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world-war-2-planes.com/Me-262_ground_color.jpg|width=100%]]}}}|| || 세계 최초로 실전배치된 제트전투기인 [[Me 262]] || || [[영어]] ||jet fighter|| || [[중국어]] ||喷气战斗机|| || [[독일어]] ||Düsenjäger|| || [[러시아어]] ||реактивный истребитель|| || [[일본어]] ||ジェット(戦闘機)|| [목차] == 개요 == 제트전투기는 군사 용어로 제트 기관([[제트 엔진]])으로 추진되는 [[전투기]]를 말한다. [[나치 독일]]에서 [[Me 262]]을 통하여 [[세계최초]]로 실용화에 성공하였으며 [[1940년대]]부터 영국과 독일 등에서도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1950년대]]에 다수의 국가들이 수많은 실험기와 양산기를 제작하였다. 제트 기관으로 추진되는 전투기들은 전폭기와 같이 다목적 임무를 실행하는 추세로 통합되었다. 1950년대에는 수 많은 기체들이 제작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종류가 대폭적으로 축소되었다. 특히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하나의 밀리언셀러에 의해 시장이 좌우되었다.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기술의 발달로 인해 한 종류의 전투기가 한 가지 임무를 담당할 수밖에 없다가 한 종류의 전투기가 여러 종류의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또한 첨단기의 제작에는 비용이 상당히 들어가기 때문이다.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소수의 강대국산 전투기들이 시장을 장악하면서 비용과 효율화의 이유로 많은 국가들이 제작을 포기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시장을 장악하는 국가도 비용의 문제로 소품종의 통합된 전투기를 다량으로 제작하였다. [[냉전]]이 무너진 것도 큰 이유일 것이다. == 국가별 추세 == === [[미국]] === 고가의 첨단 항공기를 제조하면서 상당한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최강의 전투기로 평가받는 [[스텔스]]기 [[F-22]]를 운용하고 있다. 최근 예산 등의 문제로 [[F-35]] 사업에서 상당한 차질을 빚었으나 이제는 잘 굴러가는 중이다. === [[유럽]] === [[영국]]은 초기 러시아를 제외하고 유럽에서 가장 다량의 제트전투기를 개발, 제조하는 국가였다. 하지만 [[1970년대]], [[1980년대]]를 거치면서 해리어 시리즈만 개발했으며 [[1990년대]]에 접어들면 독자개발을 완전히 접게 된다. 영국,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은 미국 수준의 전투기를 저렴한 비용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합작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영국과 프랑스가 합작을 하여 공격기인 [[SPECTAT 재규어]]을 성공하게 된다. 이후 탄력을 받은 합작시도는 독일, 영국, 이탈리아의 참여로 [[파나비아 토네이도]]라는 결실로 완성된다. 파나비아 토네이도는 목적별로 다양한 버전이 생산되었다. '''ADV'''(Air Defence Variant ; 방공요격), '''ECR'''(Electronic Combat / Reconnaissance ; 전자전 정찰), '''GR'''(Ground attack / Reconnaissance ; 지상공격 및 정찰), '''IDS'''(Interdictor / Strike ; 적침투저지 및 공격)이 그것이다. 독일,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이 참여하는 [[유로파이터]]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지만 프랑스의 이탈로 약간의 차질을 빚는다. 독일,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등 4국은 프랑스의 이탈에도 불구하고 유로파이터를 완성하게 된다. 그 외에 유럽권에서 주력 제트전투기를 계속해서 독자적으로 제조하는 국가는 [[스웨덴]]과 [[프랑스]]가 있다. 유로파이터를 제외하면 스웨덴의 [[JAS 39 그리펜]]과 프랑스의 [[라팔]]이 유일한 유럽의 독자개발 전투기이다. 스웨덴은 [[중립국]]이라는 사정상, 그리고 러시아와 가까운 냉전 시대 최전방이라는 점 때문에 독자 개발에 주력하였다. 프랑스는 합작 개발을 시도하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결국 합작을 접고 독자 개발로 방향을 돌렸다. 프랑스제 전투기는 미국과 러시아 전투기를 제외한 틈새 시장을 파고드는데 성공했으며, [[미라지]] 시리즈가 상당한 명성을 쌓았다. [[라팔]]의 독자개발은 처음에는 삽질로 평가되었으나 유로파이터가 망조를 타면서 [[재평가]] 받는 추세. 훈련기 분야에서 영국의 [[BAE 호크]] 훈련기는 개량을 거듭하여 MK.200에 와서는 단좌형의 경전투기가 되었다. 이탈리아의 AMX시리즈도 있지만 이쪽도 훈련기나 경공격기, 경전투기 계열이다. === [[러시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15bis_DM_02.jpg|width=100%]]}}} || || '''소련 최초의 제트기, [[I-15|I-15bis DM]]''' || 의외로 독일과 더불어 제트전투기의 개발 사업 자체는 극초창기인 '''1939년'''부터 시작했다. 당시에는 제트엔진을 주 출력으로 삼은게 아니라, 보조출력의 개념으로 적용했으며, 고출력도 아니고 가솔린을 사용하는 [[램제트]] 엔진이었다. 그러나 테스트 결과가 성공적으로 여러 번 도출되며 소련에서도 제트엔진의 가능성을 엿보기 시작했으며, 전시 중에도 꾸준하게 기존 레시프롭기를 기반으로 하여 [[투폴레프|폴리카르포프 설계국과 투폴레프 설계국]], [[야코블레프]], [[라보츠킨]], [[일류신]] 등 다수의 제조사를 거느리고 다량의 제트전투기를 제조했다. 이 중 폴리카르포프 및 투폴레프는 세계대전 중 사업에서 하차, 나머지 라보츠킨 설계국과 야코블레프, 일류신이 사업을 이끌어갔지만 끝까지 남은 것은 [[미그]]와 [[수호이]]로 이들도 소품종, 다량의 전투기를 생산하고 있고, 미그의 경우에는 [[MiG-35]] 펄크럼F가 최신형이다. 수호이의 경우에는 [[Su-27]] 플랭커 계열인 [[Su-34]], [[Su-35]] 슈퍼 플랭커를 계속해서 개량 생산하고 있고 최신형인 [[Su-57]] 스텔스기를 개발, 생산 중이다. [[2020년대]]에는 미그는 [[MiG-LMFS]]를 수호이는 [[FGFA]]을 주력전투기로 계획하고 있다. == 중국 == 소련으로부터 라이센스로 기술을 도입했고, 1960년대부터 이의 개량형을 내놓다가 2000년대부터는 독자적으로 개발된 전투기를 많이 도입하고 있다. 심지어는 스텔스기까지 개발하고 있다. == 국가/지역별[* 공격기와 프롭기는 제외되었으며 일부 전폭기와 공격기 사이의 혼돈이 있는 기체는 영문위키의 분류법과 정식 명칭을 따랐다. 즉 전폭기는 전투기로 분류하였다.] == === 아메리카 === ==== [[북아메리카]] ==== ===== [[미국]] ===== [include(틀:제트전투기/미국)] === [[유럽]] === ==== [[서유럽]], [[북유럽]] ==== [include(틀:제트전투기/유럽)] ===== [[프랑스]] ===== [include(틀:제트전투기/프랑스)] ==== [[동유럽]] ==== ===== [[러시아]] ===== [include(틀:제트전투기/러시아)] === [[아시아]] === [include(틀:제트전투기/아시아)] == 관련 문서 == * [[항공 병기]] * [[제트기]] * [[전투기]] [[분류:전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