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제2군수지원사령부 후신(後身), rd1=제5군수지원여단, other2=제2군수지원여단, rd2=제2군수지원여단)] [include(틀:해체된 대한민국 육군 사령부)] ||<-7><:> '''{{{#fff {{{+1 제2군수지원사령부}}}}}}'''[br]'''{{{#ffffff 第2軍需支援司令部}}}'''[br]'''{{{#ffffff The 2st Logistic Support Command}}}''' || ||<-7><:>[[파일:external/bm.gametree.co.kr/gpictnff.jpg|width=300]] || ||<-7><:> '''{{{#fff }}}''' || ||<:> '''{{{#fff 창설일}}}''' ||<-6><(> [[1966년]] [[6월 1일]](제105행정지원사령부)[br][[1971년]] [[1월 1일]]('''제2군수지원사령부''') || ||<:> '''{{{#fff 해체일}}}''' ||<-6><(> [[2018년]] [[12월 31일]][* 해체 후 [[제5군수지원여단]]으로 재창설] || ||<:> '''[[상징명칭|{{{#fff 상징명칭}}}]]''' ||<-6><(> '''천보산부대''' || ||<:> '''{{{#fff 소속}}}''' ||<-6><(> [[대한민국 육군]] || ||<:> '''{{{#fff 상급부대}}}''' ||<-6><(> [[제3야전군사령부]] || ||<:> '''{{{#fff 종류}}}''' ||<-6><(> [[기능사령부]] || ||<:> '''{{{#fff 규모}}}''' ||<-6><(> [[사단(군대)|사단]] || ||<:> '''{{{#fff 역할}}}''' ||<-6><(> 3야전군 예하 부대 군수지원 || ||<:> '''{{{#fff 초대 사령관}}}''' ||<-6><(> 예) [[소장(계급)|소장]] 000(0사 00기) || ||<:> '''{{{#fff 해체 전 사령관}}}''' ||<-6><(> [[대령]] 김용석(육사 46기) || ||<:> '''{{{#fff 위치}}}''' ||<-6><(> [[경기도]] [[의정부시]] [[금오동]]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의정부시 금오동,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의정부시]] [[금오동]]을 근거지로 했던 [[대한민국 육군]] [[제3야전군사령부]] 소속 [[군수|군수지원]][[사령부]]였다. 별칭은 '''천보산부대'''. [[1966년]] '''제105행정지원사령부'''로 창설되었으며 [[1971년]] '''제2군수지원사령부'''로 개편되었지만 [[2018년]] [[12월 31일]] 해체되었다. == 상세 == 사령부 본부는 [[경기도]] [[의정부시]] [[금오동]]에 있었으며 예하 대대들은 [[포천시]]와 [[철원군]] 등에 주둔했었다. 사령관은 [[소장(계급)|소장]] 또는 [[준장]]이었다. [[제3야전군사령부]]의 [[직할부대]]로 [[제5군단]], [[제6군단]], [[제7기동군단]] 및 예하의 부대를 지원했다. [[2018년]] 12월 31일 [[제3야전군사령부]] 예하 제2군수지원사령부가 해체되고 5군단을 직접 지원하는 [[지상작전사령부]] 소속 [[제5군단|5군단]] 예하 '''제5군수지원여단'''으로 [[2019년]] 1월 1일 개편되었다. 제6, 7군단의 지원임무는 [[제1군수지원사령부|1군지사]]에 새로 창설되는 [[제6군수지원단|제6]], [[제7군수지원단|7군수지원단]]으로 넘어갔다. == 예하부대 == 제2군수지원사령부 예하 부대는 당시 기준으로 사령부 직속인 본부근무대와 통신중대 및 85정비대대, 86정비대대, 95정비대대, 96정비대대, 15보급대대, 16보급대대, 55탄약대대, 56탄약대대, 57탄약대대, 601수송대대, 605수송대대, 606수송대대, 5급양대대, 6급양대대, 7급양대대, 3M/A, 5M/A가 있었다. === 사령부직할대 === * [[본부근무대]] * [[통신중대]] === 제56탄약대대(현 제55탄약대대) === [[포천시]]에 있으며 본부에는 본부소대, 1중대, 경비중대(0000부대와 0000부대가 몇 개월마다 1개 중대 단위로 번갈아 파견)가 있다. 원래 4중대도 있었으나 나중에 1중대에 통합되었다. 본부중대도 있었으나 1중대에 통합되었다. 통합되기 전에는 본부중대와 4중대는 중대가 다른데도 생활관을 같이 사용하였기 때문에 서로를 같은 부대원으로 인식했다. 원래 본부는 침상을 사용하는 통합막사로 되어있었고 경비중대의 경우 침상을 사용하는 1층 구막사로 따로 위치해있었으나 2012년 말에 신막사가 완공되면서 경비중대 막사가 본부와 통합되었다. 종교행사는 기독교는 대대 내에 있는 교회에서 하며 천주교, 불교 종교행사는 경비중대는 참석이 불가능하며 1중대에서는 군종병과 간부(군무원 포함)의 인솔 하에 지원되는 버스를 이용하여 6군단까지 가서 참석한다. 유일하게 영외로 나갔다 올 수 있는 기회라 계급 낮은순으로 참여율이 높으며, 마일리지도 적립된다. 지금은 모르겠지만 종교 행사에 꾸준히 참여하면 마일리지가 2점씩 부여되었으며, 이를 모아서 말년에 포상휴가를 다녀올 수 있었다. 경비중대의 경우 오전에는 비번자를 제외하고는 취침에 들어가기 때문에 실질적인 일과진행은 오후부터 하게 된다. 여담으로 이 부대에 배우 [[조현재]]가 [[군견병]]으로 복무하다 2010년 중반에 전역하였다. 본부 기준 43번국도변으로 나오게되면 가까운곳이 롯데리아 포천드라이브이며 좌석버스 138시리즈와 일반버스 72번 시리즈가 운행하고 있어 교통에 크게 지장은 없다. 다만 시외버스를 이용할 경우엔 포천행이 송우리를 경유하지 않는경우 그냥 의정부터미널에서 내려서 138번시리즈를 타는것을 추천한다. ==== 2중대 ==== 2중대와 경비중대가 연천에 있다. ==== 3중대 ==== 3중대와 경비중대가 양주에 있다. ==== 4중대 ==== 원래는 4중대 일부 병력과 경비중대가 송우리 근방에 있었고 1125부대가 중대단위로 몇개월단위로 파견을 갔었다. 원래 1125부대를 아예 이곳에 주둔지화하려다가 불발됐다고 알려짐. 현재는 고속도로 공사 등의 이유로 해체되어 1중대와 완전히 통합된것으로 확인 == 출신인물 == === [[사령관]] === ||'''볼드체'''는 [[대장(계급)|대장]] 진급이 된 사령관.|| ||<-6><:> '''{{{#fff 역대 제2군수지원사령관}}}''' || || '''{{{#fff 역대}}}''' || '''{{{#fff 이름}}}''' || '''{{{#fff 계급}}}''' || '''{{{#fff 임관}}}''' || '''{{{#fff 비고}}}''' || '''{{{#fff 기타}}}''' || || 초대 || 000 || 예) [[소장(계급)|소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00기 ||前 [[사령관]] || || || 00대 || 오좌진 || 예) [[준장]] || ||前 [[수도포병여단]]장 || || || 00대 || 장건영 || 예) [[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4기 ||前 [[제205특공여단]]장 || || || 00대 || 조인섭 || 예) [[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5기 ||前 [[사령관]] || || || 00대 || [[https://kookbang.dema.mil.kr/newsWeb/20160405/3/ATCE_CTGR_0010010000/view.do|박화진]] || 예) [[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7기 ||前 [[사령관]] || [[군인공제회]] 산하 공우EnC 대표 || || 00대 || 최수영 || 예) [[준장]] || ||前 [[사령관]] || || || 00대 || 이순동 || 예) [[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9기 ||前 [[사령관]] || || || 26대 || 나익성 || 예) [[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4기 ||前 [[사령관]] || || || 27대 || 문석호 || [[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5기 ||現 [[제66보병사단]]장 || || || 28대 || 김용석 ||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46기 ||前 [[제51군수지원단]]장 ||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후신(後身) 부대인 제5군수지원여단장, rd1=제5군수지원여단)] === 장교/부사관 === * [[전면엽]] [[대령]] 시절 [[참모장]]으로 근무했다. * [[전원책]] 1985년 제2군수지원사령부 법무참모로 근무했다. * [[정희찬(작가)|정희찬]] 2009년 ROTC로 임관해 소대장으로 근무했다. === 병 === * [[윤무부]](조류학자) 1999년 3월 8일 KBS1 에 따르면, 제2의무보급창에서 복무했다고 언급. * [[맛상무]](유튜버) 94군번으로 운전병으로 복무했다. * [[이장우(정치인)|이장우]](정치인) 88군번으로 보급병으로 복무했다. * [[정준환]](배우) 2군지사 시절에 복무한 것으로 추정된다.[[https://www.instagram.com/p/B9ysyQ0pQAM/?igshid=1q7mlkrfoifxf|#]] * [[조현재]](배우) 2군지사 시절 [[군견병]]으로 복무했다. * [[커맨더지코]](BJ) 군 시절을 인증한 사진 속 전투복에 2군지사 마크가 부착되어 있다. 보직은 불명. == 기타 == === 근무환경 === === 사령부가 === >찬란하게 솟구치는 영롱한 기운이 >아세아 동녘 한반도 호국얼이 되었네 >높은기상 넓은포부 가슴으로 안아 >겨레의 이 강산을 지켜 나간다 >빛나는 전통을 이어받아서 날로날로 새로이 >영원하라 내비춰라 영광 제2군지사 1985년 판 >우리들은 조국수호에 충성을 다하는 >제2군지사의 용사 무쇠같은 사나이 >보급 정비 수송에 앞장을 서서 >번영의 이 강산을 지켜나가자. >나가자 힘차게 앞으로 가자 통일의 그날까지 >너와 나는 자랑스런 제2군지사의 용사 == 여담 == * 1999년 3월 8일자 KBS1 에 나온 부대였다.([[https://youtu.be/HmA7eCbLMw0|관련 영상]]) == 관련 문서 == * [[육군군수사령부]] * [[육군탄약지원사령부]] * [[제1군수지원사령부]] * [[제2군수지원사령부]] * [[제3군수지원사령부]] * [[제5군수지원사령부]] * [[제1군수지원여단]] * [[제2군수지원여단]] * [[제3군수지원여단]] * [[제5군수지원여단]]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제5군수지원여단, version=44, paragraph=4.2)] [[분류:사령부]][[분류:해체된 대한민국 육군 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