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2> {{{#fff {{{+1 '''제1차 영란전쟁'''[br] '''First Anglo-Dutch War'''}}}}}} || ||<-2> {{{#fff [[영국-네덜란드 전쟁|{{{#fff 영국-네덜란드 전쟁}}}]]의 일부}}} || ||<-2> {{{#fff '''기간'''}}} || ||<-2> [[1652년]] [[7월 10일]] ~ [[1654년]] [[4월 15일]] || ||<-2> {{{#fff '''장소'''}}} || ||<-2> [[북해]], [[영국해협]] || ||<-2> {{{#fff '''교전국 및 교전세력'''}}} || ||<^|1>'''{{{#!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크기=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잉글랜드 연방 국기(1651-1658).svg.png|width=25]]}}} [[잉글랜드 연방]]''' ||<^|1>'''[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공화국)]''' || ||<-2> {{{#fff '''지휘관'''}}} || ||<^|1>{{{#!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크기=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잉글랜드 연방 국기(1651-1658).svg.png|width=25]]}}} [[올리버 크롬웰]][br]{{{#!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크기=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잉글랜드 연방 국기(1651-1658).svg.png|width=25]]}}} [[로버트 블레이크]][br]{{{#!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크기=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잉글랜드 연방 국기(1651-1658).svg.png|width=25]]}}} [[조지 에이스큐]][br]{{{#!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크기=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잉글랜드 연방 국기(1651-1658).svg.png|width=25]]}}} [[헨리 애플턴]][br]{{{#!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크기=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파일:잉글랜드 연방 국기(1651-1658).svg.png|width=25]]}}} [[조지 멍크]] ||<^|1>[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공화국, 출력=, 크기=)] [[아드리안 파우]][br][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공화국, 출력=, 크기=)] [[요한 더빗]][br][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공화국, 출력=, 크기=)] [[마르텐 트롬프]]†[br][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공화국, 출력=, 크기=)] [[미힐 더라위터르]][br][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공화국, 출력=, 크기=)] [[비테 더비스]][br][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공화국, 출력=, 크기=)] [[요한 판갈렌]]† || ||<-2> [[잉글랜드 연방]]의 군사적 승리[br][[네덜란드 공화국]]의 정치적 승리[br][[웨스터민스터 조약(1654)|웨스터민스터 조약]] || [목차] [clearfix] == 개요 == [[1652년]]부터 [[1654년]]년 사이에 벌여진 [[잉글랜드 연방]]과 [[네덜란드 공화국]] 사이의 해전. == 배경 == [[16세기]] [[잉글랜드]]와 [[네덜란드]]는 [[합스부르크 가문]]에 맞서기 위한 동맹관계를 맺었고 잉글랜드는 [[네덜란드 독립전쟁]] 당시 [[스페인 제국]]의 [[무적함대]]에 맞서는 네덜란드에 재정적, 군사적 지원을 했다. [[1648년]], [[30년 전쟁]]이 막을 내리자 스페인 제국이 약해짐에 따라 스페인과 [[포르투갈 제국]]의 식민지들에 대한 영향력이 낮아졌고 이 틈을 타 네덜란드는 스페인과 평화협정을 맺자마자 빠르게 [[이베리아 반도]]의 무역로를 기존의 [[영국]]을 대체하며 장악하게 된다. [[17세기]] 중반, 네덜란드는 [[유럽]]에서 가장 많은 상선 함대를 보유하고 있었고 이 규모는 유럽의 다른 국가들의 함선을 합친 것보다 많게 된다. 이로인해 네덜란드는 [[북해]]와 [[발트해]]에서 무역에 유리한 위치에 올라서게 된다. 또한, [[네덜란드-포르투갈 전쟁]]을 거치면서 현재의 [[인도네시아]]인 동인도 제도와 [[브라질]]의 영토를 흡수하면서 향신로 무역에서 큰 이득을 얻게 된다. 게다가 영국의 식민지였던 [[북아메리카]]의 무역에서도 영향력을 끼치게 된다. 특히 영국과 달리 [[자유무역]]을 추구한 탓에 발트해 지역, [[독일]], [[러시아]]과의 무역에서 영국보다 우세하게 되고 [[잉글랜드 내전]]으로 더욱 약화된 영국의 영향력을 대체하면서 네덜란드는 더욱 성장하게 된다. 또한, [[네덜란드 독립전쟁]]에서 승리를 거두며 [[1648년]] [[뮌스터 평화협정]]을 체결하고 독립을 인정받는다. 그 결과, 유럽의 주요 항구 도시인 [[암스테르담]]과 [[안트베르펜]]에서의 독점적 무역활동을 할 수 있게 되고 네덜란드의 상품은 화물운송비와 보험료가 내려가면서 더욱 값이 싸지게 된다. [[1651년]], [[영국 의회]]가 [[항해조례]]를 제정하면서 무역 보호 정책을 펼쳐나갔고 미국의 식민지에서의 무역활동은 영국의 무역선으로만 가능하게 하면서 네덜란드로부터 무역활동을 보호하게 되어 네덜란드는 상업적 타격을 입게 된다. 또한, [[영국 해군]]과 [[사략선]]들이 네덜란드의 상인을 대상으로 나포하는 작전을 지속적으로 해왔다. [[1652년]] 1월에만 약 30척의 네덜란드 상선이 억류되었고 1652년 초 [[바베이도스]]에서 [[조지 에이스큐]]가 27척의 네덜란드 상선을 억류하면서 네덜란드 상선에 대한 적대적 행위가 계속되었다. [[1651년]] 10월부터 [[1652년]] 7월 사이에만 수백척의 상선이 나포되었다. [[1652년]] [[3월 3일]], [[네덜란드 국가의회]]는 150척의 상선을 영국으로부터 호위하기 위한 군함을 고용하는 법을 제정했다. [[3월 12일]], 영국은 이 법에 대한 소식을 듣게 되었을 때 이를 도발적 행위로 간주하게 된다. 결국, [[5월 29일]], [[마르텐 트롬프]]가 이끄는 함선과 [[로버트 블레이크]]가 이끄는 함선이 [[도버]] 근처 영국 해협에서 맞딱뜨리게 되고 영국이 제정한 법령에 따라 북해와 영국 해협을 지나는 타국 함선은 영국에 경의를 표하기 위해 깃발을 내리도록 지시했으나 트롬프는 이를 거부했고 결국 블레이크는 공격을 개시한다. 이 [[도버 전투(1652)|전투]]에서 트롬프는 1척의 배를 나포당하게 된다. 네덜란드는 전쟁을 방지하기 위해 [[아드리안 파우]]를 [[런던]]으로 보냈으나 영국의 지나친 요구로 인해 협상은 실패하게 된다. 이후, 영국 의회는 [[7월 10일]] 전쟁을 선포한다. == 결과 == [[1654년]] [[4월 15일]], [[웨스트민스터 조약(1654)|웨스트민스터 조약]]을 체결하면서 평화협정을 맺었다. [[분류:17세기]][[분류:유럽의 전쟁]][[분류:영국의 역사]][[분류:네덜란드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