜스 파운데이션[* 국립]|| ||<:>지하 2층 ||<:>제록스[* 제조업체]|| 당시 1, 2번 타워 입주 기업 중 최다 입주 기업이 투자산업 [[모건스탠리]]였다.[* 이 기업의 당시 안전 책임자였던 [[릭 레스콜라]]라는 사람이 테러를 수년 전에 예측, 분기마다 안전훈련을 실시해온 덕에 모건스탠리 직원 2700명 중 사망자는 '''단 10명'''에 불과했다. 안타깝게도 이분은 마지막 피해자들을 구하려고 건물에 다시 들어갔다가 사망.][* 모건스탠리의 본사는 브로드웨이에 있지만 여기에서 거의 본사 수준으로 사무실을 임대하고 있었는데, 이유는 원래 이 사무실들이 지난 1997년 모건스탠리와 합병한 딘위터 레이놀즈 사의 본사였기 때문이다. 이 회사는 한때 시어스 그룹 소유였으며 [[디스커버]] 카드를 갖고 있던, 96년 당시 미국 3위 규모의 대형 증권사였다.] 사무실 규모가 무려 세계무역센터 전체의 1/10에 달했다. == 사건/사고 == === [[세계무역센터 폭탄 테러사건]] === [[세계무역센터 폭탄 테러사건]] 문서 참고. === [[9.11 테러]] === '''[[2001년]] [[9월 11일]] [[9.11 테러]]로 붕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