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해체된 대한민국 육군 사령부)] ||<-7> '''{{{#121D4F {{{+1 제2군관구사령부}}}}}}'''[br]'''{{{#121D4F '''第2軍管區司令部'''}}}'''[br]{{{#121D4F '''The 2nd military district command'''}}} || ||<-7> [[파일:2군관구사령부.png|width=300]] || ||<-7> '''{{{#fff }}}''' || || '''{{{#121D4F 창설일}}}''' ||<-6>[[1954년]] [[12월 22일]][br][[1974년]] [[4월 1일]][* 재창설] || || '''{{{#121D4F 해체일}}}''' ||<-6>[[1960년]] [[1월 14일]][br][[1982년]] [[10월 15일]][* 재해체] || || '''[[상징명칭|{{{#121D4F 상징명칭}}}]]''' ||<-6>'''2관구''' || || '''{{{#121D4F 소속}}}''' ||<-6><(>[[대한민국 육군]] || || '''{{{#121D4F 상급부대}}}''' ||<-6><(>[[제2작전사령부|제2야전군사령부]] || || '''{{{#121D4F 종류}}}''' ||<-6>[[사령부]] || || '''{{{#121D4F 역할}}}''' ||<-6>[[부경권]] 방위 및 경비 || || '''{{{#121D4F 초대 사령관}}}''' ||<-6>예) [[소장(계급)|소장]] 박동균(육사 00기) || || '''{{{#121D4F 해체 전 사령관}}}''' ||<-6>예) [[소장(계급)|소장]] 000(0사 00기) || || '''{{{#121D4F 위치}}}''' ||<-6>[[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부산)|양정동]]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부산광역시 양정 근린공원,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시]]를 근거지로 했던 [[대한민국 육군]] [[제2작전사령부|제2야전군사령부]] 소속 [[군관구사령부]] 였다. == 상세 == [[대한민국 육군]]의 [[부산광역시]] 및 [[경상남도]] 방위 [[군관구사령부]]로 [[1954년]] [[12월 22일]] 창설되었으며 '''2관구'''라 불렸다. 사령부 위치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부산)|양정동]] 일대에 주둔했으며 2야전군(現 [[제2작전사령부]]) 예하 부대였다. 부대기에는 백색원이 있는데, 이것은 단결과 불멸을 상징하는 것으로 그 안에 2관구를 상징하는 표지가 있다. 숫자상단의 청색은 육지를, 숫자하단의 백색은 바다를 상징하는 것이고, 바탕의 오렌지색은 넓은대지(평화)를 상징하는 것이다. [[1960년]] [[1월 14일]] 제2관구사령부는 해체되어 그 다음날 [[육군군수사령부|군수기지사령부]]가 창설되면서, 부산 지역 위수 임무는 군수사령부로 이관되었다. 육군군수사령부 측에서는 제2군관구사령부를 계승했다는 내용을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 [[1974년]] [[4월 1일]] '제2관구사령부'로 재창설하였으나[* 육군군수사령부가 제2관구사령부를 겸하거나, 군수사 영내에 세들어사는 식으로 창설된 것으로 추정.] [[1982년]] [[8월 16일]]에 부산 지역 위수부대인 [[제53보병사단]]이 창설되면서 같은 해 [[10월 15일]]에 다시 해체했다. == 편제 == ||1982.10.15 기준.|| === [[직할부대]] === * [[본부근무대]] === 예하부대 === * [[국군수송사령부|항만사령부]](항만사) * [[제39보병사단]](충무부대) * [[제53보병사단]](충렬부대)[* 부산경비단] * ~~[[제69보병사단]](태풍부대)~~ * [[육군종합군수학교|육군수송학교]](수송교) * [[육군대학]](육대) == 과거부대 == ||1982.10.15 기준.|| == 출신인물 == === [[사령관]] === ||'''볼드체'''는 [[대장(계급)|대장]] 진급이 된 사령관.|| ||<-6><#9D9317><:> '''{{{#121D4F 역대 제2군관구사령관}}}''' || ||<#9D9317> '''{{{#121D4F 역대}}}''' ||<#9D9317> '''{{{#121D4F 이름}}}''' ||<#9D9317> '''{{{#121D4F 계급}}}''' ||<#9D9317> '''{{{#121D4F 임관}}}''' ||<#9D9317> '''{{{#121D4F 비고}}}''' ||<#9D9317> '''{{{#121D4F 기타}}}''' || || 초대 || 박동균 || 예)[[소장(계급)|소장]] || ||前 [[사령관]] || [* 1954년] || || 2대 || [[백남권]] || 예)[[소장(계급)|소장]] || ||前 [[육군사관학교장]] || [* 1955.07~1956.10] || || 3대 || 윤치왕 || 예)[[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00기 ||前 [[사령관]] ||前 [[대한의학협회]]장 [* 1956.12.15~1957] || || 4대 || 최창언 || 예)[[중장]] || [[군사영어학교|군영]] 1기 ||前 [[수도사단]]장 ||前 [[제3군단]]장 [* 1957.05.20~1958.03] || || 5대 || [[민기식]] || 예)[[대장]] || [[군사영어학교|군영]] 1기 ||前 [[제5보병사단]]장 ||前 [[육군참모총장]], [[국회의원]] [* 1958.03~1959.06] || || 6대 || [[안춘생]] || 예)[[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8기 특별1반 ||前 국방부 차관보, 육군사관학교장 ||前 인천제철소 사장, 국회의원, [[광복회|광복회장]] [* 1959.06~10] || || 00대 || || 예)[[소장(계급)|소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00기 ||前 [[사령관]] || || === 장교/부사관 === ||직할부대 출신만 기재 요망.|| === 병 === == 사건사고 == == 여담 == * [[육군군수사령부]]가 [[1974년]]에 [[남구(부산)|남구]] [[대연동]](현 [[대연 힐스테이트 푸르지오]])으로 이전하며 '제2군관구사령부'가 재창설했다. [[분류:군단]][[분류:사령부]][[분류:군관구사령부]][[분류:해체된 대한민국 육군 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