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제10대 국회의원 선거]]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제10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 [목차] == 개요 == 본 [[항목]]은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의 [[경기도]] [[지역구]] [[선거]] 결과를 정리하는 항목이다. [[선거구]]는 가나다순이 아니라 '''지역 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된 순서'''로 한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쓰는 공식 발표법이기 때문이다. == 결과 == || 정당 || [include(틀:민주공화당)]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include(틀:민주통일당)] || [[무소속|{{{#ffffff 무소속}}}]] || 합계 || || 득표 수 || '''{{{#ffffff 643,850}}}''' || '''594,871''' || 90,138 || 474,041 || 1,802,900 || || 득표율 || '''{{{#ffffff 35.71%}}}''' || '''33.00%''' || 5.00% || 26.29% || 100% || || 당선자 || '''{{{#ffffff 8}}}''' || '''7''' || 0 || 1 || 16 || || 1위 || '''{{{#ffffff 4}}}''' || '''4''' || 0 || 0 || 8 || || 2위 || '''{{{#ffffff 4}}}''' || '''3''' || 0 || 1 || 8 ||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때 제7선거구에서 민주공화당 후보가 1, 2등을 차지하면서 16명 가운데 9명을 당선시켰지만, 이번엔 민주공화당이 모든 선거구에 1명 씩만 공천하면서 16명 중 8명으로 딱 절반을 당선시켰다. === 경기도 제1선거구 (인천시 동구·중구·북구·남구) === ||<-4> {{{#ffffff {{{+1 '''경기도 제1선거구'''}}}}}} || ||<-4> {{{#ffffff 인천시 동구·중구·북구·남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류승원|{{{#373a3c,#dddddd 유승원}}}]](柳承源)''' || '''115,506''' || '''2위''' || || [include(틀:민주공화당)] || '''31.82%''' || '''당선''' || ||<|2> {{{#ffffff {{{+5 '''2'''}}}}}} || '''[[김은하(정치인)|{{{#373a3c,#dddddd 김은하}}}]](金殷夏)''' || '''126,683''' || '''1위''' ||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34.90%''' || '''당선''' || ||<|2> {{{#000000 {{{+5 '''3'''}}}}}} || 한종수(韓宗秀) || 17,885 || 5위 || || [include(틀:민주통일당)] || 4.92% || 낙선 || ||<|2> {{{#ffffff {{{+5 '''4'''}}}}}} || [[김숙현|{{{#373a3c,#dddddd 김숙현}}}]](金淑鉉) || 59,281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6.33% || 낙선 || ||<|2> {{{#ffffff {{{+5 '''5'''}}}}}} || {{{#373a3c,#dddddd 최낙구}}}(崔洛九) || 43,533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1.9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504,671 ||<|3> '''투표율'''[br]78.24% || || '''투표 수''' || 368,294 || || '''무효표 수''' || 5,406 || ||<|2><-2> || [include(틀:민주공화당)]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무소속|{{{#ffffff 무소속}}}]] || || [[류승원|{{{#ffffff 류승원}}}]] || [[김은하(정치인)|{{{#ffffff 김은하}}}]] || [[김숙현|{{{#ffffff 김숙현}}}]] || ||<-2> 결과 || '''31.83%(당선)''' || '''{{{#ffffff 34.91%(당선)}}}''' || 16.34% || ||<|4> 인천시 || 중구 || '''{{{#ffffff 40.27%(1등)}}}''' || '''31.09%(2등)''' || 10.86% || || 동구 || '''{{{#ffffff 37.30%(1등)}}}''' || '''33.99%(2등)''' || 10.11% || || 남구 || '''31.12%(2등)''' || '''{{{#ffffff 38.14%(1등)}}}''' || 13.43% || || 북구 || 26.52% || '''{{{#ffffff 31.49%(1등)}}}''' || '''27.14%(2등)''' || * 지난 번과 마찬가지로 구도심인 중구와 동구에서 이 지역 출신인 [[민주공화당]]의 [[류승원]]이 1위, 나머지 지역에서 남구 출신인 [[신민당(1967년)|신민당]]의 [[김은하(정치인)|김은하]]가 1위를 차지하면서 김은하가 1등, 유승원이 2등으로 당선되었다. 다만, 득표율은 두 사람 모두 줄었는데, 여당에 대한 심판과 신민당의 이철승 대표에 대한 심판이 같이 이뤄진 결과라고 볼 수 있다. * 북구 출신인 무소속 김숙현이 자기 지역에서 27%를 득표하면서 2위를 했지만, 전체 등수에 영향을 미치진 못 했다. === 경기도 제2선거구 (수원시·화성군) === ||<-4> {{{#ffffff {{{+1 '''경기도 제2선거구'''}}}}}} || ||<-4> {{{#ffffff 수원시, 화성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병희(1926)|이병희]](李秉禧)''' || '''67,221''' || '''1위''' || || [include(틀: 민주공화당)] || '''33.24%'''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유용근]](劉溶根)''' || '''52,426''' || '''2위''' ||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25.92%''' || '''{{{#000000 당선}}}''' || ||<|2> {{{#000000 {{{+5 '''3'''}}}}}} || [[손도심]](孫道心) || 10,492 || 5위 || || [[민주통일당|[include(틀:민주통일당)]]] || 5.18% || 낙선 || ||<|2> {{{#ffffff {{{+5 '''4'''}}}}}} || 공상진(孔相鎭) || 2,343 || 11위 || || [include(틀:무소속)] || 1.15% || 낙선 || ||<|2> {{{#ffffff {{{+5 '''5'''}}}}}} || [[김일수(1940)|김일수]](金日秀) || 21,018 || 4위 || || [[무소속|[include(틀:무소속)]]] || 10.39% || 낙선 || ||<|2> {{{#ffffff {{{+5 '''6'''}}}}}} || 김진구(金鎭九) || 5,083 || 8위 || || [[무소속|[include(틀:무소속)]]] || 2.51% || 낙선 || ||<|2> {{{#ffffff {{{+5 '''7'''}}}}}} || [[서태원(1923)|서태원]](徐泰源) || 7,777 || 6위 || || [[무소속|[include(틀:무소속)]]] || 3.84% || 낙선 || ||<|2> {{{#ffffff {{{+5 '''8'''}}}}}} || 차진모(車鎭謨) || 5,067 || 9위 || || [[무소속|[include(틀:무소속)]]] || 2.50% || 낙선 || ||<|2> {{{#ffffff {{{+5 '''9'''}}}}}} || 최영재(崔榮宰) || 2,897 || 10위 || || [[무소속|[include(틀:무소속)]]] || 1.43% || 낙선 || ||<|2> {{{#ffffff {{{+5 '''10'''}}}}}} || 홍기유(洪起裕) || 7,220 || 7위 || || [[무소속|[include(틀:무소속)]]] || 3.57% || 낙선 || ||<|2> {{{#ffffff {{{+5 '''11'''}}}}}} || 황선정(黃善貞) || 20,657 || 3위 || || [[무소속|[include(틀:무소속)]]] || 10.5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62,501 ||<|3> '''투표율'''[br]84.53% || || '''투표 수''' || 204,676 || || '''무효표 수''' || 2,475 || ||<|2> || [include(틀:민주공화당)]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 [[이병희(1926)|{{{#ffffff 이병희}}}]] || [[유용근|{{{#ffffff 유용근}}}]] || || 결과 || '''{{{#ffffff 33.24%(당선)}}}''' || '''25.93%(당선)''' || || 수원시 || '''{{{#ffffff 37.38%(1등)}}}''' || '''27.64%(2등)''' || || 화성군 || '''{{{#ffffff 28.25%(1등)}}}''' || '''23.86%(2등)''' || * 지역별 순위와 전체 등수는 지난 번과 같으나, 여당에 대한 심판과 신민당의 이철승 대표에 대한 심판이 동시에 이뤄지면서 이병희가 다시 나온 민주공화당이나 유용근을 새로 공천한 신민당이나 득표율이 엄청나게 떨어진 건 마찬가지였다. * 이번 선거에서 가장 후보가 많이 출마한 선거구로 11명이 출마[* 민주공화당, 신민당, 민주통일당이 각 1명, 무소속이 8명 ]했다.[* 11명이 출마한 곳은 한 곳 더 있는데 부산직할시 제1선거구(중구, 영도구)이다. ] === 경기도 제3선거구 (의정부시·양주군·파주군) === ||<-4> {{{#ffffff {{{+1 '''경기도 제3선거구'''}}}}}} || ||<-4> {{{#ffffff 의정부시, 양주군, 파주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명근(국회의원)|{{{#373a3c,#dddddd 박명근}}}]](朴命根)''' || '''101,757''' || '''1위''' || || [include(틀:민주공화당)] || '''42.38%''' || '''당선''' || ||<|2> {{{#ffffff {{{+5 '''2'''}}}}}} || '''[[김형광|{{{#373a3c,#dddddd 김형광}}}]](金炯光)''' || '''94,445''' || '''2위''' ||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39.34%''' || '''당선''' || ||<|2> {{{#000000 {{{+5 '''3'''}}}}}} || [[조정무]](曺正茂) || 8,272 || 4위 || || [include(틀:민주통일당)] || 3.34% || 낙선 || ||<|2> {{{#ffffff {{{+5 '''4'''}}}}}} || [[이진용(1920)|{{{#373a3c,#dddddd 이진용}}}]](李珍鎔) || 35,586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4.8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311,485 ||<|3> '''투표율'''[br]81.24% || || '''투표 수''' || 243,284 || || '''무효표 수''' || 3,224 || ||<|2> || [include(틀:민주공화당)]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무소속|{{{#ffffff 무소속}}}]] || || [[박명근(국회의원)|{{{#ffffff 박명근}}}]] || [[김형광|{{{#ffffff 김형광}}}]] |||| [[이진용(1920)|{{{#ffffff 이진용}}}]] || || 결과 || '''{{{#ffffff 42.39%(당선)}}}''' || '''39.34%(당선)''' || 14.82% || || 의정부시 || '''34.07%(2위)''' || '''{{{#ffffff 46.47%(1위)}}}''' || '''16.40%''' || || 양주군 || '''38.65%(2위)''' || '''{{{#ffffff 41.39%(2위)}}}''' || '''15.97%''' || || 파주군 || '''{{{#ffffff 55.20%(1위)}}}''' || '''30.38%(2위)''' || 11.63% || * 지난 선거 때 모든 시군에서 1위를 차지하며 1등으로 당선된 [[박명근]]이 이번에도 1등으로 당선되긴 했지만, 파주에선 득표율이 69% -> 55%로 줄었고 의정부/양주에선 2위에 그쳤다. * 지난 선거 때 모든 시군에서 3위에 그치며 낙선한 [[김형광]]이 의정부/양주에서 1위, 파주에서 2위를 차지하며 2등으로 당선되었다. * [[민주공화당]] 공천으로 제6~7대 국회의원을 역임했고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친여 무소속으로 의정부/양주에서 2위를 차지하며 전체 2등으로 당선되었던 [[이진용(1920)|이진용]]이 모든 시군에서 3위에 그치며 낙선하였다. 파주에서 득표율이 2% -> 11%로 오르긴 했지만, 의정부/양주에서 심판받은 셈. === 경기도 제4선거구(성남시·여주군·광주군·이천군) === ||<-4> {{{#ffffff {{{+1 '''경기도 제4선거구'''}}}}}} || ||<-4> {{{#ffffff 성남시, 여주군, 광주군, 이천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동성]](鄭東星)''' || '''76,569''' || '''1위''' || || [include(틀: 민주공화당)] || '''30.60%'''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유기준(1924)|유기준]](兪棋濬) || 60,776 || 3위 ||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24.29% || 낙선 || ||<|2> {{{#000000 {{{+5 '''3'''}}}}}} || [[박종진(1934)|박종진]](朴鍾振) || 19,082 || 4위 || || [include(틀:민주통일당)] || 7.62% || 낙선 || ||<|2> {{{#ffffff {{{+5 '''4'''}}}}}} || 민호영(閔浩榮) || 4,298 || 6위 || || [include(틀: 무소속)] || 1.71% || 낙선 || ||<|2> {{{#ffffff {{{+5 '''5'''}}}}}} || 신동명(申東溟) || 4,131 || 7위 || || [include(틀: 무소속)] || 1.65% || 낙선 || ||<|2> {{{#ffffff {{{+5 '''6'''}}}}}} || '''[[오세응]](吳世應)''' || '''75,076''' || '''2위''' || || [include(틀: 무소속)] || '''30.00%''' || '''{{{#000000 당선}}}''' || ||<|2> {{{#ffffff {{{+5 '''7'''}}}}}} || 황두영(黃斗英) || 10,288 || 5위 || || [include(틀: 무소속)] || 4.1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343,586 ||<|3> '''투표율'''[br]73.80% || || '''투표 수''' || 253,567 || || '''무효표 수''' || 3,347 || ||<|2> || [include(틀:민주공화당)]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무소속|{{{#ffffff 무소속}}}]] || || [[정동성|{{{#ffffff 정동성}}}]] || [[유기준(1924)|{{{#ffffff 유기준}}}]] |||| [[오세응|{{{#ffffff 오세응}}}]] || || 결과 || '''{{{#ffffff 30.60%(당선)}}}''' || 24.29% || '''30.00%(당선)''' || || 성남시 || '''26.82%(2위)''' || 24.83% || '''{{{#ffffff 30.94%(1위)}}}''' || || 광주군 || '''29.62%(2위)''' || '''{{{#ffffff 35.14%(1위)}}}''' || 19.84% || || 이천군 || '''30.43%(2위)''' || 23.37% || '''{{{#ffffff 34.67%(1위)}}}''' || || 여주군 || '''{{{#ffffff 43.44%(1위)}}}''' || 13.27% || '''31.58%(2위)''' || * [[정동성]], [[유기준(1924)|유기준]], [[오세응]]이 각각 자기 출신 지역에서 1위를 한 가운데, 정동성의 여당 버프, 오세응의 현역 버프, [[광주대단지사건]]에서 승리함으로써 자신감을 얻었지만 그 이후에 극심한 탄압을 받은 성남의 여당 심판 바람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 지난 번에 거물 [[차지철]]을 내세웠고 1등으로 당선시켰지만 광주에선 3위에 그쳤던[* 차지철은 그 이전에 광주-이천 선거구에서 재선을 했다. 그런 차지철이 광주에서 3위가 된 이유는 [[광주대단지사건|다름아닌... ]]] [[민주공화당]]은 여주 출신의 정동성을 내세웠고, 정동성은 야권 표가 신민당과 오세응으로 나뉜 틈을 타서 여주에서 1위, 나머지 지역에서 2위를 차지하며 1등으로 당선되었다. * 지난 번에 [[신민당(1967년)|신민당]] 공천으로 오세응과 동반 입후보했지만 광주에서만 1위를 하고 전체 3등으로 낙선했던 유기준은 이번에 신민당의 유일한 후보로 공천되었으나, 역시 광주에서만 1위를 하고 전체 3등으로 낙선했다. * 지난 번에 신민당 공천으로 유기준과 동반 입후보해서 모든 지역에서 2위를 하며 전체 2등으로 당선된 오세응은 이번엔 당내 싸움 끝에 공천에 탈락하고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광주에선 3위에 그쳤으나 이천에서 1위, 여주에서 2위를 하고 성남에서도 1위를 차지하여 전체 2등으로 당선되었다. 오세응이 공천에서 탈락한 것은 [[이철승]] 대표를 비판했기 때문으로, 이번 선거 결과는 여당에 대한 심판 뿐만 아니라 신민당의 이철승 대표 체제에 대한 심판도 겸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경기도 제5선거구(평택군·용인군·안성군) === ||<-4> {{{#ffffff {{{+1 '''경기도 제5선거구'''}}}}}} || ||<-4> {{{#ffffff 평택군, 용인군, 안성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서상린]](徐相潾)''' || '''52,197''' || '''2위''' || || [include(틀:민주공화당)] || '''26.23%''' || '''당선''' || ||<|2> {{{#ffffff {{{+5 '''2'''}}}}}} || '''[[유치송]](柳致松)''' || '''71,267''' || '''1위''' ||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35.81%''' || '''당선''' || ||<|2> {{{#ffffff {{{+5 '''3'''}}}}}} || [[정진환]](鄭鎭桓) || 26,755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3.44% || 낙선 || ||<|2> {{{#ffffff {{{+5 '''4'''}}}}}} || [[조종익]](趙鍾益) || 19,022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9.56% || 낙선 || ||<|2> {{{#ffffff {{{+5 '''5'''}}}}}} || [[한민수]](韓敏洙) || 24,014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2.07% || 낙선 || ||<|2> {{{#ffffff {{{+5 '''6'''}}}}}} || 한재은(韓載殷) || 5,746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2.8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63,454 ||<|3> '''투표율'''[br]76.52% || || '''투표 수''' || 201,583 || || '''무효표 수''' || 2,582 || ||<|2> || [include(틀:민주공화당)] || [include(틀:신민당(1967년))] ||<-3> [[무소속|{{{#ffffff 무소속}}}]] || || [[서상린|{{{#ffffff 서상린}}}]] || [[유치송|{{{#ffffff 유치송}}}]] || [[정진환|{{{#ffffff 정진환}}}]] || [[조종익|{{{#ffffff 조종익}}}]] || [[한민수|{{{#ffffff 한민수}}}]] || || 결과 || '''26.23%(당선)''' || '''{{{#ffffff 35.81%(당선)}}}''' || 13.44% || 9.56% || 12.07% || || 평택군 || '''26.83%(2위)''' || '''{{{#ffffff 44.76%(1위)}}}''' || 5.87% || 2.58% || '''18.44%''' || || 용인군 || '''27.03%(2위)''' || '''{{{#ffffff 28.03%(1위)}}}''' || 8.96% || '''26.88%''' || 7.01% || || 안성군 || 24.42% || '''26.70%(2위)''' || '''{{{#ffffff 31.06%(1위)}}}''' || 6.60% || 5.14% || * 모든 지역에서 [[신민당(1967년)|신민당]]의 [[유치송]]이 [[민주공화당]]의 [[서상린]]을 이겨서 유치송이 1등, 서상린이 2등으로 당선되었지만 득표율은 줄어들었다. * 민주공화당에 대한 심판, 신민당의 이철승 체제에 대한 심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무소속인 정진환, [[조종익]], 한민수가 각각 자기 지역에서 15%가 넘게 득표했고 특히 정진환은 안성에서 1위를 했지만, 전체 순위에 영향을 주진 못 했다. === 경기도 제6선거구 (부천시·안양시·시흥군·옹진군) === ||<-4> {{{#ffffff {{{+1 '''경기도 제6선거구'''}}}}}} || ||<-4> {{{#ffffff 부천시·안양시·시흥군·옹진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윤국노|{{{#373a3c,#dddddd 윤국노}}}]](尹國老)''' || '''81,161''' || '''2위''' || || [include(틀:민주공화당)] || '''32.90%''' || '''당선''' || ||<|2> {{{#ffffff {{{+5 '''2'''}}}}}} || '''[[이택돈|{{{#373a3c,#dddddd 이택돈}}}]](李宅敦)''' || '''108,066''' || '''1위''' ||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43.80%''' || '''당선''' || ||<|2> {{{#000000 {{{+5 '''3'''}}}}}} || [[신하철]](申河澈) || 20,778 || 4위 || || [include(틀:민주통일당)] || 8.42% || 낙선 || ||<|2> {{{#ffffff {{{+5 '''4'''}}}}}} || [[안동선|{{{#373a3c,#dddddd 안동선}}}]](安東善) || 36,678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4.8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345,892 ||<|3> '''투표율'''[br]76.98% || || '''투표 수''' || 249,529 || || '''무효표 수''' || 2,846 || ||<|2> || [include(틀:민주공화당)]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무소속|{{{#ffffff 무소속}}}]] || || [[윤국노|{{{#ffffff 윤국노}}}]] || [[이택돈|{{{#ffffff 이택돈}}}]] || [[안동선|{{{#ffffff 안동선}}}]] || || 결과 || '''32.90%(당선)''' || '''{{{#ffffff 43.81%(당선)}}}''' || 14.87% || || 부천시 || 27.32% || '''{{{#ffffff 35.53%(1등)}}}''' || '''32.66%(2등)''' || || 옹진군 || '''{{{#ffffff 60.74%(1등)}}}''' || '''22.23%(2등)''' || 13.57% || || 안양시 || '''34.49%(2등)''' || '''{{{#ffffff 49.23%(1등)}}}''' || 6.25% || || 시흥군 || '''29.79%(2등)''' || '''{{{#ffffff 50.19%(1등)}}}''' || 8.98% || * 지난 번에 전체 1등으로 당선되었지만, 부천에서만큼은 오학진과 안동선에 밀려 3위에 그쳤던 이택돈이 부천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 오학진 대신 민주공화당 공천을 받은 윤국노는 안양/시흥에서 이택돈에 이어 2위, 부천에선 안동선에게도 밀려 3위에 그쳤지만 전체 2등으로 당선되었다. * 지난 번에 이어 이번 선거에서도 민주공화당 후보가 옹진에서만 60%가 넘게 득표했는데, [[서해 5도]]와 경기도의 섬으로 구성된 옹진군의 특성에 따른 결과이다. 이런 현상은 똑같이 전방이지만 강원도에서는 나오지 않는 옹진군만의 특징이다. === 경기도 제7선거구 (김포군·고양군·강화군) === ||<-4> {{{#ffffff {{{+1 '''경기도 제7선거구'''}}}}}} || ||<-4> {{{#ffffff 김포군, 고양군, 강화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유탁]](金裕琸)''' || '''39,844''' || '''2위''' || || [include(틀: 민주공화당)] || '''27.12%'''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오홍석]](吳洪錫)''' || '''43,058''' || '''1위''' ||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29.31%''' || '''{{{#000000 당선}}}''' || ||<|2> {{{#000000 {{{+5 '''3'''}}}}}} || [[김두섭]](金斗燮) || 13,629 || 4위 || || [include(틀:민주통일당)] || 9.27% || 낙선 || ||<|2> {{{#ffffff {{{+5 '''4'''}}}}}} || 고철룡(高哲龍) || 5,214 || 7위 || || [include(틀: 무소속)] || 3.54% || 낙선 || ||<|2> {{{#ffffff {{{+5 '''5'''}}}}}} || [[김재춘]](金在春) || 23,797 || 3위 || || [include(틀: 무소속)] || 16.50% || 낙선 || ||<|2> {{{#ffffff {{{+5 '''6'''}}}}}} || 남궁타(南宮타) || 9,532 || 6위 || || [include(틀: 무소속)] || 6.48% || 낙선 || ||<|2> {{{#ffffff {{{+5 '''7'''}}}}}} || 어한(漁韓) || 11,810 || 5위 || || [include(틀: 무소속)] || 8.0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8,528 ||<|3> '''투표율'''[br]85.36% || || '''투표 수''' || 148,803 || || '''무효표 수''' || 1,919 || ||<|2> || [include(틀:민주공화당)]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include(틀:민주통일당)] ||<-3> [[무소속|{{{#ffffff 무소속}}}]] || || [[김유탁|{{{#ffffff 김유탁}}}]] || [[오홍석|{{{#ffffff 오홍석}}}]] || [[김두섭|{{{#000000 김두섭}}}]] || [[김재춘|{{{#ffffff 김재춘}}}]] || [[남궁타|{{{#ffffff 남궁타}}}]] || [[어한|{{{#ffffff 어한}}}]] || || 결과 || '''27.13%(당선)''' || '''{{{#ffffff 29.31%(당선)}}}''' || 9.28% || 16.20% || 6.49% || 8.04% || || 고양군 || '''{{{#ffffff 37.60%(1위)}}}''' || '''25.22%(2위)''' || 1.86% || 10.68% || 1.29% || '''17.82%''' || || 김포군 || '''21.65%(2위)''' || 21.64% || '''20.77%''' || '''{{{#ffffff 26.21%(1위)}}}''' || 4.73% || 2.35% || || 강화군 || '''19.38%(2위)''' || '''{{{#ffffff 42.55%(1위)}}}''' || 6.73% || 12.77% || '''15.06%''' || 1.43% || * 지난 번에 김재춘과 김유탁을 공천해서 제7선거구의 국회의원 두 자리를 모두 차지한 민주공화당이 이번에는 김유탁 1명 만을 공천하는 바람에 김재춘이 탈당 후 무소속으로 출마했고, 각 지역 출신 무소속 후보들이 자기 지역의 표를 몰아가면서 소지역주의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선거였다. *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김포-강화 지역구 국회의원을 지냈고 지난 선거에서도 김포와 강화에서 1위를 차지하며 선거구 전체 1등으로 당선되었던 김재춘은, 공천 탈락 후 무소속으로 출마한 이번 선거에선 김포에서 1위는 지켰으나 득표율이 세 토막났고 강화에서는 자기 근거지도 아닌 고양과 비슷한 득표율로 3위로 처지는 굴욕 끝에 3등으로 낙선했다. *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고양 지역구 국회의원을 지냈고 지난 선거에서도 고양에서 1위, 김포에서 2위를 차지하며 선거구 전체 2등으로 당선되었던 김유탁은, 근거지인 고양의 지지율이 빠지고 김포와 강화도 석권하지 못 하면서 지난 번과 마찬가지로 2등으로 당선되었다. 민주공화당의 유일한 후보로 공천되었음에도 득표율은 불과 2% 올랐을 뿐으로, 지난 선거 때 김재춘이 받았던 표는 신민당의 오홍석과 각 지역에 난립한 무소속 후보들이 나눠가졌다. * 지난 선거 때 고양에서 2위했을 뿐 전체 3위로 낙선한 신민당의 오홍석은 이번 선거에서도 고양에서 2위에 그쳤으나, 예상외로 강화에서 1위를 차지하고 김포에서도 김유탁에서 불과 4표(0.01%) 뒤진 3위를 차지하면서 전체 1등으로 당선되었다. === 경기도 제8선거구 (포천군·연천군·가평군·양평군) === ||<-4> {{{#ffffff {{{+1 '''경기도 제8선거구'''}}}}}} || ||<-4> {{{#ffffff 포천군, 연천군, 가평군, 양평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오치성]](吳致成)''' || '''109,595''' || '''2위''' || || [include(틀:민주공화당)] || '''70.72%''' || '''당선''' || ||<|2> {{{#ffffff {{{+5 '''2'''}}}}}} || '''[[천명기(정치인)|천명기]](千命基)''' || '''38,150''' || '''1위''' ||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24.61%''' || '''당선''' || ||<|2> {{{#ffffff {{{+5 '''3'''}}}}}} || 편복우(片福宇) || 7,218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4.6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2,958 ||<|3> '''투표율'''[br]86.47% || || '''투표 수''' || 157,428 || || '''무효표 수''' || 2,465 || ||<|2> || [include(틀:민주공화당)]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include(틀:무소속)] || || [[오치성|{{{#ffffff 오치성}}}]] || [[천명기(정치인)|{{{#ffffff 천명기}}}]] || {{{#ffffff 편복우}}} || || 결과 || '''{{{#ffffff 70.72%(당선)}}}''' || '''24.62%(당선)''' || 4.61% || || 포천군 || '''{{{#ffffff 74.79%(1등)}}}''' || '''21.28%(2등)''' || 3.93% || || 연천군 || '''{{{#ffffff 74.68%(1등)}}}''' || '''18.81%(2등)''' || '''6.51%''' || || 가평군 || '''{{{#ffffff 79.45%(1등)}}}''' || '''17.05%(2등)''' || 3.50% || || 양평군 || '''{{{#ffffff 57.07%(1등)}}}''' || '''37.79%(2등)''' || 5.14% || * 지난 번에 출마한 후보가 두 명 뿐이라 무투표로 당선된 선거구이다. 이번엔 무소속 후보가 1명 더 등록하여 선거를 치르게 되었다. * 양평을 뺀 모든 지역에서 민주공화당의 오치성이 70%를 훨씬 넘는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였고 전체 1등으로 당선되었다. 신민당의 천명기는 가장 득표율이 높았던 양평에서조차 37%에 그쳤다. * 전국에서 유일하게 민주공화당이 압승한 선거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