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도-파키스탄 전쟁)] [include(틀:인도-파키스탄 관계 관련 문서)] ||<-2> {{{#fff {{{+1 '''제1차 인도 파키스탄 전쟁'''}}}[br] 1947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한글) [br] Indo-Pakistani War of 1947–1948 (영문)[br]१९४७ का भारत-पाक युद्ध(힌디어)[br]پاک بھارت جنگ 1947(우르두어)}}} || ||<-2> [[인도-파키스탄 전쟁|{{{#fff 인도-파키스탄 전쟁}}}]]{{{#fff 의 일부}}} || ||<-2> [[1948년]] [[10월 22일]] ~ [[1949년]] [[1월 5일]] || ||<-2> '''{{{#fff 장소}}}''' || ||<-2> [[카슈미르]] || ||<-2> '''{{{#fff 원인}}}''' || ||<-2> 카슈미르 지역에 대한 영유권 분쟁 || ||<-2> '''{{{#fff 교전국}}}''' || ||[[파일:인도 국기.svg|width=23]] [[인도 자치령]][br] [[파일:인도령 카슈미르 기.svg|width=23]] [[잠무 카슈미르]]||[[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23]] [[파키스탄 자치령]][br] 무슬림 민병대|| ||<-2> '''{{{#fff 지휘관}}}''' || || [[파일:영국 국기.svg |width=23]][[루이 마운트배튼]][br] [[파일:인도 국기.svg|width=23]] [[자와할랄 네루]] ||<^|1>[[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23]] [[무함마드 알리 진나]][br][[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23]] 리쿠아트 알리 칸|| ||<-2> '''{{{#fff 병력}}}''' || ||-명 ||-명 || ||<-2> '''{{{#fff 결과}}}''' || ||<-2> [[유엔|UN]]의 개입과 정전 || ||<-2> '''{{{#fff 영향}}}''' || ||<-2> 카슈미르 지역의 영유권 분할 || ||<-2> '''{{{#fff 피해규모}}}''' || || 인도 육군 1,103명 사망[br]카슈미르 지역군 1,990명 사망 및 실종[br]인도 공군 32명 사망[br]3,154명 부상[br]인명피해 총 6,279명 ||6000명 사망[br]14,000명 이하의 부상자 || [목차] [clearfix] == 개요 == [[1947년]] [[10월 22일]]부터 [[1949년]] [[1월 5일]]까지 [[카슈미르]] 지역에서 발생한 [[인도 자치령]]과 [[파키스탄 자치령]] 간의 전쟁. == 배경 == 공식적으로 확전된 10월 이전부터 이미 카슈미르를 두고 인도와 파키스탄 정부 사이에서는 갈등이 있어왔고, 이는 2차 대전 이후 인도의 독립과 종교 갈등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었다.([[인도 자치령]], [[파키스탄 자치령]], [[인도 제국]] 문서와 함께 읽는것도 좋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기나긴 영국의 지배가 끝나고 [[인도 제국]]의 독립이 결정되었다. 그러나 이슬람 정치세력이 독립된 무슬림의 국가 수립을 요구하면서, 인도 제국은 [[힌두교]]를 비롯한 비무슬림 진영과 [[이슬람교]] 진영 간의 갈등에 휘말리게 되었다. 두고 인도 내의 종교 분쟁이 심화되기 시작하였고, [[다이렉트 액션 데이]]가 터지면서 종교간의 갈등은 폭력사태로 번졌다. 결국 이를 보다 못한 영국은 인도 제국을 분할하기로 하여 [[동벵골]] 지역과 인도 제국 서북부를 분리하여 [[1947년]] [[8월 14일]]에 무슬림 국가인 [[파키스탄 자치령]]을 세웠고, 나머지 지역에는 [[8월 15일]]에 비무슬림 국가인 [[인도 자치령]]을 세웠다. 이로 인해 인도 제국은 [[인도]]와 [[파키스탄]]이라는 2개 국가로 갈라지게 되었다. 한편 [[카슈미르]]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독립 당시인 1947년에는 독립된 [[인도 번왕국]] 중 하나인 도그라 왕조의 영토였다. 이 당시 번왕국들은 인도나 파키스탄으로 편입되거나, 독립을 유지할 것을 선택할 수 있었다. 그런데 카슈미르 지역은 거주 주민이 대부분이 무슬림이었고, 통치자인 왕 하리 싱은 힌두교도였다. 하리 싱은 처음에 카슈미르 지역의 독립을 유지하려고 했으나, 이에 반발한 대다수의 무슬림 주민들이 폭동을 일으키면서 하리 싱은 인도에게 군사 지원을 요청하여[* 사실상 이때 카슈미르의 인도령 편입을 승인한 셈이다.] 인도 군대가 시위를 진압했다. 그 과정에서 과거 잠무 카슈미르의 수도였던 [[잠무]]에서는 6만에 달하는 무슬림 주민들이 학살당하였다. 이후 파키스탄 역시 이슬람계 주민들의 보호를 명분으로 개입하며 10월 22일에 인도와 파키스탄 사이의 전쟁으로 번졌다. 다만 파키스탄은 정규군을 파견하지 않고 [[파슈툰]] 등 부족 중심의 민병대를 파견했는데, 이는 명목상으로 파키스탄 정부는 인도와의 평화 통일을 지향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실상은 파키스탄 장성들이 전략을 짜고 파키스탄 장교들이 일선의 지휘를 맡는 등 사실상 정규군이 개입한 상태였고, 인도 역시 처음에는 카슈미르 번왕국 군대를 지원하는데 그치다가 [[스리나가르]]와 [[라다크]] 지역이 위협을 받자 정규군을 대거 투입하였다. == 전력 == === [[인도]] === === [[파키스탄]] === == 경과 == === 발단 === === 전개 === === UN의 개입과 중재 === === 정전 === == 결과 == == 여담 == == 매체에서의 등장 == == 둘러보기 == [include(틀:냉전)] [include(틀:인도의 대외전쟁)] [include(틀:파키스탄의 대외전쟁)] [[분류:1948년/사건사고]][[분류:1949년/사건사고]][[분류:냉전]][[분류:인도-파키스탄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