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제주국제공항)] [include(틀:대한민국의 공항)] [목차] [clearfix] == 개요 == || Focus city for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진에어]], [[티웨이항공]], [[제주항공]], [[에어로케이항공]] || 국내선은 [[인천국제공항]]을 제외한 '''모든 공항에 다 간다.'''[* 간혹 인천>제주와 제주>인천편으로 정보가 뜨는 경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 경우에는 화물노선으로 여객편하고는 상관이 없었다. 그러나 [[코로나19]] 대유행 이후에는 여객선에도 부정기편 국제선이 잠시 편성되기도 했었다.] 그렇기에 제주에서 환승을 하여 국내 타 공항으로 갈 수도 있다.[* 이를 테면 김포-제주 진에어 및 제주-부산 에어부산의 할인항공권을 이용하면 양 항공사의 김포-부산 항공료보다 저렴하다.] 제주행 항공편이 매우 적은 [[사천공항]]은 제주행 혹은 제주발 항공편을 이용하기가 까다로웠으나, 2020년 하계 스케쥴부터 대한항공이 매일 1회 운항으로 증회하기로 하면서 제주행 항공편을 이용하기가 한결 편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 노선은 코로나 19 영향으로 대한항공이 사천공항에서 철수하며 잠시 단절되었다가, 2020년 12월부터 소형항공사 [[하이에어]]가 다시 운항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는 [[대한민국]] 제일의 관광지답게 중국, 일본의 주요 도시들에 정기 노선을 운항했었다. 코로나19 발생 이전 몇 년간 [[중국]] 노선망이 많이 증가했는데, 이는 [[외국인]]들 중 [[중화권]] [[관광객]] 비중이 높고 [[사증 면제 프로그램|제주 무사증 제도]]의 혜택을 많이 봤기 때문이다. 2015년 6월 정기편 기준으로 [[홍콩]]을 포함하여 중국 21개 도시에 운항했으며 [[캐세이드래곤항공]]도 들어왔다. 국내에서 제주공항보다 [[중국]] 노선이 많은 곳은 [[인천국제공항]]뿐. 반면 [[일본]] 노선은 감소 추세에 있었는데. [[나고야]], [[후쿠오카]] 노선이 사실상 단항되어 2개 노선만이 유지중이었다. 이후 [[대한항공]]이 2015년 10월 말부터 노선 중단을 밝히면서 [[일본]]행 노선이 완전히 사라질 뻔하다가 도쿄, 오사카 노선이 복항되었다. 국내선과 국제선 둘 다 [[코로나19]]로 인해 승객수요가 감소했고, 국제선은 코로나19로 인해 인천공항으로 일원화하기로 결정하면서 제주공항 내의 모든 국제선이 사라진 상태이다. 하지만 국내선의 경우 2020년 중순부터 다시 회복세로 돌아섰고, 해외여행이 어려워지자 증가한 국내 여행수요로 인해 2021년 이후 완전히 회복되었다.[* [[김포-제주 항공노선|김포-제주]] 노선의 경우, 2021년에는 무려 '''1500만명'''이 이용했으며, 코로나 이전보다 오히려 이용객 수가 증가했다.] == 국내선 == || '''항공사''' || '''국가''' || '''편명''' || '''취항지''' || || [[대한항공]][*ST [[스카이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KE ||[[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 [[김해국제공항|부산(김해)]], [[청주국제공항|청주]], [[광주공항|광주]]|| || [[아시아나항공]][*SA [[스타얼라이언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OZ ||[[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 [[김해국제공항|부산(김해)]][*공동운항 에어부산으로 운항함.], [[대구국제공항|대구]], [[청주국제공항|청주]], [[광주공항|광주]], [[여수공항|여수]]|| || [[에어부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BX ||[[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 [[김해국제공항|부산(김해)]], [[울산공항|울산]]|| || [[제주항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7C ||[[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 [[김해국제공항|부산(김해)]], [[대구국제공항|대구]], [[청주국제공항|청주]], [[무안국제공항|무안]], [[광주공항|광주]]|| || [[진에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LJ ||[[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 [[김해국제공항|부산(김해)]], [[대구국제공항|대구]], [[청주국제공항|청주]], [[광주공항|광주]], [[포항경주공항|포항경주]], [[원주공항|원주(횡성)]], [[군산공항|군산]]|| || [[티웨이항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TW ||[[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 [[김해국제공항|부산(김해)]], [[대구국제공항|대구]], [[청주국제공항|청주]], [[광주공항|광주]]|| || [[에어서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RS ||[[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 || [[플라이강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4V ||[[양양국제공항|양양]]|| || [[하이에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4H ||[[김포국제공항|서울(김포)]], [[무안국제공항|무안]], [[울산공항|울산]], [[사천공항|진주(사천)]] || || [[에어로케이항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RF ||[[청주국제공항|청주]] || 인천공항을 제외한 국내공항중 모든 국내 항공사가 취항하는 공항은 제주공항이 유일하다. (이스타항공, 에어인천 제외) 양양행은 가장 긴 국내선, 무안행은 가장 짧은 국내 착발 항공노선[* 102마일. 참고로 국제선은 김해-후쿠오카 133마일.]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1번, 2번, 3번, 6번, 7번, 9번, 10번, 13번 탑승구는 탑승교가 설치되어있다. 1A번, 3A번, 4번, 5번, 8번, 11번, 12번 탑승구는 리모트[* 항공기까지 버스로 이동] 탑승구이다. 항공편이 많을 경우 임시로 일부 국제선 탑승구(14-18번)를 이용할 수 있다. 국제선 탑승구를 이용할 경우 15, 17, 18번은 탑승교가 설치되어 있으며, 14, 16번은 리모트 탑승구다. 하기시 보딩게이트는 연결하지 않고 스탭카를 내려와 버스로 이동해야 하며, 반대로 탑승시에는 보딩브릿지를 연결한다. == 국제선 == * 현재 운항중인 노선은 '''볼드체''' 표기. || '''항공사''' || '''국가''' || '''편명''' || '''취항지''' || || [[대한항공]][*ST [[스카이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KE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베이징(수도)]]|| || [[진에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LJ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상하이(푸둥)]], [[시안 셴양 국제공항|시안]] || || [[에어발틱]] ||[[파일:라트비아 국기.svg|width=30]]|| BT ||[[리가 국제공항|(리가)]], '''[[간사이 국제공항|오사카(간사이)]]''',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타이베이(타오위안)]]'''|| || [[에어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FR ||'''[[파리 샤를 드골 국제공항|(파리)]]'''|| || [[스리랑카 항공]][*SA [[스타얼라이언스]]] ||[[파일:스리랑카 국기.svg|width=30]]|| SR ||[[콜롬보 국제공항|콜롬보(수도)]]|| || [[일본항공]]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JM ||[[간사이 국제공항|오사카]], [[다롄 저우수이쯔 국제공항|다롄]], [[선양 타오셴 국제공항|선양]], [[하얼빈 타이핑 국제공항|하얼빈]]|| || [[브뤼셀 항공]][*ST [[스카이팀]]]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BE ||[[브뤼셀 국제공항|(브뤼셀)]]|| || [[춘추항공]]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9C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상하이(푸둥)]], [[톈진 빈하이 국제공항|톈진]], [[항저우 샤오산 국제공항|항저우]], [[선양 타오셴 국제공항|선양]], 양저우, 닝보 || || [[필리핀 항공]]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30]]|| PH ||[[마닐라 국제공항|마닐라]], [[창사 황화 국제공항|창사]]|| || [[사우디아 항공|사우디아 항공]][*SA [[스타얼라이언스]]]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30]]|| LI ||[[킹 칼리드 국제공항|(리야드)]], [[난징 루커우 국제공항|난징]]|| || [[터키항공]] ||[[파일:터키 국기.svg|width=30]]|| JD ||[[이스탄불 국제공항|이스탄불]], [[항저우 샤오산 국제공항|항저우]]|| || [[훈누에어]] ||[[파일:몽골 국기.svg|width=30]]|| MN ||[[칭 키스칸 국제공항|울란바토르]]|| || [[미얀마 국제항공]] ||[[파일:미얀마 국기.svg|width=30]]|| MY ||[[양곤 국제공항|양곤]]|| || [[로열 브루나이 항공]] ||[[파일:브루나이 국기.svg|width=30]]|| BR ||반다르스리브가완|| || [[타이항공]] ||[[파일:태국 국기.svg|width=30]]|| TH ||방콕|| ||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30]]|| IB ||[[취히리 국제공항|취히리]]|| || [[베트남 항공]][*ST [[스카이팀]]]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30]]|| VT ||[[하노이 이노베이션 국제공항|하노이]]|| || [[앙코르 캄보디아 항공]] ||[[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30]]|| CM ||[[프놈펜 국제공항|프놈펜]]|| || [[타이거에어 타이완]] ||[[파일:대만 국기.svg|width=30]]|| IT ||[[타오위안 국제공항|타이베이(타오위안)]]|| || [[에어아시아 엑스|에어아시아 X]]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30]]|| D7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쿠알라룸푸르]]|| || [[라오스 항공|라오스 항공]] ||[[파일:라오스 국기.svg|width=30]]|| RO ||'''[[비엔티안 공항|비엔티안]]'''|| 15번, 17번, 18번, 20번 탑승구는 탑승교가 설치되어있다. 14번, 16번, 19번 탑승구는 리모트[* 항공기까지 버스로 이동] 탑승구이다.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는 중국노선과 달리 일본노선의 경우 상당히 오랫동안 정체 상태를 유지하였다. 2010년대 들어 [[한일관계]] 악화와 엔저로 인한 일본인 관광객의 지속적인 감소로 인해 항공사들이 불어나는 적자를 감당하지 못해 하나둘씩 노선을 폐지하기 시작하였다. 잠시 운항했던 [[제주항공]]의 제주 - 오사카 노선이 2012년 12월을 끝으로 폐지된 것을 시작으로, [[아시아나항공]]의 전통있는 노선이자 마지막 제주발 국제선이었던 제주 - [[후쿠오카 공항|후쿠오카]] 노선마저 2014년 9월 폐지되었다. 급기야 [[대한항공]]마저 2014년 11월 제주 - [[주부 센트레아 국제공항|나고야]] 노선을 폐지하더니, 2015년 10월부터 마지막으로 남은 제주 - [[칸사이 국제공항|오사카]] 노선과 제주 - [[나리타 국제공항|도쿄]] 노선을 폐지한다고 밝히면서 제주공항의 일본노선은 완전히 사라졌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2&aid=0000694370|#]] [[http://www.ihalla.com/read.php3?aid=1434639600503358043|한라일보의 관련 논설]]. 그러나 제주도의 반발로 복항할 예정이라고 하는데 2022년 8월 16일 기준으로 수요가 없는 관계로 복항할 가능성이 없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0/23/0200000000AKR20151023141351056.HTML?input=1195m|관련 기사]][[http://www.ihalla.com/read.php3?aid=1445958000518292073|#]] 최근 일본 노선의 수요가 감소했다고 하나 2014년에도 여전히 제주 공항에서 취항하는 해외 노선 중 6위를 차지한 제주 - [[나리타 국제공항]] 노선을 폐지한다는 것은 납득할 수 없는 처분이었다.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면 코드셰어가 일본항공 외에는 어떠한 스카이팀 항공사와도 되지 않아서 수요를 끌어모으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나리타 국제공항에는 [[델타 항공]]과 [[아에로멕시코]]가 들어오는데, 제주 ~ 나리타 노선은 델타와 아에로멕시코의 코드셰어가 걸려있지 않다는 것. 따라서 [[미국]]이나 [[멕시코]]에서 [[인천국제공항]]을 거치지 않고 [[제주도]]로 간다는 건 항공권을 별도로 사지 않는 한 불가능하다. 중국동방항공의 제주 ~ 상하이 노선에 [[KLM 네덜란드 항공]][* 제주 → 상하이 → 청두 구간에만 걸려있다 (KL4821).]의 코드셰어가 걸려있는 것과 대조적. 사실 재일 한국인 중에 제주도 출신들이 정말 많다. 오사카에만[* 정확히는 오사카시 [[이쿠노구]]에 거주비율이 많다.] 최소 10만 명 이상의 제주 출신 재일 한국인이 남아있는데 일제시대에는 1920년대부터 제주~오사카 사이에 정기선 군대환이 다녔다. 그래서인지 재일 한국인의 일본노선 수요가 꽤 있는 상황이지만, 정작 노선이 줄어들고 있다. 같은 스카이팀인 [[델타 항공]]과 [[아에로멕시코]]와의 코드셰어가 되지 않고, 심지어 일본항공의 미취항으로 인한 [[아메리칸 항공]][* 다만 아메리카 지역의 경우 대부분 국가는 90일 무비자로 대한민국에 들어올 수 있으며, 중남미에서 유일하게 한국인들에게 비자를 요구하는 [[볼리비아]] 출신자들도 제주도에는 30일 무비자로 들어올 수 있기 때문에([[쿠바]] 국민들은 제주도로 올 때도 비자가 필요하다)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 편이다.] 등 [[원월드|같은 동맹]] 항공편 선택이 불가하여[* 반대로 김해공항에서는 일본항공을 통해 아메리칸 항공으로 연결이 가능하다. 굳이 국적기를 타고 싶다면 환승내항기라는 옵션도 있다. 정작 제주에서는 환승내항기가 다니지 않고 있으며 인천을 가려면 제주도에서 김포로 가는 비행기를 탄 후 김포-인천 육로이동을 해야 한다.] 인천을 경유하지 않고 제주 ~ 일본 ~ 미주 노선을 선택하는 건 다소 어렵기에[* 반대로 중국 경유로는 [[캐세이드래곤항공]]이라는 선택지도 있다.] 이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다. 샤먼항공은 한때 잠시 취항했으나 Flightrader24에서 비행편이 확인되지 않아 운항이 중단된것으로 보여진다. 2015년 이후 중화권으로 향하는 항공편이 약 25개 도시로 대폭 늘어났다. 제주도를 찾는 중국인들이 많이 늘어났기 때문인 듯. 위 정기노선 외에 부정기/전세기 편성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중국의 사드보복으로 중국으로 향하던 노선들이 대거 휴항하거나 감축되는 등 피해가 발생한 바 [[http://www.jejusori.net/?mod=news&act=articleView&idxno=192437|있다.]] 2017년 말에 중국이 사드 보복을 풀려는 조짐을 보이면서 중국 노선도 일부가 다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9645146|재개항되었다.]] 그러나 전성기에 비하면 확실히 노선망이 반토막 났다. 2016년 11월 22일에 제주-[[타오위안 국제공항|타이베이]] 노선을 독점 운항하던 [[부흥항공]]이 해산 및 전면 운항중단을 발표함에 따라 해당 노선 역시 단항되었지만 타이거항공 타이완이 그 노선을 그대로 이어받아 운항중이다. 신규 취항했던 [[원동항공]]은 2019년 12월부터 전면 운항중단하였으며 부흥항공처럼 해산될 가능성이 큰데다 그 사이 한국 항공사들이 운항을 개시한지라 당분간 대만 항공사는 타이거항공 타이완만 운항할 것으로 보인다. 동남아시아 노선은 [[이스타항공]]이 2015년 10월 1일부로 제주-방콕 정기편을 매일 운항하기 [[http://www.ihalla.com/read.php3?aid=1443106800514938073|시작하였으나...]] 태국 관광 비수기와 수익성 약화로 인해 2016년 6월 7일부로 단항됐다. 제주관광공사는 태국 관광 성수기가 시작되는 9월부터 다시 재취항하기로 협의중이며 이스타항공 측은 긍정적으로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88351|보고 있다.]] 2016년 9월 21일부로 복항되었다가 2달여만인 2016년 12월 1일부로 다시 단항이 결정되었다. 그리고 2017년 11월 30일부터 2018년 3월 24일까지 동계스케줄로 복항이 결정되었다. 사실상 동계 시즌 전용 노선으로 운항 중이고, 2018년 하계에도 운휴하며 8월 31일부로 복항이 예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주항공측에서 7월 19일부터 방콕-제주 노선도 개항했고 7월 29일에는 중국 노선도 증가시켰다. 2017년 3월 26일부터 [[필리핀 항공|필리핀항공]]의 마닐라행 노선이 주 2회(수/토) 운항하였으나 2018년 하계스케줄에서는 사라졌다. 대신 [[에어아시아 엑스]]가 2017년 12월 12일부로 주 4회(월/화/수/토) 쿠알라룸푸르 노선을 운항하기 시작하였다. 2019년 4월 9일 부로 티웨이항공에서 주 4회(화, 목, 금, 일) 운항하는 나고야 직항노선을 신설했다. 그리고 대한항공 발 [[나리타 국제공항|도쿄(나리타)]], [[간사이 국제공항|오사카(간사이)]] 공항행이 11월 부로 무기한 단항에 들어간다. 제주도민들은 도착지가 나리타거나 간사이 노선이 아니면 무조건 인천이나 부산을 경유해야 한다. 2020년부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가 퍼지기 시작하면서 제주공항에 있던 모든 국제선노선이 중단되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11472351&isYeonhapFlash=Y&rc=N|#]] 그리고 제주공항내의 국제선들이 전부 인천공항으로 일원화되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9800698|#]] 이후 춘추항공이 자국민 귀국 목적으로 상하이를 주 1회 임시적으로 운항했다. 진에어는 제주-시안 구간을 운항하였지만 귀국시에는 제주를 경유만 한 뒤 승객을 내리지 않고 인천에서 내려 방역절차를 밟아야 했다. 즉, 여기로 일하러 가는 제주도민은 왕복편의 경우 비행기 3번을 타야 했다는 소리다. 2021년 11월부터 [[단계적 일상회복]]이 실시되었지만, 당시 제주공항의 국제선은 아직 운항되지 않고 있다가 2022년 8월 기준 일부 노선이 재개되었다.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335225|#]] 현재 제주공항의 국제선이 운항이 되지 않고 있으니 국내선 탑승장과 국제선 탑승장의 문을 개방해서 기존 국제선 탑승장을 국내선 탑승장으로 활용하고 있다.(14~18번 게이트 가 있으며 국제선인걸 증명하듯 검역 구역이 있다.) 2022년 6월 15일 부터 [[스쿠트 항공]]이 매주 수/금/일 [[제주 국제공항|제주]]-[[싱가포르 창이 공항|싱가포르]] 운항을 시작했다. 2022년 11월 11일 부터 [[티웨이 항공]]이 [[제주 국제공항|제주]]-[[간사이공항|오사카]] 운항을 시작했다. [[https://youtu.be/21WfgFlaxSg]] == 기타 사항 == 그 외에도 [[몽골]]노선이 한시적으로 개설되었으며, 한러 무비자 협정의 영향으로 심지어는 제주도에서는 최초로 [[2014년]] [[6월 12일]]부터 [[9월 11일]]까지 [[야쿠티아항공]]에서 운영하는 러시아 노선([[하바롭스크]]노선)이 제주도에 처음으로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716703|개설되었다.]] 게다가 [[싱가포르]]와 직항전세기가 2014년 12월 2일부터 생기고 차차 몽골, 러시아 [[야쿠츠크]], 동남아 노선으로 확대될 [[http://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7187|예정]][[http://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9850|이나 2022년 4월 6일 현재도 소식이 없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제재참여로 비우호 국가로 등재 되면서 영공진입이 차단되어 있다.] [[메르스]]사태로 잠시 위축되었던 국제선도 차츰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한때 대한항공에서는 제주-오사카-괌 노선을 운항하고 있었으나 일본 노선 철수 사태 이후 인천 출발로 바뀌었다. 장기적으로 제주도에서 [[괌]], [[사이판]], [[베트남]][* [[하노이]], [[호치민]], [[다낭]] 등] 등으로 향하는 직항편 개설을 고려중에 있다. 하지만 2022년 4월6일 현재도 소식이 없는데 무산 되었거나 여전히 추진중인 것으로 보인다. [[인천국제공항]]과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의 대체 공항으로, 이들 공항의 기상이 좋지 않은 경우 [[에어 캐나다]], [[아에로멕시코]], [[아메리칸 항공]] 등 한국 지방 공항에는 코빼기도 보이지 않는 항공사들이 제주국제공항에 오게 된다. [[분류:제주국제공항]] [include(틀:포크됨2, title=제주국제공항/운항노선, d=2023-02-16 05: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