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주특별자치도 공항리무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e600-f1.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주600.jpg|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width=40]] {{{#ffffff 제주특별자치도 공항리무진 60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제주 600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이동(제주국제공항) ||<-2> 종점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토평동(서귀포KAL호텔) || ||<|2> 종점행 || 첫차 || 06:00 ||<|2> 기점행 || 첫차 || 06:00 || || 막차 || 22:50 || 막차 || 21:40 || ||<-2> 배차간격 ||<-4> 14~30분 || ||<-2> 운수사명 || [[삼영교통]] ||<-2> 인가대수 || 21대 || ||<-2> 노선 ||<-4> [[제주국제공항]] - 제주 썬호텔 - 동광환승정류장[* 서귀포방면은 5번, 제주국제공항행은 4번에 정차함] - 중문관광단지입구 - 더 쇼어호텔[* 서귀포 하얏트리젠시호텔이 더 쇼어호텔로 바뀐 후 정류장명 함께 명명] - 신라호텔 - 롯데호텔 - 한국관광공사 - 제주국제컨벤션센터 - [[제주기지전대]] - 켄싱턴리조트 - [[제주월드컵경기장]] - 샛기정공원[* 뉴경남호텔이 카사로마 호텔로 바뀐 후 샛기정공원으로 정류장명 명명] - 서귀포항 - 서귀포KAL호텔 || == 개요 == 제주국제공항에서 중문관광단지, 제주월드컵경기장을 거쳐 서귀포칼호텔까지 운행하는 공항버스 노선. [[http://map.daum.net/?map_type=TYPE_MAP&busnumsrch=%EC%A0%9C%EC%A3%BC+600|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이 노선의 역사는 199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서귀포시에서 제주시로 가는 공항버스가 없어서 도에서 제주공항 ~ 중문 ~ 서귀포항으로 노선 계획을 하고 삼영교통에 노선 인가를 하였는데 기존 시외버스 업체들이 특혜라며 반발하였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3415381|관련 기사]] 하지만 법원은 시외버스 업체들의 주장을 기각하였고 1991년 9월 28일 제주국제공항 ~ 서귀포항 구간으로 첫 운행을 하게 되었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92700289113013&editNo=4&printCount=1&publishDate=1991-09-27&officeId=00028&pageNo=13&printNo=1040&publishType=00010|관련기사]], 이 노선은 타 시외버스와 달리 한정면허[* 대한리무진만 탓할게 아니다. 여기도 한정면허 독점이다.]이었으며 1992년도에 공항버스 추가 정류장 문제를 두고 기존 시외버스 업체들이 파업했었던 흑역사가 있었으며...[[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2081700209221002&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92-08-17&officeId=00020&pageNo=21&printNo=21915&publishType=00020|관련기사]] 결국 일반 버스들의 제주국제공항 경유를 허용하면서 일단락되었다. 이후 1994년에는 종점을 서귀포 칼호텔까지로 연장하게 되었고 이후 별 변동없이 다니고 있다. 그리고 2021년 5월 20일 시내버스로 전환 인가를 받아 시내버스 면허로 전환되면서 제주특별자치도 내 시외버스는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 특징 == * 한때는 제주특별자치도 내 유일한 공항리무진 노선이었다가 2016년 12월에 혁신도시 직통 공항버스인 [[제주 버스 800|800번]]이 신설되면서 이 타이틀이 깨졌다. * [[제주 버스 800|800, 800-1번]](서귀포버스터미널, 서귀포등기소)개통 이전에는 제주국제공항에서 바로 중문관광단지에 여려호텔과 제주월드컵경기장을 이어주기 때문에 관광객 수요가 많았으나 현재는 공항에서 서귀포까지 바로 잇는 800, 800-1번의 등장과 개편 이후 [[제주 버스 182|급행버스]]의 등장으로 경쟁력이 많이 떨어져 현재는 중문관광단지 수요만 있는 편이다. '''공항리무진''' 버스인지라 요금은 하차태그 방식이 아닌 탑승할 때 일괄적으로 지불하는 거리비례 요금을 적용한다. * 평화로를 주행하는 중간에 "동광환승정류장"에서 정차한다. 서귀포방면은 5번정류장, 제주국제공항행은 4번정류장에 멈춘다. 한림환승정류장이나 화순환승정류장 방향으로 환승연결이 가능하며, 1번정류장 및 2번정류장에서 관광지순환버스 [[제주 버스 820|820번대]]와 환승이 가능하다. * 제주국제공항 1층 5번 게이트 옆 리무진 승차장[* 600번 승차장은 별다른 게이트 번호가 지정되어 있지 않다.]에서 승차할 수 있으며 현금, 티머니, 캐시비 등 선불교통카드, 후불교통카드로도 지불이 가능하다. * 제주 BIS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마을버스를 제외한 노선 중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행선 안내 전광판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전광판을 사용하는 유일한 노선이며, 관련 문제가 제기되었는지 2022년 4월 경부터 전면 유리창 상단에 600번 노선번호와 "공항 ↔ 중문 ↔ 서귀포" 스티킹 표기를 부착하여 운행되고 있다. === 요금표 === 이 노선은 제주특별자치도내의 다른 급행버스 노선과 달리 6구간 요금제를 적용하지 않고, 육지 시외버스와 유사한 요금제를 적용한다. 2019년 3월 인상 조치 전의 시외버스 운임과 유사하다. ||<-10><#f72f08> {{{#ffffff 제주 버스 600번 운임요금표}}} [br] {{{#ffffff 2022년 12월 14일 기준 }}} || || 정류장 || [[제주국제공항|제주공항]] || 동광 || 창천 || 중문[*A 중문 롯데호텔 기준] || 켄싱턴리조트 || 서귀포[*B 서귀포 칼호텔 기준] || || [[제주국제공항|제주공항]] || - || 3,500 || 4,000 || 4,500 || 5,000 || 5,500 || || 동광 || 3,500 || - || 1,300 || 1,500 || 3,000 || 3,500 || || 창천 || 4,000 || 1,300 || - || 1,500 || 2,500 || 3,000 || || 중문[*A 중문 롯데호텔 기준] || 4,500 || 1,500 || 1,500 || - || 1,500 || 2,000 || || 켄싱턴리조트 || 5,000 || 3,000 || 2,500 || 1,500 || - || 1,300 || || 서귀포[*B 서귀포 칼호텔 기준] || 5,500 || 3,500 || 3,000 || 2,000 || 1,300 || - || 자세한 요금표는 [[http://bus.jeju.go.kr/publicTrafficInformation/airportBusInfo|해당 주소]]의 요금표 파일을 참고하기 바란다. === 시간표 === [[http://bus.jeju.go.kr/schedule/view/600#|600번 노선 시간표]] == 주요 관광지 == 중문관광단지(여미지식물원, 테디베어뮤지엄, 중문색달해변), 천제연폭포, 퍼시픽랜드, 플레이케이팝박물관, 제주국제컨벤션센터, 대포해안주상절리대, 아프리카박물관, 대포포구, 약천사, 강정마을,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해군 제주기지전대]](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 서건도, 제주월드컵경기장, 익스트림아일랜드, 세리월드, 천지연폭포, 이중섭거리, 서귀포항, 새섬, 칠십리거리, 서복전시관, 정방폭포, 제주 올레길 6, 7, 7-1, 8코스가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주국제공항 경유 버스)] [[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공항버스]][[분류:1991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