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제이미 다이먼}}}[br]Jamie Dim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904F8B8-7E36-4AEF-A93F-A70FEEED1D98.jpg|width=100%]]}}} || || '''본명''' ||제이미 L. 다이먼 [br] Jamie L. Dimon || ||<|2> '''출생''' ||[[1956년]] [[3월 13일]] ([age(1956-03-13)]세)|| ||[[미국]] [[뉴욕 주]] [[뉴욕]]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학력''' ||[[터프츠 대학교]] {{{-2 ( 심리학 , 경제학 / 학사 )}}}[br][[하버드 대학교]] {{{-2 (경영학 / 석사 / [[MBA]])}}} || || '''직업''' ||[[기업인]] || || '''현직''' ||[[JP모건 체이스]] CEO^^(2006년 1월~ )^^[br]JP모건 체이스 이사회 의장^^(2007년 1월~ )^^ || || '''재산''' ||17억 달러^^(2023년 9월)^^ || || '''경력''' ||[[아메리칸 익스프레스]][br]커머셜 크레딧 CFO[br]트레블러스 코프 COO^^(1990~1998년)^^[br][[씨티은행]] 사장^^(1998년)^^[br]뱅크원 CEO^^(2000~2004년)^^[br]JP모건 체이스 COO^^(2004~2006년)^^ || || '''배우자''' ||주디스 켄트^^(1983년~)^^ || || '''자녀''' ||세 명 || ||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링크''' ||[[https://www.jpmorganchase.com/about/our-leadership/jamie-dimo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개요 == [[미국]]의 [[기업인]]. 1998년에 당대 미국 최대 금융업체이던 [[씨티그룹]]에 몸을 담았지만 사내 정치에 의해 퇴출된 후 CEO로 들어간 뱅크원이 [[JP모건 체이스]]와 합병하면서 2006년부터 모회사의 CEO를 맡게 되었다. 이후 ‘타도 씨티그룹’을 외치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당시 [[베어스턴스]]와 [[워싱턴 뮤추얼]] 등 부실 은행들을 헐값에 인수하면서 몸집을 키웠고 결국 JP모건 체이스를 미국 내 3위권 은행에서 세계 1위로 올려놓는데 성공한다. 별명은 '[[월스트리트]]의 [[태양신]]'. [[제프 베조스]]가 가장 존경한다고 밝힌 CEO 중 1명이다. == 여담 == 2023년 10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미래 투자 이니셔티브 서밋' 행사에 참석해 18개월 전 연준의 정책 방향성이 틀렸던 점을 지적하며 "전체 금리 커브가 100bp 상승할지 여부를 대비하라고 촉구하고 싶다"고 언급했다. 같은주 [[빌 애크먼]]이 지정학적 위험성으로 인해 30년물 미국채 숏 포지션을 청산했다고 언급한 바와 180도 상반되는 발언이다. 또한 중앙은행과 정부의 전능함보다도 전쟁 등으로 인한 지정학적 위험성이 매우 우려스럽다고 했다. 이 외에도 다이먼은 최근 연방기금금리가 7%까지 오를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분류:1956년 출생]][[분류:미국의 기업인]][[분류:그리스계 미국인]][[분류:뉴욕 시 출신 인물]][[분류:터프츠 대학교 출신]][[분류: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하버드 대학교 MBA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