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2018년]] 개최하는 [[오청원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대회]]. [[4월]]에 시행한다고만 되어 있지 정확한 일정도 공지되지 않았다가 대회가 직전에 공개되었다. == 상세 == === 본선 === 28명이 출전 예정이지만, 이것은 자체예선을 포함한 인원이고 본선에 진출하는 선수는 24명이 된다. 한국 : [[최정]] 九단,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 五단, [[오정아]] 三단, [[김채영]] 三단 일본 : [[후지사와 리나]] 三단, [[셰이민]] 六단, [[뉴 에이코]] 二단, [[우에노 아사미]] 二단 대만 : [[헤이자자]] 七단, [[양즈쉔]] 二단 중국 : [[루이나이웨이]] 九단, [[위즈잉]] 六단, [[왕천싱]] 五단, [[리허]] 五단, [[가오싱]] 四단, [[루민취안]] 四단, [[린추]] 二단, *[[장주안]] 八단 네덜란드: *궈 얀(Guo Juan=Guo Yan, 郭鹃) 五단[* 오로에서는 궈쥐안으로 표기되어 있다] 독일: [[마뉴엘라 마르츠]](Manja Marz) 三단 >자체예선 통과자 >미국 : 펑윈[* 이전 기록 : 펭윤](FengYun, 丰云) 9단, 인밍밍(YinMingMing, 殷明明) 초단 >캐나다 : 위진(YuJin, 余瑾) 6단[* 영어 이름은 새러 유Sarah Yu][* 오로에서는 캐나다와 미국 선수를 미주로 한데 묶어버렸다.] >헝가리 : 리타 폿사이(Rita Pocsai) 아마 5단 >자체예선 패자. >미국 : 수즈핑(SuGePing, 苏格平) 6단[* 영어 이름은 가브리엘라 수Gabriella Su] >러시아 : 나탈리아 코발레바(Natalia Kovaleva) 아마 5단, 엘비나 카를스베르그(Elvina Karlsberg) 아마 4단 >루마니아: 라우라 아브람(Laura Avram) *표는 와일드 카드 ---- 이전 기록에는 한자만 기재된 선수가 있어, 현재 오로에 등록된 영어명 등을 추가기재했다. 그런데.. 한국기원 일정에서는 본선 시작일부터로 기재되어 있다. 오로 기사를 확인한 결과 28강은 사실상 자체예선이고, 이후 일정(24강부터)은 본선이라고. === 28강 / 자체예선 라운드 === [[2018년]] [[4월 26일]] ||<:>대국자(흑)||<:>대국자(백)||<:>결과|| ||<:>'''펑윈(미주)'''||<:>나탈리아(러시아)||<:>151수 흑 불계승|| ||<:>라우라 아브람(루마니아)||<:>'''Sarah Yu(위진. 캐나다)'''||<:>192수 백 불계승|| ||<:>엘비나(러시아)||<:>'''인밍밍(미주)'''||<:>196수 백 불계승|| ||<:>Gabriella Su(수즈핑. 미주)||<:>'''리타(헝가리)'''||<:>176수 백 불계승|| 해당라운드의 본선 진출자는 다음과 같다. ||<:>출전자 구분||<:>선수|| ||<:>미주||<:>펑윈, 인밍밍(이상 미국), Sarah Yu(캐나다)|| ||<:>유럽||<:>리타 폿사이(헝가리)|| === 24강[* 한국기원 일정에서는 '''20'''강으로 표기되어 있다.] === [[2018년]] [[4월 27일]] * 본선 풀(20명) * 자체예선 통과자(4명) * 미국: 펑윈(FengYun, 丰云) 9단, 인밍밍(YinMingMing, 殷明明) 초단[* 수즈핑(SuGePing, 苏格平) 6단은 자체예선에서 탈락했다] * 캐나다: 위진(YuJin, 余瑾) 6단 * 헝가리: 리타 폿사이(Rita Pocsai) 아마 5단 * 대진 ||<:>흑번 대국자||<:>백번 대국자||<:>결과|| ||<:>'''김채영 (한국)'''||<:>뉴 에이코 (일본)||<:>290수 흑 1집반승|| ||<:>'''리허 (중국)'''||<:>양쯔쉔 (대만)||<:>137수 흑 불계승|| ||<:>궈쥐안 (네덜란드)||<:>'''오정아 (한국)'''||<:>168수 백 불계승|| ||<:>'''우에노 아사미 (일본)'''||<:>위진 (캐나다)||<:>143수 흑 불계승|| ||<:>'''인취 (중국)'''||<:>펑윈 (미국)||<:>83수(...) 흑 불계승|| ||<:>리타 (헝가리)||<:>'''장쉬안 (중국)'''||<:>124수 백 불계승|| ||<:>마뉴엘라 (독일)||<:>'''루민취안 (중국)'''||<:>122수 백 불계승|| ||<:>인밍밍 (미국)||<:>'''위즈잉 (중국)'''||<:>116수 백 불계승|| 이 라운드에서 가장 늦게 끝난 대국은 김채영-뉴에이코 대국이었는데... 다음라운드에서 또.. === 16강 === [[4월 28일]] * 16강 진출자 오정아, 김채영 (한국) 리허, 인취, 장쉬안, 루민취안, 위즈잉 (중국) 우에노 아사미 (일본) 아래는 16강 위치 선수로 보인다. 한국 : 최정, 오유진 일본 : 후지사와 리나, 셰이민 대만 : 헤이자자 중국 : 루이나이웨이, 왕천싱, 가오싱 * 대진 ||<:>흑번 대국자||<:>백번 대국자||<:>결과|| ||<:>오유진||<:>'''위즈잉'''||<:>188수 백 불계승|| ||<:>'''오정아'''||<:>왕천싱||<:>269수 흑 불계승|| ||<:>'''김채영'''||<:>가오싱||<:>'''321수'''(?!) 흑 '''불계'''승|| ||<:>인취||<:>'''최정'''||<:>134수 백 불계승|| ||<:>후지사와 리나||<:>'''루민취안'''||<:>220수 백 불계승|| ||<:>'''우에노 아사미'''||<:>루이나이웨이||<:>133수 흑 불계승|| ||<:>장쉬안||<:>'''셰이민'''||<:>190수 백 불계승|| ||<:>'''리허'''||<:>헤이자자||<:>195수 흑 불계승|| 김채영 대국의 패기[* 300수에 다다르면 보통 계가를 하곤 한다. 그러나 이 대국은 예외로 불계승을 한 케이스.], 그리고 또 늦게 끝나가는 한국선수 대국.. 이 때문에 바둑TV에서 중계하던 것도, 슬슬 [[한국여자바둑리그/2018시즌/후반기|여바리]] 때문에 위험해진다..;(6시 반 생중계 자막 틀어놓은 상황) →6시 '''20분''' 대국 종료(...)--시말서 각인데?-- === 8강 === [[4월 30일]] * 진출자 중국 3명 : 위즈잉 / 루민취안 / 리허 한국 3명 : 오정아 / 김채영 / 최정 일본 2명 : 우에노 아사미 / 셰이민 * 대진 ||<:>백번대국자[* 방송 기준 한정. 온라인 대국실 기준으로 반대 색상의 돌을 두게 된 경우 괄호로 표기)]||<:>흑번대국자[*9]||<:>결과||<:>비고|| ||<:>셰이민||<:>'''김채영'''||<:>217수 흑 불계승||<:>--오로 한국서버에서 존재감이 사라졌다--[* 대국이 시작한 시점이고, 타 국가 서버에서는 KimChaeY 등으로 대국자가 보이기도 하는데, 한국서버에서만 유독 빠져있다. 3서버 한정이므로 다른 한국서버도 그런지는 확인이 필요했다.]|| ||<:>오정아(흑)||<:>'''위즈잉'''(백)||<:>222수 백 불계승||<:>-|| ||<:>'''최정'''(흑)||<:>루민취안(백)||<:>201수 흑 불계승||<:>-|| ||<:>'''리허'''||<:>우에노 아사미||<:>156수 백 불계승||<:>-|| 사정상 대국을 제때제때 확인하질 못했다.. === 4강 === [[5월 1일]] ||<:>흑번대국자||<:>백번대국자||<:>결과|| ||<:>위즈잉||<:>'''김채영'''||<:>350수 백 1집반승|| ||<:>리허||<:>'''최정'''||<:>224수 백 불계승|| === 결승 3번기 === 김채영 : 최정 1국 (7월 23일) : [[김채영]] 백 불계승 2국 (7월 25일) : [[김채영]] 흑 5집반승. 김채영 우승 --3국 (7월 26일)-- 첫 오청원배는, 큰 승부에 강했던 김채영의 우승으로 막을 내렸다. [[분류:오청원배 세계 여자 바둑 선수권 대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