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미국 국무장관)] ---- [include(틀:역대 미합중국 재무장관)] ---- [include(틀:역대 미합중국 대통령 비서실장)] ---- ||<-2>
[[파일:James_Addison_Baker_III.jpg|width=100%]] || ||<-2> '''미국의 제61대 국무장관''' || ||<-2> '''미국의 제67대 재무장관''' || || '''이름''' ||'''James Baker [br] 제임스 베이커'''|| || '''본명''' ||'''James Addison Baker III[br]제임스 애디슨 베이커 3세'''|| || '''출생일''' ||'''[[1930년]] [[4월 28일]]''' ([age(1930-04-28)]세) || || '''출생지''' ||'''미국 [[텍사스]] 주 [[휴스턴]]'''|| ||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 '''직업''' ||[[정치인]], [[변호사]]|| || '''학력''' ||[[The Hill School|더 힐 스쿨]] {{{-1 ([[졸업]])}}} [br] [[프린스턴 대학교]] {{{-1 ([[학사|BA]])}}} [br][[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1 (법학 / [[박사|LLB]])}}}|| || '''정당''' ||[include(틀:민주당(미국))] → [include(틀:공화당(미국))] {{{-1 (1970년 ~)}}}|| || '''주요[br]경력''' ||상무부 차관 {{{-1 (1975년 ~ 1976년)}}}[br]제10·16대 백악관 비서실장 {{{-1 (1981년 ~ 1985년/ 1992년 ~ 1993년)}}}[br]제67대 재무부장관 {{{-1 (1985년 ~ 1988년)}}}[br]제61대 국무부장관 {{{-1 (1989년 ~ 1992년)}}}||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제임스 베이커 서명.svg|width=150]]}}}|| ||<-2> {{{#00001b [[파일:미국 국방부 휘장.svg|width=30]] '''미군 복무''' }}} || || '''근무''' ||[[미군]]|| || '''복무''' ||1952년 – 1954년 {{{-1 (현역)}}} / 1954년 – 1958년 {{{-1 (예비역)}}}|| || '''소속''' ||[[미합중국 해병대|미 해병대]]|| || '''계급''' ||[[대위]]||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정치인. 미국 정부의 요직인 국무·재무성 2개 부서의 장관을 차례로 역임한 4번째 인물이다.[* [[존 셔먼]], [[월터 Q. 그레셤]], [[조지 P. 슐츠]]] [[제럴드 포드]], [[로널드 레이건]], [[조지 H. W. 부시|조지 부시]] 행정부에서 고위직 각료를 두루 거쳤다. 레이건 행정부 1기에서 백악관 비서실장을 지냈고, 레이건이 재선되자 재무 장관으로 기용되었다. 이 시기에 [[플라자 합의]]를 성사시켰다. [[조지 허버트 부시]]가 레이건의 후임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국무장관으로 재직했다. 국무장관 시절에는 [[소련 해체]], [[걸프전]] 등 탈냉전으로의 전환기를 겪었다. 임기 막판인 1992년 하반기부터 나머지 수개월 동안은 다시 백악관 비서실장을 맡았지만, 그해 대선에서 부시가 민주당의 [[빌 클린턴]]에 패해 재선에 실패하면서 그의 공직 생활도 끝났다. 2000년 미국 대선에서는 조지 허버트 부시의 아들 [[조지 워커 부시]]측 캠프의 법률 자문으로 참여해 당선에 기여했다. 이러한 인생 역정으로 인해, '[[부시 가문]]의 가신'으로 인식되고 있다. [[분류:미국 국무장관]][[분류:1930년 출생]][[분류:휴스턴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군인]][[분류:텍사스 대학교 출신]][[분류:프린스턴 대학교 출신]][[분류:군인 출신 정치인]][[분류:미국 공화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