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상징명칭(용호)이 같은 부대, rd1=용호부대)] [include(틀:여단)] [include(틀:보병여단)] [include(틀:제39보병사단 예하부대)] ||<-7> '''{{{#fff {{{+1 제118보병여단}}}}}}'''[br]'''{{{#fff 第118步兵旅團}}}'''[br]'''{{{#fff The 118th Infantry Brigade}}}''' || ||<-7> [[파일:제39보병사단 부대마크.svg|width=300]] || ||<-7> '''{{{#fff }}}''' || || '''{{{#fff 창설일}}}''' ||<-6>[[년|0000년]] [[월|00월]] [[일|00일]](제118보병연대)[br][[2020년]] [[12월 1일]]('''제118보병여단''') || || '''[[상징명칭|{{{#fff 상징명칭}}}]]''' ||<-6>'''용호부대''' || || '''{{{#fff 소속}}}''' ||<-6>[[파일:대한민국 육군기.svg|width=30]] [[대한민국 육군]] || || '''{{{#fff 상급부대}}}''' ||<-6>[[파일:제39보병사단 부대마크.svg|width=28]] [[제39보병사단]] || || '''{{{#fff 규모}}}''' ||<-6>[[여단]] || || '''{{{#fff 역할}}}''' ||<-6>[[경상남도]] 서부권 방위 || || '''[[여단장|{{{#fff 여단장}}}]]''' ||<-6>[[대령|[[파일:대령 계급장.svg|width=30]]]] [[대령]] 황주봉 ([[학군사관|학군]] 36기[* [[조선대학교]]]) || || '''{{{#fff 위치}}}''' ||<-6>[[경상남도]] [[진주시]]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진주시,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 [[제2작전사령부]] [[제39보병사단]] 예하 '''제118보병여단'''. 별칭은 '''용호부대'''. == 상세 == [[여단장]]은 [[대령]]이며 예하 대대장은 [[중령]]급 지휘관이다. 예하의 여단으로 총 4개 대대가 존재한다. 진주시, 남해군, 함양군, 산청군, 사천시, 하동군, 거창군 담당. 원래 명칭은 제118보병연대였으나 [[국방개혁 2.0]] 기본계획에 의거, 상비사단과 지역방위사단이 개편돼 118보병연대 역시 2020년부로 118보병여단으로 격상되었다. 일부대대는 해안경계임무를 맡고 있다. == 예하부대 == === 여단직할대 === * '''[[본부중대]]''' * '''[[기동중대]]''' === 군수지원대대 (舊 수송대) === 2020년 12월 [[국방개혁 2.0]]으로 인해 [[연대(군대)|연대]]에서 [[여단]]급으로 격상되면서 수송대가 해체되며 [[군수지원대대]]가 창설되었다. === 제1대대 진주 === 예비군을 관리하는 예비군 관리대대다. 주로 예비군 관리와 예비군 훈련장을 정비한다. 부대가 부대인 만큼 대대 인원이 적다. === 제 2대대 남해 === 인원이 제일 많은 해안경계대대. 이전에는 해안쪽에 있었으나 2007년쯤 그 근처 산골짜기로 이전되었다. 2022년 12월 부로 2대대는 사실상 해체되어 14해안감시대대로 개편되었다. 기존의 2대대 인원들은 각각 다른 대대로 흩어졌다. 다만 원래부터 해안경계작전을 주로 담당하던 독립중대인 5중대와 TOD 중대는 14해안감시대대로 소속되었다. === 제3대대 함양,산청 === 진주와 마찬가지로 예비군을 관리하는 예비군 관리대대다. 주로 예비군 관리와 예비군 훈련이 주과업이므로 예비군 훈련장(함양, 산청)을 정비한다. 중대별로 함양, 산청을 나누어 예비군 훈련과 훈련장 정비를 관리한다. === 제4대대 사천 === 바닷가. 해안경계부대(13중대)는 독립중대이며 대대본부(본부중대 11 12 14중대)와 차로 10분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대대본부에서는 해안경계작전은 안하지만 5분대기조 시스템을 이용해 마이티를 타고 해안취약지 순찰을 한다. 2022년 12월부로 4대대는 해체되어 대대본부는 1대대, 독립해안경계중대인 13중대는 2대대와 합쳐질 예정. === 제5대대 하동 === 하동군 금남면에 위치하고 있다. 2022년 12월부로 하동-남해대대로 명칭이 바뀌었다. 때문에 위수지역 또한 기존의 하동군에서 남해읍까지 확장되었다. === 제6대대 거창 === 거창군 거창읍 가지리에 위치하고 있다. 주업무는 예비군 훈련과 훈련장 관리이며 해안대대와 다르게 경계근무는 부대내에서만 하고 있다. == 출신인물 == === [[여단장]] === ||'''볼드체'''는 [[대장(계급)|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및 여단장.|| ||<-6> '''{{{#fff 역대 제118보병여단장}}}''' || || '''{{{#fff 역대}}}''' || '''{{{#fff 이름}}}''' || '''{{{#fff 계급}}}''' || '''{{{#fff 임관}}}''' || '''{{{#fff 비고}}}''' || '''{{{#fff 기타}}}''' || || 초대 || 000 || 예)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00기 ||前 [[연대장]] || || || 00대 || 오남영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24기 ||前 [[육군사관학교|육군사관학교장]] ||前 [[육군특수전사령부|특전사령관]] || || || '''00대''' || '''[[권영기]]''' || '''예) [[대장(계급)|대장]]''' || [[갑종간부후보생|갑종]] 222기 ||前 [[제2작전사령관]] || || || 00대 || 김문범 || 예) [[소장]] || [[육군3사관학교|3사]] 1기 ||前 [[육군훈련소|육군훈련소장]] || 前 [[제57보병사단|제57보병사단장]]|||| || 00대 || [[박창명(군인)|박창명]] || 예) [[중장]] || [[학생군사교육단|학군]] 12기[* 경상대] ||前 [[제9군단장]] ||前 [[병무청장]] || || 00대 || 최경식 || 예) [[대령]] || 3사 17기 ||前 [[연대장]] || || || 00대 || [[황대일]] || 예) [[중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3기 ||前 [[대한민국 육군참모차장|육군참모차장]] || || || 00대 || [[이기성(군인)|이기성]] || 예) [[소장(계급)|소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4기 ||前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참모장]] 겸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수석대표 || || || 00대 || [[이경용]] || [[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6기 ||前 [[육군본부]] 정보차장, [[제2작전사령부]] 정보처장 || || || 00대 || 구승환 ||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47기 ||前 [[연대장]] || || || 00대 || [[서진하]] || [[소장(계급)|소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9기 ||現 [[제1보병사단]]장 || || || 00대 || 윤한일 || [[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51기 ||現 [[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정책실차장 || || || 00대 || 정천환 || [[대령]] || [[육군사관학교|육사]] 00기 |||現 [[여단장]] || || 후방 연대 치고 묘하게 역대 연대장의 진급률이 좋은 편. 이건 [[39사단]]장직도 그런 편이다. === 장교/부사관 === * [[이정웅]] - 육사 45기, 현 [[수도군단장]](중장). 중령 시절 예하 대대장을 역임하였다. === 병 === == 기타 == [[공군교육사령부]] 기지병원을 많이 이용하는데 아무 때나 가도 이들을 볼 수 있다.처음엔 신기하지만 갈수록 그러려니 하고 넘긴다. === 근무환경 === === 여단가 === == 사건 사고 == == 여담 == [[분류:대한민국 육군]][[분류:제39보병사단]][[분류:여단]] [include(틀:포크됨2, title=제118보병여단, d=2023-02-21 09:3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