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상징명칭(비룡)이 같은 부대, rd1=비룡부대)] [include(틀:여단)] [include(틀:보병여단)] [include(틀:제51보병사단 예하부대)] ||<-7> '''{{{#00802c {{{+1 제169보병여단}}}}}}'''[br]'''{{{#00802c 第169步兵旅團}}}'''[br]'''{{{#00802c The 169th Infantry Brigade}}}''' || ||<-7> [[파일:육군 제51보병사단_부대마크.svg|width=210]] || ||<-7> '''{{{#00802c }}}''' || || '''{{{#00802c 창설일}}}''' ||<-6><(> [[년|0000년]] [[윌|00월]] [[일|00일]](제169보병연대)[br] [[2020년]] [[12월 1일]]('''제169보병여단''') || || '''[[상징명칭|{{{#00802c 상징명칭}}}]]''' ||<-6><(> '''비룡부대''' || || '''{{{#00802c 소속}}}''' ||<-6><(> [[대한민국 육군]] || || '''{{{#00802c 상급부대}}}''' ||<-6><(> [[제51보병사단]] || || '''{{{#00802c 규모}}}''' ||<-6><(> [[여단]] || || '''{{{#00802c 역할}}}''' ||<-6><(> 평택시와 화성시 남부 지역책임부대, 경기도 서남부 해안경계, 예비군 훈련 및 전력 관리, 사단 예비 기동타격대 운용 || || '''[[여단장|{{{#00802c 여단장}}}]]''' ||<-6><(> [[대령]] 박동일, 육사 56기 || || '''{{{#00802c 위치}}}''' ||<-6><(> [[경기도]] [[평택시]] 밤개울길 139-1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기도 평택시 밤개울길 139-1,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 [[수도군단]] [[제51보병사단]] 예하 '''제169보병여단'''. 별칭은 '''비룡부대'''. == 역사 == 1975년 63훈련단 예하부대로 김포에서 창설되었고 이후에 99여단에 배속되었고 1981년에 현 위치로 이전했다. 원래 명칭은 제169보병연대였으나 [[국방개혁 2.0]] 기본계획에 의거, 상비사단과 지역방위사단이 개편돼 169보병연대 역시 2020년부로 169보병여단으로 격상되었다. == 예하부대 == === 여단직할대 === * '''[[본부중대]]''' * '''[[기동중대]]''' * '''[[통신중대]]''' * '''[[전투지원중대]]''' * '''[[수송정비중대]]''' * '''[[의무중대]]''' === 수송정비중대 (舊 수송대) === 2020년 12월 [[국방개혁 2.0]]으로 인해 [[연대(군대)|연대]]에서 [[여단]]급으로 격상되면서 수송대가 해체되며 [[수송정비중대]]가 창설되었다. === 제1대대 === * 본부중대 * 1중대 * 2중대 * 3중대 * 4중대(화기중대) === 제2대대 해안경계부대 === * 본부중대 * 5중대(해안경계중대) * 6중대 * 7중대 * 8중대(화기중대) 해안경게를 담당하며 화성 이남 경기남부를 관할한다. === 제3대대 === * 본부중대 * 9중대 * 10중대 * 11중대 * 12중대(화기중대) === 평택예비군훈련대 === * 펑택과학화예비군훈련장 연대가 여단으로 승격함과 동시에 부대가 개편되었다. 기존의 4대대가 예비군 훈련대로 변경되었다. 기존 각 대대에서 하던 예비군훈련을 통합하여 전담한다. == 출신인물 == === [[여단장]] === ||'''볼드체'''는 [[대장(계급)|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및 여단장.|| ||<-6> '''{{{#00802c 역대 제169보병여단장}}}''' || || '''{{{#00802c 역대}}}''' || '''{{{#00802c 이름}}}''' || '''{{{#00802c 계급}}}''' || '''{{{#00802c 임관}}}''' || '''{{{#00802c 비고}}}''' || || 24대 || 서창훈 || 예)[[대령]] || [[학생군사교육단|학군]] 23기||前 [[연대장]] || || 25대 || [[김경수(군인)|김경수]] || 예)[[소장(계급)|소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3기 ||前 [[제35보병사단]]장[br]前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참]] 인사부장[br]前 [[국군복지단]]장 || || 26대 || [[김인건]] || 예)[[소장(계급)|소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5기 ||前 [[제51보병사단]]장[br]前 [[육군훈련소]]장[br]前 [[동원전력사령관]] || || 27대 || [[허태근]] || 예)[[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5기 ||前 [[국방부]] 정책기획차장[br]前 [[미8군]] 부사령관[br]現 [[국방부]] 국방정책실장|| || 28대 || 주강식 || [[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7기 ||現 [[제102기갑여단]]장 || || 29대 || 양재운 ||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40기 ||前 [[여단장]] || || 30대 || 추병대 || [[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50기 ||現 [[동원전력사령부]] 참모장 || || 31대 || 이종화 ||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52기 ||前 [[여단장]] || || 32대 || 곽대성 || [[대령]] || [[3사관학교|3사]] 32기 ||前 [[여단장]] || || 개편후 1대 || 곽대성 || [[대령]] || [[3사관학교|3사]] 32기 ||前 [[여단장]] || || 33대, 개편후 2대 || 조재봉 ||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53기 ||前 [[여단장]] || || 34대, 개편후 3대 || 박동일 ||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56기 ||現 [[여단장]] || === 장교/부사관 === === 병 === == 특징 == [[여단장]]은 [[대령]]이며 예하 대대장은 [[중령]]급 지휘관이다. * 지역방위대대 대대장: 1,2,3대대 * 예비군훈련대 대대장: 평택예비군훈련대대 [[경기도]] 남부 일대를 담당한다. 여단본부와 두 개의 예하 대대 및 예비군훈련대가 한창 짓고 있는 [[고덕신도시]]의 한가운데 위치하고 있다. === 근무환경 === 2010년대 초에는 연대 본부 및 예하 대대의 병사들은 당직부관의 인솔 하에 [[제2함대(대한민국 해군)|2함대사령부]]의 성당 및 법당에서 해군과 함께 미사, 예불에 참가했다. 종교시설에서 점심을 주는데, 소위 말하는 사제밥이어서 무척 질이 좋다. 그리고 자유시간이 생기는 순간, 사령부의 이름에 걸맞는 다양한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었다. 이를테면 육군의 일개 대대에 있을 수 없는, [[GS25]] 편의점, 패스트푸드점, 빵집 등이 있었다. 예하 여단 및 대대는 대도시 지역의 [[예비군]] 교육 임무에 투입되고 각 여단에서 1개 대대별로 [[해안경계]] 임무[* [[GOP]]와 비슷하다. 실제로 격오지 취급을 받는다.]를 부여받고 있다. 예비군 조교로 근무하는 병사들은 전방의 상비사단보단 적은 인원으로[* 해안경계대대가 평시에도 초과 편제를 요구하기 때문에 예비군 대대의 인력 수급 순위가 낮다.] 물자 정리 및 예비군으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로 인해 정신적으로 피곤하다는 평이며 또한 절대로 훈련소나 신병교육대 조교처럼 절대 예비군 조교만 하는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전투부대처럼 똑같이 현역들의 훈련도 병행한다. === 여단가 === == 여담 == * 2018년부터 [[공군작전사령부]]에서 불교와 천주교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 2003년에 우정면이 [[우정읍]]으로 승격했다. 우정읍민의 날은 이를 기념하는 행사인데, [[http://www.newswin.kr/news/articleView.html?idxno=7174|제8회 우정읍민의 날 행사]]에 군인들이 보조자로서 동원되었다. * 연대 내에 교회는 있지만 성당 및 절이 없다보니 천주교와 불교 행사는 영외의 종교시설에서 하는데, 2005년 ~ 2008년에는 천주교 종교행사는 인근에 위치한 [[천주교 수원교구]] 서정동 성당에서 진행했다. 미사가 끝나면 성당 식당에서 성당관계자 분들이 삼겹살,냉면, 삼계탕 등을 대접해주셨다. 관계자 분들이 공석인 날엔 중국요리로 대체하기도 했다. 그리고 불교 종교행사는 K-55, 즉 미 공군기지에서 실시했다. * 20년대 후반 즈음에 이곳에 아파트가 생긴다는 점에서, 그 즈음에 부대가 이전하거나 혹은 아예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분류:대한민국 육군]][[분류:제51보병사단]][[분류: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