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제왕(유희왕 러시 듀얼))] [include(틀:유희왕/OCG/테마)] ||<:><-3><#000000>'''{{{#!html게임별 제왕}}}''' ||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 || [[제왕(유희왕 러시 듀얼)|유희왕 러시 듀얼]] || ||<:><-6>
'''{{{#!html제왕}}}''' || ||<-6><#fff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omainoftheTrueMonarchs-MADU-EN-VG-artwork.png|width=100%]][br] ,,[[제왕(유희왕)#진제왕영역|{{{#000000 진제왕영역}}}]],,}}}|| || '''{{{#!html한국어판 명칭}}}''' ||<-5><#fff> '''제왕''' || || '''{{{#!html일어판 명칭}}}''' ||<-5><#fff> '''[ruby(帝, ruby=てい)][* 몬스터 카드의 경우.]''' / '''[ruby(帝王, ruby=ていおう)][* 카드군화된 마법 / 함정 카드의 경우.]''' || || '''{{{#!html영어판 명칭}}}''' ||<-5><#fff> '''Monarch'''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1><#fff>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다양]] ||<-2><^|1><#fff>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다양]] ||<-2><^|1><#fff> 효과, '''[[어드밴스 소환|어드밴스]]''' || [목차] == 개요 == [[천공의 성역(부스터 팩)|천공의 성역]][* 2003년 11월 20일에 발매되었다.]에서 등장한 [[번개 제왕 자보르그]]를 시작으로 하여 하나씩 나온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블랙 매지션(유희왕/카드군)|블랙 매지션]]이나 [[푸른 눈]]만큼은 아니지만 유희왕 OCG/TCG의 역사를 경험한 카드군 중 하나다. 특히 예전부터 존재했을 뿐, 비교적 최근에서야 떠오른 둘에 비해 제왕은 오랫동안 대회에서 실제로 크게 활약했던 카드군이라는 데 그 발자취가 매우 크다. 핵심 몬스터들은 전부 상급으로, 원판 이름이 모두 공통적으로 "O제(帝) XXX"의 패턴을 따르고 있다. 핵심 몬스터들은 전부 형형색색의 화려한 갑주를 두른 거인[* 애니메이션이나 코믹스에 등장할 때엔 크기에 변동이 약간 있다.]의 형상을 하고 있다. 능력치는 공통적으로 공격력 2400, 수비력이 1000, 레벨은 6이며[* 예외로 번개 제왕 자보르그는 레벨 5다.] [[어드밴스 소환]]했을 때 발동하는 유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속성은 다양하여 신 속성을 제외한 모든 속성에 속하는 제왕들이 전부 있다. 상급 제왕은 현재까지 총 9장으로, 빛 속성은 2번, 어둠 속성은 3번 중복된다. 빙제 뫼비우스를 빼면 전부 강제 효과라는 점, 또 어드밴스 세트 후 반전 소환하거나 특수 소환해 버리면 효과가 발동하지 않음에 주의해야 한다. ||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Monarchs_Linework.jpg|width=100%]]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의 설정화[* 설정화에 있는 몬스터는 왼쪽 위부터 각각 [[번개 제왕 자보르그]], [[빙제 뫼비우스]], [[땅의 제왕 그란마그]].]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빛의 결사 편|빛의 결사 편]]에서는 [[사이오 미즈치]]의 부하들인 [[4제]](四帝)가 주력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 75화[* 2006년 3월 8일 방영]에선 자보르그와 빙제 뫼비우스가 등장하고 77화엔 전원이 등장했는데... 아직 [[바람 제왕 라이저]]도 발매되지 않았던 때라 자보르그, 뫼비우스, 테스탈로스, 그란마그가 전부였다. 이들은 1명당 하나씩의 제왕을 사용했기 때문에 자보르그와 뫼비우스의 서포트 카드도 볼 수 있었다.[* 나중엔 이 4대 천왕을 릴리스해 [[데미우르고스 EMA|조물주 EMA]]가 소환되었다.] [[유희왕 ARC-V]]에서는 [[사와타리 신고]]가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 애니메이션에선 [[빙제 뫼비우스]] 중심 카드를 사용하고, [[유희왕 ARC-V(코믹스)|코믹스]]에선 [[마 제왕 앙그마르]]와 [[명 제왕 에레보스]]를 사용했다. [[유희왕 크로스 듀얼]]에서 라이저, 자보르그가 연달아 레이드 듀얼로 등장한 것으로 보아, 다음 레이드 듀얼에서도 제왕 시리즈들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 아마도 제왕 시리즈가 레이드 듀얼 테마로 뽑힌 듯하다. 하지만 크로스 듀얼이 이른 시기에 서비스 종료를 알리면서 실제로 이뤄지진 않았다. 한편, 얼음 제왕 가신을 제외한 실장된 가신들의 플레이버 텍스트는 어딘가 약을 빤 듯한 개그성 텍스트로 이뤄져 있다. == 설명 == === 명칭 관련 ===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카드군이지만 의외로 제왕 '몬스터'들은 정식 카드군이 아니다. 하지만 웃기게도 제왕을 지원하는 마법 / 함정 카드들은 정식 카드군이 맞다. 진화체인 레벨 8 '최상급 제왕', 그리고 각 제왕을 섬기는 하급 몬스터 '가신'과 '종기'(섬기는 기사)들 또한 [[帝]]가 이름에 포함되어 있어 제왕 몬스터이긴 하나 여전히 카드군은 아니다. 그래도 제왕 몬스터들은 몬스터들끼리는 물론이고 이런 서포트 카드들과도 모두 함께 쓰이기 때문에 제왕은 실질적으로는 하나의 카드군으로 취급받는다. 제왕 몬스터가 카드군으로 엮이기 어려운 이유는, 제왕들 이름의 공통분모라고 할 수 있는 '제' 자는 다른 카드에도 널리 쓰이기 때문에 이름으로 카드군을 만들려면 온갖 다른 카드들이 포함된다. 하여 제왕 몬스터를 카드군으로 만들려면 스피릿처럼 이름과는 무관한 별도의 카테고리를 만들어야 해결될 수 있다. 원래 일본판에서는 '帝(임금 제)' 한 글자를 써서 뇌제, 빙제, 지제, 염제 같은 식으로 이름을 쓰는 카드들이다. 하지만 이걸 한글판에서 그대로 내면 아이들이 무슨 소리인지 못 알아볼 것 같았는지 한국은 '번개 제왕' 같은 식으로 뜻을 풀어서 번역해 놓았다.[* [[빙제 뫼비우스]]는 예외. 2번째로 등장한 제왕이어서 번개 제왕 자보르그와의 관계를 눈치채지도 못한 것이라는 해석이 강하며, 결국 이 이후에 발매되는 제왕 계열 카드부터는 일본 코나미의 감수를 받아서 번역을 하게 되었고 [[제왕]]이라는 칭호로 번역을 통일했다고 한다. 그 결과 [[사 제왕 가이우스]] 등의 막장 번역도 나왔지만...] 덕분에 일본에서는 帝 한 글자로 통용되는 반면 한국에서는 두 글자로 '제왕'이라고 불리고 있었다. 하지만 [[일본]]에서도 어느 순간부터 관련 마법 / 함정 카드 이름에 '[[帝]][[王]]([[제왕]])'이라는 명칭이 들어가더니, 결국 공식 광고, 제품 이름 등에서도 이 몬스터들을 '제왕'이라고 칭하기 시작했다. '제왕'이 이름에 들어가는 마법 / 함정 카드들은 테마가 되었는데, 몬스터는 너무나도 흔한 한자인 제(帝)만이 공통점이라 그런지 테마가 되지는 못했고, 제왕의 개암 등을 참고하면 알 수 있듯이 능력치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제왕 몬스터들을 서술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제왕 몬스터들은 카드군이 아니지만 마법 / 함정 카드는 카드군이 맞다. 지금까지 등장한 제왕들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속성 || 키워드 || 상급 제왕 || 제왕가신 / 제왕종기 || 최상급 제왕 || 진화 과정 || || 빛 || 번개(雷) || [[번개 제왕 자보르그#s-1]] || 번개 제왕가신 미스라 || [[번개 제왕 자보르그#s-2|웅장한 번개 제왕 자보르그]] || 제왕의 굉의 || || 물 || 얼음(氷) || [[빙제 뫼비우스#s-1]] || 얼음 제왕가신 에셔 || [[빙제 뫼비우스#s-2|차가운 얼음 제왕 뫼비우스]] || 제왕의 동지 || || 화염 || 화염(炎) || [[화염 제왕 테스탈로스#s-1]] || 화염 제왕가신 베르리네스 || [[화염 제왕 테스탈로스#s-2|난폭한 화염 제왕 테스탈로스]] || 제왕의 용격 || || 땅 || 땅(地) || [[땅의 제왕 그란마그#s-1]] || 땅의 제왕가신 랜드로브 || [[땅의 제왕 그란마그#s-2|강력한 땅의 제왕 그란마그]] || 제왕의 개암 || || 바람 || 바람(風) || [[바람 제왕 라이저#s-1]] || 바람 제왕가신 가룸 || [[바람 제왕 라이저#s-2|세찬 바람의 제왕 라이저]] || 제왕의 열선 || || 어둠 || 사악함(邪) || [[사 제왕 가이우스#s-1]] || 사 제왕가신 루키우스 || [[사 제왕 가이우스#s-2|원사 제왕 가이우스]] || 제왕의 심원 || || 빛 || 빛(光), 천계(天) || [[빛의 제왕 크라이스]] || 천 제왕종기 이데아[* 같은 전사족이다.] || [[천 제왕 아이테르]] || ''없음'' || || 어둠 || 어둠(闇), 명계(冥) || [[어둠 제왕 딜그]] || 명 제왕종기 에이도스[* 같은 마법사족이다.] || [[명 제왕 에레보스]] || ''없음'' || || 어둠 || 마법(魔)[* 모티브도 그렇고 마법 카드를 사용하는 제왕이다.] || [[마 제왕 앙그마르]] || || || ''없음'' || 이후 [[듀얼리스트 넥서스]]에서 진화형에 이어 '''합체형'''도 등장하게 되었다. === 설정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P4M7HO2Oc4)]}}}|| || '''{{{#ffffff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 언급된 제왕의 설정}}}''' || >이 세계에는, 파괴라는 개념 그 자체가 형태가 된 존재가 있다.[br]그 존재의 당당한 풍채와, 행동거지는, 흡사 「제왕」과도 같았다.[br]그 「제왕」들이 무엇을 목적으로 세계를 게속 파괴하는지는 누구도 알 수 없다.[br]그저 한결같이, 초월적인 힘을 휘두르며,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을 무로 되돌린다. > >[[번개 제왕 자보르그|뇌명을 떨치고]] [[빙제 뫼비우스|나무들을 얼어붙게 만든다]].[br][[화염 제왕 테스탈로스|산을 불태우며]], [[땅의 제왕 그란마그|대지를 부순다]].[br][[바람 제왕 라이저|폭풍을 일으키며]], [[사 제왕 가이우스|깊이를 알 수 없는 어둠에 가라앉힌다]].[br]세계는 미친 듯이 날뛰는, 폭위에 노출되었다.[br]그리고 파괴할 것이 없어지면, 또 다른 파괴를 추구하며 다른 땅으로 진군하는 것이었다. > >이 파괴를 눈앞에서 보면, 두려움을 품지 않을 수 없는 자는 없다.[br]그 이전에, 그 자리에 있었던 자는, 순식간에 소멸할 운명이었겠지만 말이다. > >그리고, 이 세계의 파괴자들 중에는, 시초가 되는 존재가 있다.[br]다른 파괴자를 엎드리게 만들 정도의 압도적인 위압감과, 격이 다른 힘을 가지고 있는,[br]「[[명 제왕 에레보스]]」.[br]옥좌에 앉아, 어둠 속에 있으며, 짙은 어둠을 풍기는 명 제왕 에레보스는 자못 당연한 듯이 세계의 괴멸을 바라본다. >---- >파괴의 개념 그 자체인 「제왕」들의 진격은 이어졌다.[br]이미 얼마나 많은 세계를 멸망시켜 온 것일까.[br][[번개 제왕 자보르그#웅장한 번개 제왕 자보르그|웅장한 번개]], [[빙제 뫼비우스#차가운 얼음 제왕 뫼비우스|얼어붙은 눈]], [[화염 제왕 테스탈로스#난폭한 화염 제왕 테스탈로스|뜨거운 용암]] 그리고 [[땅의 제왕 그란마그#강력한 땅의 제왕 그란마그|지각 변동]]. 온갖 파괴의 모습이 세계를 습격했다.[br]「제왕」들은 진격하면서도 새로운 힘을 손에 넣어, 파괴할 수 있는 최대한을 파괴해 갔다. > >그 힘은 모든 것에게, 평등하게 내려왔다.[br]「제왕」들이 파괴하고 있는 것을, 자각하고 있는지는 알 길이 없다.[br]단지 한결같이, 담담하게, 그들의 시야에 들어온 것을, 풍경까지 모두 파괴해 나가며 전진할 뿐이다. > >하지만, 모든 게 파괴되어 버린 땅에, 하늘에서 강림한 창조자가 있었다.[br]「[[천 제왕 아이테르]]」[br]소멸을 기다릴 뿐인 세계에 찾아온 기적과도 같은 구원이었다.[br]이 찬란하게 빛나는 존재를 「제왕」의 일부로 세어도 되는 건지는 모른다. > >창조자가 강림한 세계는 느리게 재생을 시작했다. 이 재생한 세계도, 언젠가 다시 파괴의 「제왕」들에게 부서질 날이 올 것이다.[br]하지만, 「천 제왕 아이테르」는 아무런 대가도 없이, 다시금 붕괴한 세계를 소생의 빛으로 채워나갈 것이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스토리 모드, '절대적인 제왕'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 밝혀진 설정에 의하면 이들은 지나가는 곳마다 있는 모든 것을 파괴하는 정체불명, 목적 불명의 파괴자들이며 그 풍채와 행동거지 때문에 제왕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명 제왕 에레보스는 제왕들의 리더로, 다른 제왕들의 파괴를 지켜보고 있다. 반대로 아이테르는 제왕들이 파괴를 행한 곳에 내려와 창조의 빛을 나눠주는 존재로, 행동 양상이 정반대이므로 다른 제왕들과는 별개의 존재로 보이지만 일단은 제왕이라 불리고 있다. 제왕들이 무슨 목적을 갖고 세계를 파괴하는지는 불명이지만 제왕의 여흥이라는 덱 이름을 보아 이 모든 행위를 그저 하나의 놀이라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게임 내에선 성유물 필드의 BGM이 제왕 전용 테마로 취급받고 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OFcnUfeklgA|#]][[https://www.youtube.com/watch?v=J34tZw8Gofk|#]][* 필드 테마처럼 성잔 스토리에서도 나오고 [[종언의 왕 데미스|데미스]]&[[파멸의 여신 루인|루인]] 콤비의 스토리에서도 이 테마곡이 나오나, 제왕이 인지도가 높기도 하고, 튜토리얼을 제외하면 처음으로 나오는 스토리 모드라 제왕의 테마곡으로 각인된 듯하다. 무엇보다 이 곡이 성유물보다 제왕이 더 어울리기도 하고. 라틴어로 되어있는 곡 가사도 통상, 에이스카드 소환 상태의 음악은 무차별적으로 파괴하는 제왕들을, 클라이막스 음악은 제왕들에 의해 파괴된 곳을 창조의 빛을 나눠주는 아이테르를 경배하는 사람들을 표현함을 해석할 수 있다.][* 다만 이 필드는 전반적인 디자인과 메이트 베이스의 문양을 보았을 때, [[샐러맨그레이트]] 성역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 성능 === 제왕 덱은 여러 테마가 있지만, 핵심은 언제나 어드밴스 소환이다. 제왕들은 1장의 릴리스 소재로 어드밴스 소환했을 때 효과를 발동하는 상급 몬스터들이다. 그러므로 릴리스 소재를 얼마나 안정적이고 수월하게 확보하느냐가 운영의 관건이다. 끊임없는 릴리스 소재 수급으로 제왕들을 최대한 자주 소환해서 제거와 비트 다운으로 승부를 보는 것이 대개 제왕의 운영 방식이다. === 장점 === * '''현존하는 모든 테마군중 가장 강력한 엑스트라 덱 카운터 능력''' 제왕은 유희왕에서 가장 안티 엑스트라 덱 성향이 강한 테마다. 제왕은 진룡, Kozmo와 더불어 유희왕의 가장 대표적인 어드밴스 소환 테마 카드군이다. 그래서 엑스트라 덱 의존도가 낮다 못해 아예 없다. 거기다 진제왕영역으로 적의 엑스트라 덱까지 봉쇄한다. 단순히 적의 엑스트라 덱을 봉쇄한다는 측면에서는 가장 강력한 성능을 지닌 카드군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왕에 대한 별다른 대응 수단 없이 엑스트라 덱 의존도가 높은 적을 상대로는 우세를 점하기 쉽다.[* 이런 엑스트라 덱 의존도가 높은 대표적인 테마군으로는 테마군 몬스터가 전부 융합 몬스터로만 구성된 [[루닉]], 엑시즈 몬스터인 유토피아를 중심으로 운영하는 [[유토피아(유희왕)|유토피아 테마군]], 테마군의 핵심 몬스터들이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되는 [[다이놀피어]], [[데스완구]], [[엑소시스터]], [[섬도희]] 등등...수없이 많은 테마군이 이 진제왕성역에 제대로 당하게 된다.] * '''강력한 돌파력''' 높은 전투력과 강력한 효과 덕분에 자신의 턴에 적의 진영을 분쇄하는 능력이 매우 우수하다. 일단 전투력 부분에서는, 제왕 덱은 덱의 특성상 상급/최상급 몬스터를 다수 운영하는 특성상 평균 타점이 높게 형성된다. 거기다가 진제왕영역의 서포트를 받으면 상급 몬스터도 공격력이 3000을 넘을 수 있다. 효과 부분에서는, 에레보스, 가이우스, 자보르그 등 상대의 카드를 제거하는 효과의 몬스터들이 많이 있고, 제왕의 열선으로 아무리 내성이 많이 달려 있더라도 적 몬스터 1체를 제거할 수도 있다. * '''강력한 견제 능력''' 제왕의 돌파력 못지않게 중요한 특징은 그 강력한 견제 능력이다. 제왕의 열선이나 연격의 제왕 덕 상대 턴에도 자신의 몬스터들을 전개할 수 있다는 것은 상당한 강점이다. 특히, 제왕은 적의 움직임을 봉쇄하는 데 상당히 특화되어 있다. 진제왕영역을 위시한 엑스트라 덱 봉쇄 능력은 물론이고, 함께 쓰이는 [[마제스티 데블]]이나 배너티 데블까지 전개되어 있다면 적의 입장에서는 거의 숨이 막힌다. * '''높은 호환성''' 효과 발동이 어드밴스 소환이라는 조건을 공유하는 특성상, 제왕 몬스터들의 호환성이 매우 높다. 각 제왕들이 매우 개성적이면서도 다양한 능력을 지니고 있어서 상황에 따라서 제왕 몬스터를 교체하는 것으로 특정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 진 풍제는 드로우 제약과 묘지 자원 탈취 및 바운스 * 진 빙제는 강압적인 마법 / 함정 파괴 * 진 염제는 핸드 데스와 번 데미지 * 진 지제는 세트 견제와 드로우 * 진 뢰제는 엑스트라 덱 말살 * 진 사제는 번 데미지와 어둠 속성 한정 카드 말살 그리고 제왕종기, 제왕 마함의 경우 제왕 이외의 다른 몬스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제약을 두지 않아서 다른 상급/최상급 몬스터도 원하는 대로 같이 사용이 가능하다. 이는 대회에서 특히 빛을 보게 해주는데, 3전 2선승에 사이드 덱이 허용되는 룰에서는 사이드 교환을 통해 아주 약간의 교체만으로 상대에게 상성적 우위를 점할 수 있다. * '''안정적이고 수비적인 플레이''' 진원의 제왕은 프리 체인으로 묘지에서 소환하는 함정 카드이다. 수비력이 2400이나 되기 때문에 타점이 낮은 덱 상대로 어느 정도 시간을 벌어줄 수 있으며 한 턴에 한 번이지만 묘지에 마법 / 함정이 남아돈다면 계속해서 부활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든든하게 작용된다. * '''우수한 덱 순환력''' 제왕들의 서치력과 덱 순환력은 상당한 편이다. 범신의 2장 드로우 효과와 서치 효과, 심원, 개암의 서치 효과, 명 제왕 에레보스와 천 제왕 아이테르의 덤핑 효과, 천 제왕종기 이데아의 제외 존 샐비지, 그리고 진원의 제왕의 묘지 재활용과 드로우 등으로 인해 한번 순환을 시작한다면 자원 수급이 매우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 '''저렴한 가격''' 다른 카드군들에 비해 덱 구축에 드는 비용이 '''매우''' 저렴하다. 카드군의 핵심 파츠들은 대부분을 스트럭처 덱인 [[진제왕강림]]만으로 충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순히 스트럭처 덱을 3개 사는 것만으로도 진제왕, 제왕가신, 제왕 마법 / 함정을 필요한 만큼 거의 다 획득할 수 있다. 진제왕강림이 비교적 옛날 스트럭처 덱이라서 신 마스터 룰 시절의 스트럭처 덱보다 저렴한 것은 덤. 거기다 제왕 덱의 특성상 엑스트라 덱을 아예 안 쓰다 보니 값비싼 최상급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을 쓸 이유가 없으며, 핵심 카드들만 넣어도 덱 스페이스가 꽤나 빡빡해져서 반강제적으로 패 트랩들이 거의 쓰이지 않는다. 초인기 [[패 트랩]]들 다수가 의외로 꽤나 고가이기 때문에 패 트랩을 적게 쓰는 것은 금전적인 부담을 줄여 준다. 진제왕강림 이후에도 스트럭처 덱 3통으로만 짤 수 있는 덱이 많이 등장했고, [[진룡(유희왕)|진룡]]같이 부스터 팩 출신임에도 저렴한 덱들이 많이 등장했지만, 여전히 저렴한 덱 중에서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시간이 오래 지난 만큼 진제왕강림이 단종되면서 덱을 짜는 난이도는 높아졌다. === 단점 === * '''부족한 덱 공간''' 엑스트라 덱 의존도가 적은 대신 메인 덱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그래서 전용 서포트 카드만 채워 넣어도 덱 스페이스가 굉장히 빡빡하다. 이는 범용성 있는 필수 카드들을 넣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2010년대 후반 들어 절대적인 필수 카드인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도 채용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그나마 어드밴티지를 불려주는 [[증식의 G]]는 자주 채용한다. 하루 우라라나 [[유령토끼]]도 분명 취향에 따라 투입하지만, 대개는 그럴 여유가 없다. * '''잦은 패 말림''' 어드밴스 소환 테마답게 필연적인 단점이자 제왕의 가장 치명적인 약점이다. 제왕의 전용 서치 카드들은 전부 선행 조건을 달고 있어서 한 장으로는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즉, 전개가 어느 정도 된 상태라면 괜찮지만, 초반에 아무런 빌드가 없는 상태에서는 서치가 힘들다. 그런데 정작 서치의 필요성이 가장 중요한 것은 초반부이다. 결과적으로 제왕의 초반 서치력과 전개력은 대단히 취약하다. 이런 문제는 범용 드로우 카드들로 해결할 수 있지만, 제왕은 이조차도 덱 스페이스가 빡빡해서 채용하기 힘들다.[* 전술했듯이 덱 스페이스가 좁은 문제도 있고, [[항아리(유희왕)|항아리]] 카드들 같은 카드들은 디메리트가 제왕 덱에서 감당하기 힘들다.] 그나마 상급, 최상급 제왕들만 패에 잡혔다면 제왕의 열선 등으로 어떻게 보완할 수 있다. 그러나 하급 몬스터만 잡히거나 최상급 몬스터를 못 잡으면 패 1장 싸움에서 좋은 패를 잡는 것 외엔 답이 없다. 일단 핵심 파츠인 최상급 제왕을 빨리 손에 넣지 못하면 밀릴 가능성이 높다. 이는 제왕의 개암을 비롯한 모든 제왕류 서치 카드들조차도 일단 필드에 어드밴스 소환한 몬스터가 하나라도 있어야 발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뒤떨어지는 전개력''' 마찬가지로 어드밴스 소환 테마 카드군의 필연적인 한계이다. 제왕 덱의 전개력은 어드밴스 소환 테마로서는 우수한 편이다. 그러나 역시 각종 특수 소환 테마 카드군들에 비해서는 크게 뒤떨어진다. *'''어드밴스 소환을 봉쇄하는 카드에 매우 취약함''' 어드밴스 소환 테마의 필연적인 단점. [[제물봉인 가면]], [[언데드 월드]] 등 어드밴스 소환을 봉쇄하는 카드가 필드 위에 놓여 있다면 플레이가 크게 제약되게 된다. 그나마 명 제왕 에레보스가 언데드족이라 언데드 월드는 조금이나마 영향을 덜 받긴 한다. 제물봉인 가면은 사실상 볼 일이 없지만 만약 다른 어드밴스 소환 테마가 티어에 올라서 사이드에 모습을 보이게 된다면 제왕 덱도 덩달아 큰 피해를 보게 된다. 물론 [[얼터가이스트]]가 테마일 때 다른 함떡 덱들이 피해를 본 것처럼 메타에 따라서 비슷한 방식의 테마들이 사이드 덱으로 피해를 보는 건 당연한 거다만 제왕은 핵심 자체가 어드밴스 소환이며, 특유의 엑스트라 덱 카운터 등 거의 모든 힘이 어드밴스 소환을 해야만 이루어지기에 다른 덱들보다 큰 피해를 보게 된다. * '''낮은 수비력''' 타점은 높지만, 제왕들은 가신부터 최상급 제왕까지 모두 수비력이 1000이다. 그렇기 때문에 [[궁극의 전도 티라노]]나 [[No.41 이수마수 바구스카]]를 위시한 링크 몬스터들에 취약하다. 또한, 흔하지는 않지만 [[그림자의 덱 파괴 바이러스]]가 뜨면 몬스터들이 죄다 묘지로 가는 충격적인 상황이 펼쳐지기도 한다. * '''패 트랩에 취약함''' [[부유벚꽃]]을 뺀, 대부분의 메이저 패 트랩들에 대단히 취약하다. 특히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는 천적이라고 할 만하다. 천제, 명제, 빛제, 천제종기, 명제종기 묘지 효과, 범신, 심원, 개암, 증원, 원 포 원 등의 핵심 카드를 모조리 하루 우라라 하나에 막히기 때문이다. [[이펙트 뵐러]]는 말할 것도 없고, 어드밴스 소환 카드군이지만 릴리스 소재 확보를 위해 특수 소환이 불가피하므로 [[증식의 G]]에도 취약하다. 그 외에도 [[유령토끼]]에겐 개암이나 영역이, [[저택 와라시]]에게는 에이도스의 부활 효과와 에레보스의 회수 효과가 막힌다. 그나마 소환 시 체인을 꼬아서 어느 정도 보완하는 것이 가능하기는 하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개암을 이용한 가드. 하지만 이것도 한계가 있고, 하루 우라라를 풀 투입하는 것이 당연시되는 환경에서 지옥이 따로 없다. 다행히 패 트랩을 틀어막는 [[무덤의 지명자]]의 발매로 부담이 비교적 줄었다. * '''어려운 운용 난이도''' 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입문자들에게 잘 추천하지 않는 이유. 상대하는 덱에 따라 어느 제왕이 잘 먹힐지, 열선으로 무엇을 먹어야 할지는 일일이 숙지해야 할 사항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에레보스, 아이테르로 인해 순식간에 사라지는 덱의 마법/함정 갯수를 잘 계산하고 운용하는 플레이이다. 덱 마법 / 함정이 1종류인데 에레보스, 아이테르 효과를 선언한 다음 덱을 확인하는 행위는 '''저지 킬'''까지 볼 수 있는 룰 위반 행위이다. 패 말림을 어찌 보완할 건지에 대한 덱 편성 실력도 필요하고,[* 이게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보다 [[증식의 G]]가 더 선호되는 이유다. 증식의 G는 하루 우라라가 할 수 없는 어드밴티지 보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패 트랩에 키 카드가 막히지 않도록 체인 트리를 잘 관리하는 룰 센스도 대단히 중요하다. 쉽게 말해, 파워 자체는 불도저와도 같지만 그 힘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역량이 굉장히 중요하다. === 역사 === ==== [[진제왕강림]] 발매 이전 ==== ||<-5>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파일: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로고.png|width=200px]]]][br]{{{+1 {{{#040404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040404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우승 덱'''}}}}}} || || 2006년 ||<|2> → || 2007년 ||<|2> → || 2008년 || || [[카오스 덱|카오스]] || '''제왕''' || [[검투수]] || [[번개 제왕 자보르그]]를 시작으로 부스터팩마다 제왕 몬스터들이 발매되어 빙, 염, 지, 뇌 4제가 사실상 하나의 유사 카드군을 형성했다. 이때까지는 일반 소환 위주의 환경이어서 어드밴스 소환에서만큼은 최고의 효율을 자랑하던 제왕들이 사실상 가장 잘나가는 카드군 중 하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들보다 잘나갔던 카드군으로는 그 유명한 카오스가 있지만, 이들은 지나치게 강력해서 금제의 철퇴를 맞았기 때문에 제왕처럼 장기 집권을 하지는 못했다.] 릴리스 1장만으로 손쉽게 튀어나오는 주제에 강력한 효과와 안정적인 타점을 자랑하여 제왕들은 유저들로부터 다양한 방식으로 각광받았다. 제왕 덱 자체도 당연히 강력했지만, 제왕들이 개별적으로 다양한 덱의 용병으로 기용되기도 했다. 특히, 최고의 마법 / 함정 견제력을 가졌던 빙제 뫼비우스는 거의 모든 덱의 필카 취급이었다. [[마스터 듀얼|신 익스퍼트 룰]] 시절에는 사실상 유희왕을 지배했다시피 한 카드군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때 제왕의 위세가 얼마나 대단했는지 4대 승률 덱에 항상 들어갔었고, 각종 공인 대회 순위권도 제왕이 휩쓸었다. 이런 강력함에 비해 상대적으로 운용 난이도도 낮고, 가격도 저렴했던 데다, 덱 형태도 폭넓은 막강한 범용성까지 갖추어 고수와 하수를 가리지 않고 애용되었다. 2007년에 열린 월드 챔피언십 우승을 제왕 덱이 차지했으며, 한국 지부 예선때 4강 진출자 전원이 이 제왕 덱을 사용할 정도였다. 특히 2008년에 발매된, 제왕의 새로운 에이스 바람 제왕 라이저는 제왕의 인기에 기름을 부었다.[* 바람 제왕 라이저는 그 극강의 효과와 범용성 덕에 거의 모든 덱에 투입되며 제한 카드 목록에까지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이때 제왕의 위세는 과장을 보태서 밸런스 패치된 '''정룡''' 수준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2008년에 접어들 즈음에는 이미 제왕의 패권은 종말을 고하고 있었다. 라이트로드나 검투수를 비롯한 여러 강력한 카드군이 발매되었고, 결정적으로 유희왕 파워 인플레의 기폭점이라고 할 수 있었던 싱크로 소환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왕이 완전히 밀려난 것은 아니고 아직 상당한 파워를 발휘하고 있었던 때이기도 했다. 제왕의 전용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인 [[황제의 강림]]이 진작에 발매되어서 제왕도 파워 인플레이션에 발을 맞출 수 있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새로 등장한 [[사 제왕 가이우스]]는 풍제 라이저도 능가하는 위력과 범용성으로 제왕 덱의 새로운 에이스로 자리 잡았고, 제왕 덱의 위상을 크게 끌어올렸다. 2008년과 2009년에 가장 크게 유행했던 제왕 덱은 바로 제외와 제왕을 결합시킨 차원제왕 덱으로서 상당한 고승률 덱이었다. 2009년 9월 1일자로 바람 제왕 라이저가 무제한으로 내려왔다. 다시 제왕 덱이 판을 치는 거 아닌가 하는 우려도 나왔으나 특수 소환 위주의 환경 때문에 이전만큼의 힘은 쓸 수 없었다. 북미판 유희왕인 TCG 한정 카드인 [[사이킥족]]의 [[사이코 엠페러]]는 이름과 레벨, 공격력 / 수비력, 소환 시 효과 발동이라는 점을 볼 때 이 제왕 카드를 본따 만들었다는 것을 알수있다. 하지만 정작 제왕들의 영어 명칭은 Monarch. 아무튼 만약에 이 녀석까지 합친다면 제왕은 빛 속성만 4마리… 세월이 흐르고 싱크로, 엑시즈 몬스터가 등장하면서 듀얼 양상이 특수 소환 위주의 빠른 전개로 바뀌고 있어 어드밴스 소환을 원동력으로 삼는 제왕 덱은 서서히 물러나는 추세이다. 하지만 폭 넓은 카드 수용력으로 높은 승률을 자랑하는 기묘한 카드군이기도 하다. 그런데 [[섀도우 스펙터즈]]에서 강력한 땅의 제왕 그란마그를 시작으로 '''제왕의 진화체'''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뿐만 아니라 제왕의 개암이라는 카드에서 그동안 나온 제왕 카드들이 '''공격력 2400 / 수비력 1000을 가지는 몬스터'''로 지정되면서 기묘한 형태로 카테고리화되었다. 진화한 제왕들 역시 '''공격력 2800 / 수비력 1000을 가지는 몬스터'''로 지정되어 지원하는 카드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 서포트 카드들은 [[어드밴스 소환]]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인지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거나, 아예 엑스트라 덱에 카드가 없어야 발동할 수 있다.''' 참고로 이 강화형 제왕은 미국 코나미 공식 사이트에서는 '''Super Monarch'''라고 처음 소개됐는데, 정작 실제로 나온 카드에 나온 이름은 '''Mega''' Monarch다. 이후 8기 부스터 팩부터 "어드밴스 소환"이라는 공통 부분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서포트 마법 / 함정 카드들이 발매되었고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에서 발매된 제왕의 심원에서 '''제왕'''을 정식 카테고리 카드군으로 지정했다. 대신 이쪽은 확실히 '帝王'이라고 지정하는지라 기존의 '帝'만 지니고 있는 몬스터들은 해당되지 않는다. 하지만 어차피 지정하는 카드는 마법 / 함정 뿐이니 '帝王'이 붙은 [[음악의 제왕]]과 같은 경우도 문제없다. 이 덕분에 일괄적으로 '제왕'이라고 번역한 한국이나 'Monarch'라고 번역한 TCG에서도 아무 문제 없다. 그리고 [[크로스오버 소울즈]]에서 제왕의 가신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큰 지원을 받았다. 가신들 중에는 다른 가신들을 서치하거나 회수하는 효과를 가진 것들도 있는데, 누가 제왕의 가신 아니랄까 봐 이 녀석들도 공격력 800 / 수비력 1000으로 지정하고 있다. 릴리스용 몬스터를 계속 유지하며, 각종 상급 몬스터들을 계속 소환해 효과로 상대 카드를 제거한 어드밴티지 차이를 벌린 상태에서 열심히 상대를 패면 되는 간단한 방식의 덱이었고, 제왕이 카드군으로 지정되지 않았던 때였기에 덱 자유도가 높았고, 이로 인해 굿 스터프 형식으로 무궁무진하면서 다양함 형태가 존재한다. 가장 흔한 구성은 [[황천 개구리]], [[댄디라이언]], [[레벨 스틸러]] 등으로 묘지에서 릴리스용 몬스터를 뽑아내면서 상급 어드밴스 소환을 하는 '''묘지제왕'''덱. [[데스티니 히어로]]와도 섞였었는데 [[데스티니 드로우(일반 마법)|데스티니 드로우]]로 [[데스티니 히어로 디아볼릭 가이]]를 버려 바로 릴리스용 몬스터를 마련하든가, '''[[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크 가이]]'''를 버리고 소생시켜 덱에서 2장 드로우하고 릴리스하면서 상대 필드의 카드를 치우고 어드밴티지를 버는 덱이 유행했었다.[* TCG에선 이 덱에게 Perfect Circle이란 이름을 붙였다. [[http://yugioh.wikia.com/wiki/Perfect_Circle|위키에도 이 역사가 보존되어 있다.]]] [[매크로 코스모스]], [[차원의 틈]]으로 몬스터를 제외하고, [[이차원의 생환자]], [[이차원의 정찰기]]로 릴리스용 몬스터를 마련하는 '''차원제왕''' 덱도 있었는데, 이것을 아예 공식으로 밀어주듯 스트럭처 덱 [[황제의 강림]]이 바로 이 컨셉이었다. 제외를 통해 묘지 견제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람에 따라 [[카오스 존]]을 투입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 외에는 릴리스용 몬스터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마슈마론]], [[영혼을 깎는 사령]] 등의 전투 파괴가 되지 않는 몬스터,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정찰자 & 묘지기의 파수병과 같은 리크루트 몬스터, 특수 소환이 가능하고 타점도 하급 몬스터들보다 높았던 [[사이버 드래곤]]를 투입하기도 하였다. 리버스 몬스터가 많이 들어간다는 점에서 [[심연의 암살자]], 사 제왕 가이우스나 묘지기의 정찰자가 어둠 속성임을 이용해 [[다크 암드 드래곤]]을 투입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점 외에도 굿 스터프 덱의 특성상 그냥 써도 강력한 몬스터들인 [[번개왕]], [[이차원의 여전사]]나 [[네오 스페이시언 그랜드 몰]] 등도 마구 덱에 넣었다. 싱크로 소환이 추가된 마스터 룰 이후로는 [[크레본스]]와 [[긴급텔레포트]] 등으로 몬스터 확보 및 제왕과 같이 레벨 8 [[싱크로 소환]]을 모두 노리는 형태도 등장하였다. 그 이외에는 가끔 [[네크로 가드너]], [[수축(유희왕)|수축]] 등의 자신의 몬스터를 지킬 수 있는 카드, 빠른 드로우를 위한 [[마장기관차 데코이치]] 등도 자주 투입되었다. 마법 / 함정 카드는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할 수 있게 해주는 [[크로스 소울]], [[세뇌-브레인 컨트롤-]] 등은 무조건 사용했고, 그 외에는 굿 스터프 덱 특성상 [[싸이크론]], [[죽은 자의 소생]], [[빛의 봉인검]],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 [[격류장]], [[나락의 함정 속으로]], [[봉황날개의 폭풍]] 등 성능이 좋은 카드들을 투입했다. 다크 암드 드래곤과 비슷한 이유로 [[어둠의 유혹]]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 진제왕강림 발매 이후 ==== 제왕을 테마로 한 2번째 스트럭처 덱 [[진제왕강림]]이 발매됐다. 메인 몬스터는 모든 제왕들의 대장인 [[명 제왕 에레보스]]. 진제왕강림의 발매 후, 기존의 제왕 덱과는 구성이 많이 달라졌는데, 기존의 제왕 몬스터들은 전부 빠지고 [[천 제왕 아이테르]], [[명 제왕 에레보스]]가 주가 되고 이들을 지원하는 카드들과 제왕 마법 / 함정으로 이뤄진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 탑 티어를 독식하는 [[피안(유희왕)|피안]], [[EMEm]]의 엑스트라 덱 몬스터 전개를 완벽하게 틀어막는 진제왕영역에 힘입어, 제왕 덱은 [[정룡]]/[[마도(유희왕)|마도]]/[[벨즈]]의 뒤를 잇는 [[EMEm|Em]]/[[피안]]/제왕 체제에 안착했다. 덕분에 사이드 덱에 [[제물봉인 가면]]의 투입률이 상승했었다. 이렇게 진제왕강림 후 티어로 뛰어오를 만큼 강해진 제왕 덱이지만, 아직 어드밴스 소환 덱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모리카와 카츠미|패가 너무 최강이라 이길 수 없는]] [[패 말림]]이 완전히 해결된 것이 아니다. 똑같이 패 말림이 심한 [[네크로즈]]는 패에서 발동하는 유발 효과로 이를 해소했으나 제왕은 아직 몬스터만 잡혔을 때 답이 없었다.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 발매 이후 제왕은 [[EMEm]]에 대항할 수 있는 유일한 테마군으로 남았지만, 초동에서 [[EMEm]]에 엄청나게 밀린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 2016년 4월 금제에서 범신의 제왕과 진제왕영역이 제한이 되었다. 그래도 피안이나 [[브릴리언트 퓨전]] 등을 사용해 우승 덱에 이름을 올렸다. 동시대에 TCG권에서는 브릴리언트 퓨전과 [[얼티마야 촐킨]](!)을 이용, [[Kozmo]]와 대등하거나 그 이상이라는 평을 받기도 했다. 얼마 후 제왕도 결국 진제왕강림 축(엑스트라 덱 X)의 덱이 2016년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비기너즈 클래스 우승 덱이 되어(준우승은 펜듈럼 덱, 3위는 [[푸른 눈]]), 그동안의 한을 다 풀었다. 주력 몬스터는 프리 체인으로 패에서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는 [[천 제왕 아이테르]]와 덱 바운스 효과를 지닌 [[명 제왕 에레보스]] 이렇게 둘이며, 천 제왕 아이테르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어 카드를 파괴할 수 있는 [[빛의 제왕 크라이스]]까지는 필수로 들어간다. 그 외에는 제왕의 개암→연격의 제왕을 위시한 [[마제스티 데블]]도 들어간다. 혹은 체인을 통해 제왕의 효과가 막히는 걸 막기 위해 [[천마대제(유희왕)|천마대제]]를 사이드에 놓기도 한다. 하지만 주력 상급은 아이테르, 에레보스, 크라이스는 필수로 이외에는 가이우스와 자보르그의 진화형이나 마제스티 데블, 천마대제 정도가 사이드로 들어간다. 어드밴스 소환용 몬스터의 경우 소환하면 덱에서 다른 제왕가신/종기를 추가로 특수 소환하게 해주는 천 제왕종기 이데아와 불려 나오면 추가 어드밴스 소환권을 주는 명 제왕종기 에이도스는 필수로 들어가고, 그 외에는 패에서 특수 소환이 가능하고 추가 어드밴스 소환권을 주는 번개 제왕가신 미스라나 달의 서+제왕가신/종기 샐비지용 땅의 제왕가신 랜드로브 정도만 들어간다. 또는 지속 함정이지만 몬스터로서 재활용이 가능한 시원의 제왕이나 진원의 제왕을 넣기도 한다. 특히나 이 두 함정은 제왕 마법 / 함정 카드를 요구하는 아이테르나 에레보스 혹은 범신의 풀을 늘려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천 제왕과 명 제왕은 제왕 마법 / 함정 카드를 순환시키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기존의 제왕들을 버리거나 투입을 줄이고[* 그마저도 상대 자원에 큰 타격을 입히는 원사 제왕 가이우스와 웅장한 번개 제왕 자보르그만이 일부 투입된다.] 이 두 카드를 필두로 여러 가지 효과를 지닌 서포트 마법 / 함정을 순환시키는 구성이 되었다. 제왕 관련 카드들로만 덱을 짤 수 있지만, 반대로 필수로 요구하는 제왕 카드들로만 채워도 40장을 왔다 갔다 하므로 패 트랩 카드를 투입하기 힘들다. 그나마 패 트랩을 투입한다고 해도 [[증식의 G]] 같은 아드 벌이 수단이 있는 카드나 종종 채용될 뿐이다. 더군다나 엑스트라 덱 의존도가 없는 덱임에도 엑스트라 덱에 카드를 요구하지 않는 진제왕영역이 키 카드인지라 욕망과 졸부의 항아리를 쓰기 힘든 덱이다. 물론 진제왕영역의 엑스트라 덱 락 효과를 안 쓸 거라면 상관없지만.... 다행히 범신의 제왕이 무제한으로 내려간 덕분에 욕졸을 안 넣어도 부스팅이 나쁘진 않다. ==== 신 마스터 룰 도입 이후 ==== [[유희왕 VRAINS]]의 시대를 맞아 [[링크 소환]]의 등장으로 덱의 위상이 지금보다도 올라가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었다. 링크 소환이 엑스트라 몬스터 존을 1개로 제한하면서 다른 엑스트라 덱 위주의 덱들[* 특히 펜듈럼을 주축으로 쓰는 덱들은 심각한 치명타를 맞게 된다.]이 고통받는 사이, 원래 엑스트라 덱을 못 봉쇄하는 디메리트로 떡칠되어 있던 제왕 덱은 신 마스터 룰의 영향이 전혀 없어 큰 간접 수혜를 얻었기 때문. 하지만, 정작 시간이 지날수록 링크 소환의 전개력은 너무나 빨라졌고 속도가 느린 제왕들은 그 속도를 따라잡지 못했다. 결국 핵심 카드인 진제왕영역이 무제한으로 풀리고 나서도 티어권에 이름을 못 올리고 있는 상황. 그러나 원래 강력한 덱이었기에, '부자는 망해도 3년은 간다.'는 말 답게 티어권에 가지는 못해도 그럭저럭 강력한 덱으로 평가받는다. 기존의 브릴리언트 제왕 외에 아티팩트와 섞은 아티팩트제왕, [[진룡(유희왕)|진룡]]과 섞은 진룡제왕, 순수 제왕도 가끔 우승 덱에 이름을 비추는 중. ==== 2018년 1월 금제 이후 ==== 2018년 1월에 범신의 제왕이 준제한이 됐다. 이 덕분에 그동안 제왕이 활약하지 못했지만, 겨우 1장만 풀렸는데도 다시 우승 덱에 이름을 올릴 정도로 강해진 것이다. 게다가 2018년 1월로 희생양, [[토치 골렘]]과 여러 카드들이 제재되어 링크 환경이 감속화되었고, 당연히 링크 소환에 구애받지 않는 제왕은 강해질 수밖에 없는 상황. 게다가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에서 [[무덤의 지명자]]가 발매되어서 패 트랩을 견제할 수 있게 됐다. 제왕이 이렇게 올라간 이유 중 하나는 링크 소환 환경이 되었다는 것도 한몫하는데, 링크 몬스터는 대부분이 낮은 링크에서 높은 링크로 소환한다. 강력한 링크 몬스터를 뽑기 위해 그것에 어드밴티지가 들어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링크 몬스터를 뽑았다면 그만큼의 밥값을 하고 가야 소모한 어드밴티지만큼 보완이 되는데, 제왕은 이러한 링크 몬스터를 빛의 제왕 크라이스나 비지정인 제왕의 열선 등으로 견제 및 처리하는 것이 능숙하기 때문이었다. 또한 제거되기 쉬운 영역을 빼고 전개나 어드밴티지에 도움이 되는 링크 몬스터를 넣어 환경을 빠르게 따라잡을 수 있었다. 진룡이 죽고 나서 어드밴스 소환과 관련된 카운터 카드가 거의 보이지 않았던 점도. 국내에서는 이미 우승 전적도 계속 나오는 등 활약이 계속되고 있고, 일본은 분명히 링크 소환 위주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간간이 얼굴을 비치고 있다. 그래도 분명히 티어권에 자주 보이는 덱은 아니었기에 2018년 4월 금제로 범신의 제왕이 무제한이 됐다. 현 메타에 적응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라면 고효율의 항아리 카드들을 사용하지 못해서 다른 어드밴스 소환 위주의 테마에 비해 굉장히 뻣뻣하다는 것이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 시크릿 팩 [[유희왕 마스터 듀얼/시크릿 팩#초현실적인 엘리멘트|초현실적인 엘리멘트]]에서 관련 카드를 획득할 수 있다. 전용 소환 연출이 존재하는 카드는 [[사 제왕 가이우스]]와 [[명 제왕 에레보스]]. [[사악한 화염 제왕 테스탈로스]] 출시 이전에 발매된 스트럭처 덱 <[[진제왕강림]]>의 지원 카드들이 전부 수록되어 있어 오프라인 환경과 동일한 덱 구축이 가능하다. 다만 필요한 테마 내 UR 카드가 아이테르, 에레보스, 진제왕영역 3종류나 있고, 웬만해선 꽉꽉 채워넣는 경우가 많은 핵심 카드들이라 가성비 덱이었던 오프라인과는 달리 가격이 꽤 비싸다. 종합 성능 면에선 후완다리즈에, 가격에서는 진룡에 밀려 어드밴스 소환 테마 중에선 연비가 가장 안 좋은 덱. 그나마 제왕의 전매특허인 엑덱 소환 봉인으로 차별화가 가능하긴 하지만 그마저도 패가 너무 말리는데다 집짓기에 필요한 자원 소모가 크고, 요즘같은 환경에선 패트랩을 뭘 맞든 전개가 바로 멈추거나 기껏 지어놓은 집도 자체 퍼미션이 빈약하다 보니 제거 마함에 허무하게 털린다. 과거의 영광에 비하면 정말 안쓰러운 신세. 이 때문에 게임 내에서 하는 사람들은 손에 꼽을 정도로 찾아보기 힘들다. 그나마 진제왕영역을 제외한 테마 마함들과 배너티/마제스티 데블같이 제왕 덱에서 자주 쓰이는 우수한 용병 카드를 싼값에 맞출 수 있는 건 확실한 장점. 엑스트라 덱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 덕분에 [[D.D.다이너마이트]] [[피드 팩]]덱이 유행하던 시기에 뜬금없이 승리를 날로 먹기도 했다. == 효과 몬스터 == === 레벨 1 === ==== 사 제왕가신 루키우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811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사 제왕가신 루키우스, 일어판 명칭=邪帝家臣(じゃていかしん)ルキウス, 영어판 명칭=Lucius the Shadow Vassal, 레벨=1,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800, 수비력=1000, 효과외1="사 제왕가신 루키우스"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의 레벨 5 이상의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턴에\, 자신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 릴리스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에 세트된 카드를 전부 확인한다. 이 효과의 발동에 대하여\, 상대는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width: 100%;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background-color:#FFFFFF; border: rgba(255,165,0,1) solid 1px;" [[제왕(유희왕)|{{{#FFA500 제왕}}}]]의 한 기둥인 [[사 제왕 가이우스|{{{#FFA500 「사 제왕」}}}]]이 거느리는 가신. 일을 해도 개선되지 않는 대우에 불만을 품고 언젠가 제왕의 자리를 빼앗으려고 호시탐탐 기회를 엿보고 있다. ▶[[유희왕 크로스 듀얼|{{{#FFA500 유희왕 크로스 듀얼}}}]]의 [[플레이버 텍스트|{{{#FFA500 플레이버 텍스트}}}]] }}}}}}|| 크로스오버 소울즈에서 등장한 제왕의 가신 시리즈 중 하나. 특이하게도 다른 가신들과는 달리 머리가 큰 SD 체형이다. 묘지의 레벨 5 이상의 몬스터를 제외하는 것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왕 덱은 묘지의 상급 제왕을 재사용하기 어려우므로 코스트가 무겁지는 않다. 어드밴스 소환 시의 효과는 세트된 카드를 확인하는 것. 효과 발동 타이밍상 제왕의 효과와 체인하여 발동하게 되므로 아쉽게도 세트된 카드를 확인한 후 제왕의 제거 대상을 지정한은 것은 불가능하다. 실제 용도는 확인 자체보다는 이 효과에 상대가 체인을 걸 수 없다는 점에 있는데, 어드밴스 소환 시의 제왕의 효과 발동에 체인하여 이 카드의 효과를 발동하면 상대는 [[이펙트 뵐러]] 등의 방해 카드를 체인할 수 없게 된다. 다만 [[신의 심판]] 등 소환 자체를 무효로 하는 경우에는 대응할 수 없다. 이름인 루키우스(Lucius)는 [[https://en.wikipedia.org/wiki/Praenomen#Masculine_names|고대 로마 시대에 유행하던 이름이다]]. [[사 제왕 가이우스]]의 이름인 가이우스 역시 같은 유래다. 아이러니하게도 루키우스는 "빛난다"는 뜻을 가진 이름인데 이 카드는 어둠 속성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크로스오버 소울즈|CROSSOVER SOULS]] || CROS-JP085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 [[진제왕강림|-真帝王降臨-]] || SR01-JP010 || [[노멀]] || 일본 || || || [[진제왕강림|Emperor of Darkness]]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SR01-EN010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R]] -[[진제왕강림]]- || SR01-KR010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천 제왕종기 이데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808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천 제왕종기 이데아, 일어판 명칭=天帝従騎(てんていじゅうき)イデア, 영어판 명칭=Edea the Heavenly Squire, 레벨=1, 속성=빛, 종족=전사족, 공격력=800, 수비력=1000, 효과외1="천 제왕종기 이데아"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천 제왕종기 이데아" 이외의 공격력 800 / 수비력 1000인 몬스터 1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턴에\, 자신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제외되어 있는 자신의 "제왕"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원판 이름은 "천제종기 이데아"로, [[천 제왕 아이테르|천제 아이테르]]를 섬기는 기사. 아이테르가 여성형이라 그런지 이 몬스터도 여성형으로 보이는데, 전체적으로 팔다리가 가는 편이고, 여기에 짧은 치마를 입고 있어 다른 가신, 종기, 제왕들과 구분되는 디자인을 하고 있다. 일반 소환하거나 특수 소환하면 다른 가신들을 덱에서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해 주는데, 여기서 에이도스를 특수 소환하면 에이도스의 효과로 바로 최상급 제왕의 어드밴스 소환 조건이 갖추어진다. 이를 이용해 매턴 최상급 제왕이 패에 존재해 제물로 써버릴 수 있다는 가정하에 패에 이데아 한 장만 잡혀도 가능한 콤보가 존재하는데, ||1. 이데아를 일반 소환, 효과로 덱에서 에이도스를 특수 소환한다. 2. 에이도스의 효과로 어드밴스 소환권을 얻는다. 바로 둘을 릴리스하고 어드밴스 소환. 이와 동시에 이데아의 효과로 제왕 마/함 한 장을 샐비지한다. 3. 다음 턴이 되면 묘지에서 에이도스의 효과를 발동, 함께 릴리스 소재로 써버린 이데아를 특수 소환한다. 4. 특수 소환된 이데아의 효과로 덱에서 바람 제왕가신 가룸을 특수 소환. 이 둘을 소재로 어드밴스 소환. 이데아의 효과로 다시 마함 샐비지. 4-2. 가룸의 효과로 덱에서 이데아를 가져온다. 이후 자기 턴이 오면 1로 돌아간다. 5. 특수 소환 된 이데아의 효과로 덱에서 두 번째 에이도스를 특수 소환한다. 그 즉시 에이도스의 효과로 어드밴스 소환권을 얻는다 5-2. 이렇게 했을 경우 일반 소환권에 더불어 에이도스의 효과에 의한 추가 어드밴스 소환권까지 남으므로 이 턴에 두 번의 어드밴스 소환이 가능하다. 6. 다음 턴이 되면 묘지의 에이도스 효과로 다시 이데아를 소생, 4또는 4.2로 돌아간다.|| 성공만 한다면 매 턴 최상급 제왕의 소환 소재를 줄기차게 우려먹을 수 있으니 굉장히 무시무시한 콤보. 다만 그만큼 최상급 몬스터가 매 턴 패에 잡혀있어야 한다는 점은 썩 만만한 조건은 아니다. 다만 이 이데아의 주인인 아이테르가 마침 적절하게 제왕을 패로 리크루트시켜 주는 효과를 지녔으니 함께 병용하면 좋다. 빛 속성이라서 [[포톤(유희왕)#포톤 리드|포톤 리드]]로 특수 소환하면 굳이 에이도스의 효과를 빌리지 않더라도 바로 어드밴스 소환을 시도할 수 있으며, 전사족이기 때문에 가신들중 유일하게 [[증원(유희왕)|직접적인 서치 수단]]이 있다. 게다가 레벨 또한 1이라 [[원 포 원]]으로 덱에서 곧바로 꺼내올 수도 있다. 이렇게 일반 소환권을 쓰지 않고 꺼낸 경우에는 에이도스를 불러와 한 턴에 제왕을 두 번 어드밴스하는 것도 가능. 이래저래 다른 종기들에 비해 편애를 많이 받고 있다. 또한, 어떻게든 묘지로 보내지면 제외된 제왕 마함을 샐비지해 오는데, 제왕 카드가 추가되면서 제왕 마함을 제외할 일이 많아진 것을 반영한 것. 이름의 유래는 [[이데아]](ἰδέα, idea). 플라톤 철학에 등장하는 만물의 본질을 뜻하며, 사실상 에이도스와 같은 것이다. 영판명은 아이디어(idea)가 아님을 강조하기 위해서인지 "이데아"로 발음하는 Edea로 바뀌었다. 종족은 에이도스와 마찬가지로 다른 가신들과는 달리 [[천 제왕 아이테르|해당 제왕의]] [[천사족|종족]]을 따르지 않고 [[빛의 제왕 크라이스]]과 [[전사족|같은 것]]으로 보아 크라이스와도 관계가 있는 듯하다. 이 덕에 [[증원(유희왕)|증원]]으로 퍼 올릴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 [[진제왕강림|-真帝王降臨-]] || SR01-JP003 || [[슈퍼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 수록 || || [[진제왕강림|Emperor of Darkness]]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SR01-EN003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R]] -[[진제왕강림]]- || SR01-KR003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2 === ==== 번개 제왕가신 미스라 ==== || [[파일:card100028119_1.jpg|width=100%]] || [[파일:MithratheThunderVassal-OP02-EN-SR-UE.png|width=97%]]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번개 제왕가신 미스라, 일어판 명칭=雷帝家臣(らいていかしん)ミスラ, 영어판 명칭=Mithra the Thunder Vassal, 레벨=2, 속성=빛, 종족=번개족, 공격력=800, 수비력=1000, 효과외1="번개 제왕가신 미스라"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상대 필드에 "가신 토큰"(번개족 / 빛 / 레벨 1 / 공 800 / 수 1000) 1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턴에\, 자신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 릴리스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자신은 통상 소환 외에도 1번만\, 자신 메인 페이즈에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width: 100%;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background-color:#FFFFFF; border: rgba(255,165,0,1) solid 1px;" [[제왕(유희왕)|{{{#FFA500 제왕}}}]]의 한 기둥인 [[번개 제왕 자보르그|{{{#FFA500 「번개 제왕」}}}]]이 거느리는 가신. 전기 때문에 머리카락의 손질이 힘들어지기 때문에 천둥의 가호가 성가시다고도 생각하고 있다. ▶[[유희왕 크로스 듀얼|{{{#FFA500 유희왕 크로스 듀얼}}}]]의 [[플레이버 텍스트|{{{#FFA500 플레이버 텍스트}}}]] }}}}}}|| 크로스오버 소울즈 일본 월드 프리미어로 등장한 제왕 서포트 카드. ①의 효과는 상대 필드 위에 토큰을 생성하고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 빙제의 가신 에셔와는 다르게 아무 때나 소환이 가능하지만, 상대 필드에 토큰은 던져주고 엑스트라 덱 소환을 봉인한다는 점이 차이이다. 소환되는 토큰은 필드에 [[번개 제왕 자보르그]]만 있을때 어쩔 수 없이 자기 자신을 파괴해야 했던 자보르그의 단점을 보완해 주며, [[피안(유희왕)|피안]]이나 [[네크로즈]]같이 필드가 비워져 있을 때 효과를 발동할 수 있는 덱을 상대로 의외의 효과를 발휘하기도 한다. 다만 미러 매치, 진룡 등 어드밴스 소환 주축의 덱을 상대할 때는 오히려 제물을 하나 마련해 주는 것이나 다름없고, 다른 덱에서도 토큰을 링크 소재로 써 버릴 수 있기에 조심해야 한다. ②의 효과는 어드밴스 소환에 써먹으면 추가 어드밴스 소환권을 제공하는 효과. 이를 이용해 한 턴 만에 강화형 제왕까지 한 큐에 소환하게 할 수도 있다. 또는 이 효과를 이용해 듀얼 중후반부에 이데아나 에이도스의 효과로 덱/묘지에서 특수 소환해서 여러 장의 제왕을 어드밴스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②의 효과의 진가는 체인 가드에서 드러나는데, 자세히 보면 ②의 효과는 알아서 처리되는 효과가 아닌, 사용자가 발동하는 효과다. 그렇기 때문에 이 카드를 제물로써 소환한 상급 제왕들의 효과를 발동한 뒤, 체인을 걸어 이 카드의 두 번째 효과를 발동해 버린다면 상대는 상급 제왕의 효과에 체인을 걸어버릴 수 없다. 현재처럼 뭐만하면 체인이 휙휙 들어오는 환경에선 천제종기보다 파워는 약해도 안정성은 더 뛰어난 부분. [[바다(유희왕)/서포트 카드|바다 비트덱]]에도 들어가기도 하는데, [[해룡신-리바이어던]]의 제물을 충당해 주면서 상대 필드에 빛 속성 토큰을 던져놓아 해룡신-리바이어던의 효과로 락을 걸 수 있기 때문. 빛 속성 가신인 걸 보아 이름의 유래는 [[미트라|미스라]](Mithra). 조로아스터교에선 광명과 맹세의 신이며, 미트라교에선 태양과 승리의 신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크로스오버 소울즈|CROSSOVER SOULS]] || CROS-JP08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 [[진제왕강림|-真帝王降臨-]] || SR01-JP011 || [[노멀]] || 일본 || || || [[진제왕강림|Emperor of Darkness]]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SR01-EN011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토너먼트 팩|OTS Tournament Pack 2]] || OP02-EN006 || [[슈퍼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R]] -[[진제왕강림]]- || SR01-KR01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명 제왕종기 에이도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808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명 제왕종기 에이도스, 일어판 명칭=冥帝従騎(めいていじゅうき)エイドス, 영어판 명칭=Eidos the Underworld Squire, 레벨=2,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800, 수비력=1000, 효과외1="명 제왕종기 에이도스"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턴에\, 자신은 통상 소환 외에도 1번만\, 자신 메인 페이즈에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명 제왕종기 에이도스" 이외의 자신 묘지의 공격력 800 / 수비력 1000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턴에\, 자신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원판 이름은 "명제종기 에이도스"로, [[명 제왕 에레보스|명제 에레보스]]를 섬기는(従) 기사(騎). 가신이 아닌 별도의 칭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다른 제왕의 가신들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듯하다. 이데아와 함께 한국 정발명에선 원어의 의미를 알기 어렵게 [[종기]]로 직역됐다. 영어명은 비슷한 의미의 Squire(기사를 섬기는 견습생)로 번역되었다.[* Squire는 "종기"가 아니라 "기종"(騎従)이다.] 가신들처럼 자체적인 특수 소환 능력은 없지만 대신에 [[카드 어드밴스]]처럼 일반 소환 하고도 추가로 어드밴스 소환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어 [[요선수]] 3형제 같은 느낌으로 쓸 수 있다. 특히 기존의 가신들은 효과에 체인해 [[배너티 스페이스]]를 사용하면 불발이 된다는 약점이 있었지만 이쪽은 배너티 스페이스도 뚫을 수 있고 [[욕망과 겸허의 항아리]]를 발동한 턴에도 어드밴스 소환을 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상당히 고성능이다. 그리고 이 카드의 효과로 추가되는 어드밴스 소환은 제왕 몬스터에 한정된 게 아니다. 즉, 가능만 하다면 얘를 소환한 다음 '''[[삼환신]]이나 [[삼사신(유희왕)|삼사신]]을 강림시키는 것도 가능하다'''는 말. 다만 이 추가 어드밴스 소환 효과는 1번만이라고 명시되어 있기에 번개 제왕의 가신 미스라의 추가 어드밴스 소환과 중첩할 수 없으므로 주의. 또한 ②의 효과로 자신을 제외하고 묘지의 가신들을 필드로 꺼내줄 수 있기에 묘지로 가고나면 땅의 제왕 가신 랜드로브로 건지는 것을 제외하면 별다른 쓸모가 없는 가신들을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름의 유래는 [[에이도스]](είδος, eidos). 플라톤 철학에 등장하는 만물의 본질을 뜻하며, 사실상 이데아와 같은 것이다. 종족은 어찌 된 일인지 이데아와 마찬가지로 다른 가신들과는 달리 [[명 제왕 에레보스|해당 제왕의]] [[언데드족|종족]]을 따르지 않고 [[어둠 제왕 딜그]]과 [[마법사족(유희왕)|같은 것]]으로 보아 딜그와도 관계가 있는 듯하다. [[유희왕 ARC-V/코믹스|유희왕 ARC-V 코믹스]]에서 제왕 덱을 사용하는 [[사와타리 신고#s-3]]가 2화에서 사용. 듀얼이 시작하자 자신은 액션 카드로 뛰어가는 동안 반대로 뛰는 [[유토(유희왕)#s-7|유토]]의 길을 막기 위해 소환했는데, 유토의 키의 2배 이상은 되어 보인다. 그 후, [[마 제왕 앙그마르]]를 소환하기 위해 릴리스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 [[진제왕강림|-真帝王降臨-]] || SR01-JP002 || [[슈퍼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 수록 || || [[진제왕강림|Emperor of Darkness]]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SR01-EN002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R]] -[[진제왕강림]]- || SR01-KR002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3 === ==== 화염 제왕가신 베르리네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813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화염 제왕가신 베르리네스, 일어판 명칭=炎帝家臣(えんていかしん)ベルリネス, 영어판 명칭=Berlineth the Firestorm Vassal, 레벨=3, 속성=화염, 종족=화염족, 공격력=800, 수비력=1000, 효과외1="화염 제왕가신 베르리네스"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를 1장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턴에\, 자신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 릴리스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패를 확인하고\, 그 중에서 카드 1장을 골라 엔드 페이즈까지 제외한다.)] ||{{{#!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width: 100%;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background-color:#FFFFFF; border: rgba(255,165,0,1) solid 1px;" [[제왕(유희왕)|{{{#FFA500 제왕}}}]]의 한 기둥인 [[화염 제왕 테스탈로스|{{{#FFA500 「화염 제왕」}}}]]이 거느리는 가신. 무더위로 갑옷 안은 늘 땀범벅이지만 오기로 태연한 척한다. ▶[[유희왕 크로스 듀얼|{{{#FFA500 유희왕 크로스 듀얼}}}]]의 [[플레이버 텍스트|{{{#FFA500 플레이버 텍스트}}}]] }}}}}}|| 크로스오버 소울즈에서 등장한 제왕의 가신 시리즈 중 하나. 효과는 미묘하다. 다른 제왕 가신들은 코스트가 거의 없는 수준이거나 아예 어드밴티지가 되는데 이 카드 혼자서만 코스트가 크기 때문. 어드밴스 소환 시의 효과도 홍연의 지명자에서 라이프 코스트를 없앤 수준이다. 패를 확인하고 제외하는것은 확실히 좋지만, 어드밴스 소환을 하는 것은 보통 자신의 턴이기 때문에 제외된 패는 거의 바로 되돌아온다. 게다가 제왕은 진격의 제왕 등으로 효과 대상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지라 [[이펙트 뵐러]]등을 견제하기도 애매하다. 마인드 크러시 등과 연계하는 것이 중요할듯. 굳이 ②번 효과의 의의를 찾자면 베르리네스를 릴리스하고 테스탈로스를 어드밴스 소환했을 경우, 화염 제왕의 강제 효과가 먼저 발동하고 이 카드의 임의 효과가 체인 2로 발동하기 때문에 우선 상대의 패를 봐서 마/함을 제외하고 연이은 화염 제왕의 효과로 몬스터를 제거할 확률을 높일 수는 있다. 아니면 체인을 꼬아서 어드밴스 소환한 제왕을 [[유령토끼]],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 등으로부터 지키고 이들을 제외시킬 수도 있다. 이름의 유래는 슈퍼카 [[페라리 F12베를리네타]]('''ベルリネ'''ッタ), 혹은 페라리 베를리네타 복서(512BB)로 보인다. 후자일 가능성이 더 높긴 한데 512BB의 후속 모델이 [[페라리 테스타로사|테스타로사]]이기 때문. 이 카드를 릴리스하여 [[화염 제왕 테스탈로스]]를 어드밴스 소환함을 암시하는 듯.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크로스오버 소울즈|CROSSOVER SOULS]] || CROS-JP082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 [[진제왕강림|-真帝王降臨-]] || SR01-JP014 || [[노멀]] || 일본 || || || [[진제왕강림|Emperor of Darkness]]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SR01-EN014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R]] -[[진제왕강림]]- || SR01-KR014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바람 제왕가신 가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155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바람 제왕가신 가룸, 일어판 명칭=風帝家臣(ふうていかしん)ガルーム, 영어판 명칭=Garum the Storm Vassal, 레벨=3, 속성=바람, 종족=비행야수족, 공격력=800, 수비력=1000, 효과외1="바람 제왕가신 가룸"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어드밴스 소환된 몬스터 1장을 주인의 패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턴에\, 자신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 릴리스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바람 제왕가신 가룸" 이외의 공격력 800 / 수비력 1000 인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width: 100%;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background-color:#FFFFFF; border: rgba(255,165,0,1) solid 1px;" [[제왕(유희왕)|{{{#FFA500 제왕}}}]]의 한 기둥인 [[바람 제왕 라이저|{{{#FFA500 「바람 제왕」}}}]]이 거느리는 가신. 매서운 폭풍 탓에 주변의 목소리가 잘 들리지 않아 지시의 절반 이상은 분위기로 전달한다. ▶[[유희왕 크로스 듀얼|{{{#FFA500 유희왕 크로스 듀얼}}}]]의 [[플레이버 텍스트|{{{#FFA500 플레이버 텍스트}}}]] }}}}}}|| 크로스오버 소울즈에서 등장한 제왕의 가신 시리즈 중 하나. 자신의 어드밴스 소환된 몬스터를 패로 되돌리는 것으로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제왕들은 어차피 어드밴스 소환 시에만 효과를 발동하므로 그리 큰 손해도 아니고, 오히려 패로 되돌린 제왕을 다시 어드밴스 소환하여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어드밴스 소환 시의 효과는 서치 효과. 제왕의 가신 시리즈는 전부 공격력 800 / 수비력 1000의 스텟을 가졌으므로 사실상 다른 제왕의 가신들을 서치하기 위한 효과이다. 동일한 스텟의 다른 몬스터도 서치가 가능하긴 하지만, 제왕의 가신 외의 효과 몬스터는 [[사막의 수호자]]와 [[버닝나쿠라]] 래빗 펀치밖에 없었지만 [[익센트릭 데몬]]의 등장으로 가신들 외에도 쓸만한 몬스터를 서치할 수 있게 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크로스오버 소울즈|CROSSOVER SOULS]] || CROS-JP084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 [[진제왕강림|-真帝王降臨-]] || SR01-JP015 || [[노멀]] || 일본 || || || [[진제왕강림|Emperor of Darkness]]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SR01-EN015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R]] -[[진제왕강림]]- || SR01-KR015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4 === ==== 얼음 제왕가신 에셔 ==== [[파일:氷帝家臣エッシャ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얼음 제왕가신 에셔, 일어판 명칭=氷帝家臣(ひょうていかしん)エッシャー, 영어판 명칭=Escher the Frost Vassal, 레벨=4, 속성=물, 종족=물족, 공격력=800, 수비력=1000, 효과1=①: 상대의 마법 & 함정 존에 카드가 2장 이상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width: 100%;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background-color:#FFFFFF; border: rgba(255,165,0,1) solid 1px;" [[제왕(유희왕)|{{{#FFA500 제왕}}}]]의 한 기둥인 [[빙제 뫼비우스|{{{#FFA500 「얼음 제왕」}}}]]이 거느리는 가신. 얼음꽃에 앉아 여러 해 동안 냉기를 몸에 두르고 자신의 의지로 조종하는 법을 배웠다. ▶[[유희왕 크로스 듀얼|{{{#FFA500 유희왕 크로스 듀얼}}}]]의 [[플레이버 텍스트|{{{#FFA500 플레이버 텍스트}}}]] }}}}}}|| [[빙제 뫼비우스]]의 가신으로 가장 처음 나온 제왕의 가신. gx에서 먼저 나왔던 빙제 서포터인 [[아이스 나이트]]와 닮아있다. 효과로 보나 뭐로 보나 대놓고 빙제 뽑으라고 나온 카드. 이 카드의 발매 전에는 [[화염 제왕 테스탈로스]]만 [[화염 제왕 근위병]]이라는 부하가 있었는데 뜬금없이 뫼비우스에게도 가신이라는 부하가 생겼다. 마침 수비력도 제왕과 같고 공격력도 딱 1/3인 800이다. 대략적인 사용법은 에셔 → 뫼비우스 → 조건이 되었던 카드 2장을 [[와장창]] 되시겠다. 그 이외에 [[버제스토마]], [[염성(유희왕)|염성]]과 같이 마법, 함정을 다수 세트해 두어야만 하는 테마를 상대로 쉽게 특소가 가능하고 4레벨이라서 손쉽게 엑시즈나 싱크로로 이어나갈 수 있으나 상대의 세트 카드 2장이라는 상황은 어쨌든 상대방 카드에 의존하는 특수 소환 조건인 데다가 이렇게 기껏 뽑은 몹이 함정에 날아갈지도 모른다는 상황이므로 되도록 빙제와 쓰자. 애니메이션에서도 [[사와타리 신고|사와타리]]가 이런 식으로 활용했었다. 또 원체 패에서 쉽게 특수 소환되는 몬스터는 많기 때문에 레벨 4, 물 속성, 물족이라는 점을 고려해 채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발매 당시에는 나름의 존재 가치가 있는 카드라는 평이었지만, [[크로스오버 소울즈]]에서 다른 제왕의 가신들이 패 특소 효과와 함께 어드밴스 소환 서포트 효과까지 들고 나오면서 한 번, 스트럭처 덱 [[진제왕강림]]에서 발매된 제왕종기의 등장으로 두 번 이 카드의 입지는 산산조각 났다. 엑스트라 덱 소환을 막는 효과는 없다지만 대부분의 제왕 서포트 카드들이 공통으로 엑스트라 덱 소환을 틀어막는지라... 결정적으로 이 녀석의 소환 조건이 되는 건 '''마법 & 함정 존'''의 카드뿐인지라 펜듈럼 존에 몬스터가 2장 놓여있다고 해도 조건이 충족되지 않었으나, [[링크 소환]]이 도입되는 신규 룰에서부턴 펜듈럼 존이 마법 & 함정 존으로 취급되기에 이 카드의 소환 조건을 충족할 수 있게 되었다. 그나마 남은 장점이라면 다른 가신들과 달리 엑스트라 덱 봉인 디메리트가 없기 때문에, 물 속성 주력 4축 엑시즈 덱([[샤크(유희왕)|샤크]])에서 용병 채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는 점 정도. 하지만 이 경우에도 상대의 마함 장수를 체크하면서 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서 잘 안 쓰인다. 이름의 유래는 수학적 원리를 사용한 화가 [[마우리츠 코르넬리스 에스허르|M. C. 에셔]]. 자신이 섬기는 제왕과 [[뫼비우스의 띠|비슷한]] [[아우구스트 페르디난트 뫼비우스|네이밍]]. 그러나 마찬가지로 효과나 모습에선 별 관계가 보이지 않는다. 진제왕 강림에서 5명의 가신들과 함께 이것도 수록되면서 한국에도 2년 만에 정발. ARC-V 애니 더빙판에선 '빙제의 가신 엣셔'로 번역되었지만, 실물 카드는 '얼음 제왕가신 에셔'가 됐다. 다른 제왕가신들과 번역을 통일한 모양이지만, 정작 [[빙제 뫼비우스]]하고 이름이 안 맞는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또 번역이 엇갈려 '빙제의 가신 에셔'라는 이름으로 번역돼있다. 이점은 [[유희왕 마스터 듀얼|마스터 듀얼]] 또한 마찬가지. [[유희왕 ARC-V]]에서는 [[사와타리 신고]]가 [[유토(유희왕)|유토]]와의 듀얼 중 사용. 유토가 패를 전부 세트한 상황 덕에 조건을 맞춰 바로 특수 소환된 후 [[빙제 뫼비우스]]의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 릴리스되었다. [[다크 어드밴스]]의 일러스트에 등장했다. 사실 원작 효과엔 대응했는데, OCG화될 때의 조정이 문제였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점프 빅토리 카니발 2014 프로모션 카드 || VF14-JP00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점프 페스타 2015 프로모션 팩 || JF15-JP001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 [[진제왕강림|-真帝王降臨-]] || SR01-JP013 || [[노멀]] || 일본 || || ||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Clash of Rebellions]] || CORE-EN091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진제왕강림|Emperor of Darkness]]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SR01-EN013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R]] -[[진제왕강림]]- || SR01-KR013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땅의 제왕가신 랜드로브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812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땅의 제왕가신 랜드로브, 일어판 명칭=地帝家臣(ちていかしん)ランドローブ, 영어판 명칭=Landrobe the Rock Vassal, 레벨=4,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800, 수비력=1000, 효과외1="땅의 제왕가신 랜드로브"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대상의 몬스터를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 이 턴에\, 자신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 릴리스되었을 경우\, "땅의 제왕가신 랜드로브" 이외의 자신 묘지의 공격력 800 / 수비력 1000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wiki style="margin: -5px -11px;" {{{#!wiki style="width: 100%;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 vertical-align: top;background-color:#FFFFFF; border: rgba(255,165,0,1) solid 1px;" [[제왕(유희왕)|{{{#FFA500 제왕}}}]]의 한 기둥인 [[땅의 제왕 그란마그|{{{#FFA500 「땅의 제왕」}}}]]이 거느리는 가신. 땅의 제왕의 발걸음은 그 자체로 지진이 된다. 땅의 제왕을 바로 옆에서 모시는 가신은 지진에 대한 내성을 날마다 시험 받고 있다. ▶[[유희왕 크로스 듀얼|{{{#FFA500 유희왕 크로스 듀얼}}}]]의 [[플레이버 텍스트|{{{#FFA500 플레이버 텍스트}}}]] }}}}}}|| 크로스오버 소울즈에서 등장한 제왕의 가신 시리즈 중 하나. 자체 효과로 특수 소환하기만 하면 상대 몬스터에 [[달의 서]]를 걸어버리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란마그의 세트 카드 파괴와 연계하라고 넣은 효과인 듯. 강력한 효과 때문에 용병화될 수 있긴 하지만, 효과를 발동한 턴 엑스트라 덱 소환을 막아버리는지라 엑스트라 덱 소환이 주를 이루는 현 환경에서는 쓰기 조금 어렵다. 그래도 그란마그가 그리 좋지 않은 평을 듣는 와중에 이 카드가 엄청난 효과를 들고 와버려서 그란마그의 가신답지 않게 유능하다는 말을 듣고 있다.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 [[푸른 눈의 정령룡]] 같은 녀석들의 효과를 이거 하나로 빼먹는다거나,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를 바보로 만든다거나 등등의 플레이가 가능해서 사이드에 자주 보이는 녀석이다. 어드밴스 소환 시의 효과는 묘지 회수 효과. 효과 대상이 '가신'을 지정하지 않고 저렇게 되어있는 이유는 현재까지 발매된 제왕의 가신들이 전부 공격력 800 / 수비력 1000의 스탯을 가지고 있으면서 진제왕강림 출신 어드밴스 소환 서포트 몬스터인 제왕종기도 공격력 800 / 수비력 1000이기 때문으로, 사실상 다른 가신과 종기 모두를 회수하기 위한 효과이다. 동일한 스텟의 다른 몬스터도 서치가 가능하긴 하다. 조건을 충족하는 제왕의 가신, 종기 외의 효과 몬스터는 사막의 수호자, [[버닝나쿠라]] 래빗 펀치, 그리고 [[익센트릭 데몬]]이 있다. 앞의 둘을 제왕 덱에서 쓸 일은 없고, 익센트릭 데몬은 확실히 서치할 메리트가 있고 범용성도 있으니 나쁘지 않지만 얘는 펜듈럼 몬스터라 묘지로 잘 안 간다는 게 문제.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크로스오버 소울즈|CROSSOVER SOULS]] || CROS-JP083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 [[진제왕강림|-真帝王降臨-]] || SR01-JP012 || [[노멀]] || 일본 || || || [[진제왕강림|Emperor of Darkness]]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SR01-EN012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R]] -[[진제왕강림]]- || SR01-KR012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5 === ==== [[번개 제왕 자보르그]] ==== === 레벨 6 === ==== [[빙제 뫼비우스]] ==== ==== [[화염 제왕 테스탈로스]] ==== ==== [[땅의 제왕 그란마그]] ==== ==== [[바람 제왕 라이저]] ==== ==== [[사 제왕 가이우스]] ==== ==== [[마 제왕 앙그마르]] ==== ==== [[빛의 제왕 크라이스]] ==== ==== [[어둠 제왕 딜그]] ==== === 레벨 8 === 8기 [[섀도우 스펙터즈]]부터 등장한 강화형 제왕들. 기존의 6제들이 진화한 모습이다. 모두 레벨 8, 공격력 2800, 수비력 1000이라는 공통된 능력치를 가지고 있으며, [[어드밴스 소환]]되었을 때 기존의 제왕이 가지고 있던 효과의 강화판을 발동한다. 여기에 어드밴스 소환된 몬스터 1장만 릴리스하고 소환할 수 있다는 릴리스 경감 효과, 자신과 같은 속성의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어드밴스 소환되었을 경우 추가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는 공통된 특징이 있다. 진화 전 제왕의 이름을 직접적으로 지정하고 있지는 않으나 릴리스 경감 효과와 부가 효과의 존재를 생각해 볼 때 기존의 진화 전 제왕을 릴리스하고 어드밴스 소환했을 때 가장 큰 이득을 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지만 이것이 [[이중소환]]이라도 써서 그 턴 내에 바로 실행하지 않는 한 진격의 제왕 같은 내성 카드가 없는 이상 제거가 판을 치는 환경에서 그리 쉬운 일이 아니고, 진화 전과 영향을 끼치는 범위가 서로 겹치기 때문에 실제로 실행해도 그만한 이득을 볼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어드밴스 소환 위주라 패 사고에서 자유롭지 못한 제왕 덱에서 제물 1장을 더 바쳐야 하는 몬스터를 추가시키면 안정성이 떨어지는 건 당연한 거다. 다행히도 TCG에서 나온 제왕 서포트들이 이 카드들의 사용을 전제로 한 듯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서 이들을 사용하면 최상급 제왕들의 소환이 좀더 용이해진다. 가장 중요한 릴리스 경감 자체는 아무 제왕이나 먹고 나올 수 있으며 기본 효과만 해도 분명 기존 제왕들의 강화판을 발동하는 것이니 부가 효과에 너무 매달리지 말고 기회가 되면 소환해 주면 된다. [[더블 코스트 몬스터]]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새로 소환해 볼만한 몬스터들이 생겼다고 봐도 된다. 대부분의 더블 코스트 몬스터가 자신과 같은 속성을 지정하기 때문에 추가 효과까지 문제없이 발동된다. ==== [[땅의 제왕 그란마그#강력한 땅의 제왕 그란마그|강력한 땅의 제왕 그란마그]] ==== ==== [[빙제 뫼비우스#차가운 얼음 제왕 뫼비우스|차가운 얼음 제왕 뫼비우스]] ==== ==== [[화염 제왕 테스탈로스#난폭한 화염 제왕 테스탈로스|난폭한 화염 제왕 테스탈로스]] ==== ==== [[바람 제왕 라이저#세찬 바람의 제왕 라이저|세찬 바람의 제왕 라이저]] ==== ==== [[웅장한 번개 제왕 자보르그]] ==== ==== [[사 제왕 가이우스#원사 제왕 가이우스|원사 제왕 가이우스]] ==== ==== [[명 제왕 에레보스]] ==== ==== [[천 제왕 아이테르]] ==== === 레벨 10 === ==== [[사악한 화염 제왕 테스탈로스]] ==== == 마법 카드 == === 일반 마법 === ==== 제왕의 심원 ==== [[파일:帝王の深怨.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 명칭=제왕의 심원, 일어판 명칭=帝王(ていおう)深怨(しんえん), 영어판 명칭=Tenacity of the Monarchs, 효과외1="제왕의 심원"은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의 공격력 2400 / 수비력 1000인 몬스터 1장 또는 공격력 2800 / 수비력 1000인 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제왕의 심원" 이외의 "제왕"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에서 등장한 제왕 관련 카드. [[천공의 성역]]에서 자보르그가 나온 지 무려 11년 만에 드디어 "제왕"이라는 이름이 카드군으로 지정되었다. '帝' 한 글자만 붙어 있던 몬스터들과 달리 일일이 '帝王'을 붙여 발매한 것은 카드군화의 준비였던 셈이다. 패에서 조건을 충족하는 몬스터 하나를 보여주는 것으로 아무 디메리트도 없이 바로 덱에서 범신의 제왕이나 제왕의 열선, 진제왕영역과 같은 강력한 제왕 마법/함정 카드를 서치해 온다. 범신의 제왕의 ②의 효과로 덱에서 카드를 고를 때 자신이 서치하기 원하는 카드가 2장 이하만 덱에 남아 있을 때 모자란 만큼 이 카드를 골라서 간접 서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엔의 봉화]]나 [[E-이멀전시 콜]]과 같은 테마 전용 서치 마법과 달리 이런 조건이 붙어 있는 이유는 이 카드로 상대 몬스터 제거+제물 마련을 한꺼번에 담당하는 막강한 범용 카드인 열선을 제왕 덱 이외의 덱에서 서치하는 것을 막기 위함인 듯하다. [include(틀:제왕 관련 능력치 몬스터)] 일러스트는 다른 제왕 마함들과 마찬가지로 가이우스가 해골 형상의 기운을 뿜어내면서 원사 제왕으로 각성하는 모습이다. 카드명은 '[[심연]](深淵)'의 발음을 이용한 말장난.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THE SECRET OF EVOLUTION]] || SECE-JP061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더 시크릿 오브 에볼루션]] || SECE-KR061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 [[진제왕강림|真帝王降臨]] || SR01-JP029 || [[노멀]] || 일본 || || || [[진제왕강림|Emperor of Darkness]]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SR01-EN029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 [[진제왕강림]] || SR01-KR029 || [[노멀]] || 한국 || || ==== 범신의 제왕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808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 명칭=범신의 제왕, 일어판 명칭=汎神(はんしん)帝王(ていおう), 영어판 명칭=Pantheism of the Monarchs, 효과외1="범신의 제왕"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의 "제왕"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덱에서 2장 드로우한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제왕" 마법 / 함정 카드 3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상대는 그 중에서 1장 고른다. 그 카드 1장을 자신의 패에 넣고\, 나머지를 덱으로 되돌린다.)]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쳐 덱]] [[진 제왕 강림]]의 신규 카드. ①의 효과는 제왕 전용 마법 / 함정 카드 한정 [[트레이드 인]]. 묘지로 보내는 게 이득인 진원의 제왕이나, 묘지에서도 효과가 있는 제왕의 굉의, 제왕의 동기 등을 묻는 데 쓸 수 있고, 굳이 이 용도가 아니더라도 덱 회전이 비교적 느린 편이던 제왕 전용의 패 가속 카드이니만큼 그 효용성은 말할 수가 없다. ②의 효과는 제왕 전용 마법 / 함정 카드 한정 [[파워 툴 드래곤]]과 유사하다. 파워 툴 드래곤의 효과를 쓸 때처럼 똑같은 카드 3장을 지정하면 그냥 원하는 대로 서치가 된다. 다만 같은 이름의 카드도 서치할 수 있는 대신 턴 횟수 제한이 있으니 주의. 이 ②의 효과 때문에 제왕 유저들은 묘지, 제외 존, 덱을 순환하는 여러 제왕 마법 / 함정들의 개수를 기억하고 잘 계산해 둬야 한다. ②의 효과는 턴당 한 번의 제약이 있지만 ①의 효과는 한 턴에 몇 번이고 쓸 수 있는 데다가, 한 턴에 어느 한쪽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제약도 없기 때문에 ①의 효과로 패 교환을 한 후, 곧바로 ②의 효과를 사용해 패를 추가로 벌 수 있다. ①②의 효과를 한 턴에 발동하면 어드밴티지가 -2 +3이 되어 사실상 카드 하나로 어드밴티지 +1을 하는 [[욕망의 항아리]]급 패 수급 능력을 보여준다. 또한 천 제왕종기 이데아의 묘지에서의 효과를 이용해 제외된 이 카드를 패로 가져올 수 있기에 엄청난 덱 순환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데아의 묘지 효과는 이데아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발동하니 이데아를 묘지로 보내기 전에 미리 ②의 효과로 자신을 제외해 두어야 한다. 제한되고 나서, 패에 같은 제왕 마함을 미리 여러 장 잡아두기보다는 상황에 맞춰 적절히 서치해야 하는 것이 좋은 제왕 덱 특성상, 범신을 묘지에 두고도 바로 제외해 효과를 쓰지 않고 다음 턴 드로우를 볼 때까지 아끼는 경우가 늘었는데, 이때 깜빡하고 먼저 이데아를 묘지로 보내는 실수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 OCG 2016년 4월 금제 기준으로 제한 카드가 되었고 TCG는 8월 29일자 금제로 제한 카드가 되었다. 사실 이 카드의 제한 하나로 인해 제왕은 안정성이 크게 떨어져 이후엔 티어에서 물러났다. 그 이후 제왕이 너무 약해진 2018년 1월 금제에서는 준제한이 되어 약간 숨통이 트였고, 이후 [[식물 링크]] 등의 링크 소환 기반 덱이 강세가 되자 4월에 무제한으로 풀렸다. 제왕 덱이 패 사고율이 높다, 마법 / 함정 의존도가 너무 높다 등 여러 약점이 지적되긴 했었으나 덱 파워가 워낙 좋고 범신의 효과와 마법 / 함정 서치 효과가 워낙 강력해서 진제왕영역과 함께 유희왕 사상 최흉 덱 중 하나로 꼽히는 EMEm과 동등하게 맞서 싸울 수 있었다. 그러나 제왕의 약점인 고질적인 패 사고율을 크게 덜어주는 이 카드의 제한에 더해 제왕의 마함을 손쉽게 부수는 트윈트위스터, 기껏 나온 제왕을 바보로 만드는 신의 통고의 발매는 제왕을 환경에서 도태되게 만들었다. 환경의 영향도 있지만 그만큼 이 카드가 제왕 덱의 핵심이었다는 것. 일러스트는 [[명 제왕 에레보스|에레보스]]와 [[천 제왕 아이테르|아이테르]]가 서로 대비되는 모습으로 반씩 나뉘어 같은 자세를 취하고 있다. 재림의 제왕으로 상황을 알 수 있는데, 에레보스가 제왕들을 시켜서 문명을 파괴, 멸망시키고, 아이테르가 문명과 생명을 수복, 회복시키는 힘을 지녔으며 그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카드명은 일러스트를 봐서 [[범신론]]의 범신과 독음이 같은 반신(半身)을 섞은 것으로 추정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진 제왕 강림|真帝王降臨]] || SR01-JP023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진제왕강림|Emperor of Darkness]]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SR01-EN023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진제왕강림]] || SR01-KR023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제왕의 동기 ==== [[파일:帝王の凍気.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 명칭=제왕의 동기, 일어판 명칭=帝王(ていおう)凍気(とうき), 영어판 명칭=Frost Blast of the Monarchs, 효과1=①: 자신 필드에 공격력 2400 이상으로 수비력 1000인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필드에 세트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2=②: 자신 묘지에서 이 카드와 "제왕"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제외하고\, 필드에 세트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유희왕 ARC-V(코믹스)|유희왕 ARC-V 코믹스]]에서 등장한 새로운 제왕 서포트 카드. [[사와타리 신고#s-3]]가 사용했다. 에레보스의 효과로 이 카드와 제왕의 용격을 덤핑하여 [[유토(유희왕)#s-7|유토]]의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을 바운스한 다음, 이 카드의 효과로 자신과 용격을 제외해 유토의 세트 카드 [[팬텀 나이츠 톰 실드]]를 파괴하여 유토의 필드를 비우는 활약을 했다. OCG화되면서 ①번 효과가 추가됐다. ①의 효과는 상급/최상급 제왕 몬스터 혹은 조건을 충족하는 몬스터가 있을 때 세트된 카드 1장을 파괴하는 효과. 세트된 카드는 [[땅의 제왕 그란마그]]와 마찬가지로 몬스터나 마함을 가리지 않기에 상황에 따라선 [[갤럭시 싸이크론]], [[나이트 샷]]보다 유용하게 쓸 수 있겠지만 사용에 조건이 달려있고 요즘 환경에서 몬스터를 세트하는 경우가 많이 없다는 점. 또한 싸이크론 계열처럼 몬스터를 내기 전에 파괴하여 안전하게 몬스터를 전개하는 게 일반적인데 이래선 공격 반응형 함정만 세트되어 있지 않는 한 큰 효율을 기대하기 힘들다. 위에 언급한 대로 세트 몬스터도 대상이 된다는 것에 의의를 둬야 할 듯... ②의 효과는 제왕 마함과 이 카드를 제외해 세트된 카드를 1장 터뜨리는 효과.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에도 쓸 수 있기에 곧바로 1장 더 카드를 터뜨릴 수 있지만 진원의 제왕처럼 다른 제왕 마함이 묘지에 있어야 한다. 진제왕 덱을 굴릴 때는 ①의 효과보다는 ②의 효과를 중심으로 사용한다. [[천 제왕 아이테르]], [[명 제왕 에레보스]]의 덱 덤핑 효과나 명제, 범신의 제왕, [[트윈 트위스터]] 등의 코스트로 묘지에 묻어서 필드에 상급 이상 제왕이 없어도 ②번 효과로 1장 파괴가 가능하며, ②의 효과로 제왕 마함을 제외하고 천 제왕종기 이데아의 효과로 제외시킨 제왕 마함을 패로 가지고 오는 간접 샐비지도 가능하다. 일러스트에 그려진 건 빙제 뫼비우스. 마찬가지로 마함을 파괴하는 효과라 그런 듯하다. 카드명은 '[[투기]](鬪氣)'의 말장난. [include(틀:제왕 관련 능력치 몬스터)]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프리미엄 팩|PREMIUM PACK 18]] || PP18-JP012 || [[노멀]][br][[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Premium Gold: Infinite Gold || PGL3-EN012 || [[골드 레어|골드]]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11]] || PP11-KR012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속공 마법 === ==== 제왕의 열선 ==== [[파일:帝王の烈旋.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제왕의 열선, 일어판 명칭=帝王(ていおう)烈旋(れっせん), 영어판 명칭=The Monarchs Stormforth,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으며\,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턴에\, 자신이 몬스터를 어드밴스 소환할 경우에 1번만\,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 대신에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할 수 있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듀얼 링크스=제한됨 1)]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에서 등장한 어드밴스 소환 서포트 카드. 다른 마법 카드들인 진격, 개암과 마찬가지로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에는 엑스트라 덱 특수 소환이 막힌다.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서만 릴리스할 수 있는 대신 배틀 페이즈 시에 돌입할 수 있는 [[크로스 소울]]의 상호 호환 격 카드. 속공 마법인지라 상대 턴에 일반 소환을 할 수 있게 하는 카드와 조합해서 상대를 엿 먹이는 것도 가능하긴 한데, 그런 카드의 대표 주자인 [[희생의 제물]]은 금지라 이걸 어떻게 써먹나 했지만, 다행히도 해외판 프라이멀 오리진에서 상대 턴 어드밴스 소환을 하게 해 주는 연격이 등장했다. 또 9월 19일 이후로 천제 아이테르가 나오면서 연격 없이도 상대 턴에 몬스터 하나를 먹고 나올 수 있게 되었다. 이 카드의 최대 특징은 크로스 소울과는 달리 몬스터를 지정하지 않으므로 대상 지정 내성을 씹어 먹고 릴리스해 버릴 수 있다는 것. 그렇기에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이나 [[신수의 수호수-아왕]] 같은 카드도 얄짤없다. 의식마인 릴리서를 소재로 소환된 [[네크로즈]]같이 귀찮은 락을 거는 몬스터들도 쉽게 제거하면서 어드밴스 소환을 할 수 있는 것도 상당한 장점이다. 또 속공 마법의 이점을 활용하여, 내 턴 드로우 페이즈에 나오려고 하는 스타더스트 드래곤/버스터도 제거할 수 있다.[* 버스터 모드에 체인 걸어버리면 된다.] 허나 이 효과 자체는 마법 카드의 효과이므로 마법 효과의 내성을 가지는 몬스터나 [[금지된 성창]]등의 카드를 사용하면 그 몬스터는 릴리스할 수 없게 되므로 주의. 제왕 미러전일 경우 제왕을 어드밴스 소환했는데 상대가 이걸 써서 어드밴스 소환한 제왕을 릴리스하여 어드밴스 소환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 카드의 등장으로 뜬금없이 [[전지맨]]의 위력도 올라갔는데 이걸 써서 충전지맨을 소환하면 그대로 누전까지 이어지기 때문이다.[* 제왕의 열선 발동 → 충전지맨 일반 소환 → 충전지맨 효과 발동, 덱에서 전지맨-9볼트 특수 소환 → 9볼트 효과 발동, 연료전지맨 서치, 특수 소환 → 누전 발동 조건이 충족됨] 최상급 몬스터에 한해서는 실질적인 상위호환인 [[후완다리즈#s-5.2|후완다리즈와 미지의 바람]]이 존재한다. 디메리트나 제약도 없고 지속 마법이라 일반 소환만 가능하면 언제든지[* 후완다리즈 덱 특성상 상대 턴에 상대의 초동 몬스터를 릴리스해서 전개 자체를 봉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몇 번이고 쓸 수 있는데다 몬스터뿐 아니라 마함도 날릴 수 있다는 강력한 장점이 있다. 다만 상급 몬스터는 미지의 바람으로 소환할 수 없다. 일러스트는 라이저가 돌풍을 일으키면서 세찬 바람의 제왕으로 각성하고 있는 모습이다. 카드의 이름에 들어가는 열선(烈旋)이라는 단어는 매울 렬(烈) 자 돌 선(旋) 자로 의역하면 '맹렬한 선풍' 정도의 뜻이 된다. 열전(熱戦)의 말장난.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23년 9월 1제 번들 카드로 등장하였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THE DUELIST ADVENT]] || DUEA-JP066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진제왕강림|-真帝王降臨-]] || SR01-JP027 || [[노멀]] || 일본 || || || [[덱 빌드 팩|デッキビルドパック]] [[다크 세이비어즈|ダーク・セイヴァーズ]] || DBDS-JP044 || [[노멀]] [[페러렐 레어|패러렐]] || 일본 || ||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2021 Vol.3]] || 21TP-JP313 || [[노멀]] [[페러렐 레어|패러렐]] || 일본 || || || [[진제왕강림|Emperor of Darkness]]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SR01-EN027 || [[노멀]] || 미국 || || ||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 || DUEA-KR066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진제왕강림]]- || SR01-KR027 || [[노멀]] || 한국 || || ==== 제왕의 굉의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885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제왕의 굉의, 일어판 명칭=帝王(ていおう)轟毅(ごうき), 영어판 명칭=Strike of the Monarchs,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레벨 5 이상의 통상 소환된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필드의 앞면 표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의 효과를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한다. 그 후\,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속성을 1개 선언하여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모든 앞면 표시 몬스터는 턴 종료시까지 선언한 속성이 된다.)] [[넥스트 챌린저스]]에서 등장한 제왕 관련 카드. 이번에는 엑스트라 덱 특수 소환 제한이 없다. 발동해서 쓰는 효과는 레벨 5 이상의 일반 소환된 몬스터를 릴리스해, 앞면 표시의 카드 1장의 효과를 무효로 하고, 1장 드로우하는 효과. 상대의 거치적거리는 몬스터나 마함 1장을 무력화시키고 패 어드밴티지를 챙길 수 있다. 꼭 [[어드밴스 소환]]뿐만 아니라 릴리스 없이 타협 소환된 몬스터 등에도 대응한다는 점이 특이한 점이라 다른 덱에서도 사용해 볼 여지가 있다. 더불어 일반 소환 된 저레벨 몬스터의 레벨이 올라가 있는 상태에서도 쓸 수 있다. 보통 써먹기 힘든 조건일 것 같지만 의외로 이 효과를 써먹기 좋은 덱이 [[환상수기]] 덱. 하급 환상수기들이 토큰이 있으면 자체적으로 레벨이 오르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비교적 조건 채우기가 수월해진다. 더불어 어드밴스 소환한 것도 아니라서 아깝지도 않다. 또한 강력한 점은 이 카드가 속공 마법 카드이기 때문에 상대가 발동한 일반 마법/함정에 체인하여 그 카드를 지정하고 발동할 수 있다. 즉 제왕/마법 버전 [[테라나이트#신성한 인자|신성한 인자]]로 보고 써도 무방. 두 번째 효과는 묘지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필드의 몬스터들의 속성을 조작하는 효과. 이를 이용해 강화형 제왕들의 효과를 보다 쉽게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혹은 속성 제한이 붙은 싱크로/엑시즈에도 쓸 수 있다. 이전까지는 실용성 없는 예능적인 효과라고 여겨졌지만 오버스펙 카드인 [[떡 깨구리]]가 나옴으로서 덤핑 형식의 덱인 [[라이트로드]] 덱에 제왕의 굉의를 넣고 묘지에 묻어버린 뒤 물 속성을 지정하고 [[바하무트 샤크]] → [[떡 깨구리]]를 뽑는 그나마 효율적인 루트가 나왔다. 일러스트는 자보르그가 공중에 떠서 전기를 일으키는 모습으로, 번개로 뿔이 형성되는 것을 보면 개암 이후의 제왕 마함들과 마찬가지로 웅장한 번개 제왕으로 각성하는 것이다. 카드명은 강직한 모습을 나타내는 한자어 '강의(剛毅)'와의 말장난인 듯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넥스트 챌린저스|NEXT CHALLENGERS]] || NECH-JP067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넥스트 챌린저스]] || NECH-KR067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진제왕강림|-真帝王降臨-]] || SR01-JP028 || [[노멀]] || 일본 || || || [[진제왕강림|Emperor of Darkness]]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SR01-EN028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진제왕강림]]- || SR01-KR028 || [[노멀]] || 한국 || || === 지속 마법 === ==== 진격의 제왕 ==== [[파일:進擊の帝王.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진격의 제왕, 일어판 명칭=進撃(しんげき)帝王(ていおう), 영어판 명칭=March of the Monarchs, 효과1=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어드밴스 소환한 몬스터는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으며\,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우주의 섬광]]에서 추가된 제왕 서포트 카드. 제왕 덱뿐만 아니라 어드밴스 소환을 주축으로 하는 [[인벨즈]], [[지박신]]덱에서도 충분히 주축으로 할 수 있는 카드.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있는 이 카드를 제대로 지킬 수만 있다면 어드밴스 소환된 몬스터들은 파괴와 바운스에 환상적인 내성을 가질 수 있다. 그 외에도 내성이 별로 없는 [[삼사신(유희왕)|삼사신]], [[라의 익신룡]], [[오시리스의 천공룡]]을 지키는 데 쓸 수도 있다. 지박신은 이 카드가 앞면 표시로 놓여있다면 필드 마법이 터져도 자괴하지 않는다. 특히 궁합이 좋은 건 [[사신 아바타]]. 카드 효과의 대상이 되지도, 카드의 효과를 받지도 않고 2턴 동안 상대 마법 함정도 봉쇄된다. 단 강력한 효과인 만큼 페널티도 커서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존재한다면 지속적으로 우려먹을 수 있는 릴리스 요원인 [[황천 개구리]]나 인벨즈의 척후가 부활할 수 없어 대신 제왕과 병용하기 힘든 [[불사 무사]]등을 이용해야 한다는 점과 고레벨 몬스터를 이용한 싱크로 / 엑시즈 소환이 막힌다는 점, [[사황제의 능묘]]에 의한 일반 소환은 보조를 해 줄 수 없다는 점 등의 문제가 있다. 하지만 싱크로/엑시즈 소환이 막히는 것을 역이용하여 '''[[오리컬코스의 결계]]'''를 채용할 경우 고레벨 몬스터의 깽판은 생각 외로 강력하다. 사실 이 카드와 의외로 상성이 좋은 것은 다름 아닌 어드밴스 소환된 백룡의 첩자. 백룡의 첩자 본인의 효과로 진격의 제왕을 지켜주고, 진격의 제왕의 효과로 백룡의 첩자를 웬만한 효과로는 날아가지 않도록 지켜줄 수 있다. [[안전지대(유희왕)|안전지대]]에 비해서는 전투 파괴를 막지 못하지만, 대신에 직접 공격도 할 수 있고, 이 카드가 날아간다고 해서 백룡의 첩자가 바로 날아가지 않는다는 것은 장점. 덤으로 백룡의 첩자는 특수 소환 루트도 제한적이라 거의 일반 소환 몬스터로 운영하기 때문에 제왕 덱과의 궁합이 나쁘지 않은 편이다. 작정하고 [[일족의 결속]]까지 추가로 깔아준다면 신 부럽지 않은 내성을 부여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사신 아바타는 불사조가 된다. 일러스트의 모습은 [[진격의 거인|불타는 도시를 파괴하면서 진격하고 있는]] 광제와 암제 이외의 6명의 제왕의 모습. 사실 진격의 거인이 나온 후에 등장한 카드라 노린 점도 있을 것 같았는데 마스터 듀얼에서 나온 설정으로 정말로 노린 것으로 밝혀졌다. 이 카드를 통해 제왕 중 자보르그와 그란마그가 그외 제왕들보다 덩치가 유독 크다는 것과 가이우스가 리더 격임을 알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우주의 섬광|COSMO BlAZER]] || CBLZ-JP064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우주의 섬광]] || CBLZ-KR064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 [[진제왕강림|真帝王降臨]] || SR01-JP025 || [[노멀]] || 일본 || || || [[진제왕강림|Emperor of Darkness]]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SR01-EN025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 [[진제왕강림]] || SR01-KR025 || [[노멀]] || 한국 || || ==== 제왕의 개암 ==== [[파일:帝王の開岩.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제왕의 개암, 일어판 명칭=帝王(ていおう)開岩(かいがん), 영어판 명칭=Return of the Monarchs, 효과외1="제왕의 개암"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이 앞면 표시로 몬스터의 어드밴스 소환에 성공했을 때\,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3=●그 몬스터와 카드명이 다른 공격력 2400 / 수비력 1000인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효과4=●그 몬스터와 카드명이 다른 공격력 2800 / 수비력 1000인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섀도우 스펙터즈]]에서 등장한 제왕을 서포트하는 지속 마법 카드. 자신이 몬스터를 어드밴스 소환했을 때, 제왕을 골라 패에 넣을 수 있는 카드. 진격의 제왕과 같은 디메리트를 가지고 있다. 어떤 몬스터든지 어드밴스 소환했을 때 발동되기에 제왕뿐만 아니라 [[마제스티 데블]] 등 강력한 효과 메타를 가진 몬스터를 어드밴스 소환해도 제왕을 서치해 올 수 있다. 또 눈에 띄는 점은 이 서치 범위에 '''[[다크 암드 드래곤]]'''이 포함된다는 것. 덱에 어둠 속성 몬스터가 충분하다면 제왕 덱에 히든 카드로 투입해 볼 수 있을지도? 굳이 담드가 아니더라도 능력치 조건을 충족하면서 어드밴스 소환과 상성이 맞는 카드들을 몇몇 투입해 상황에 따라 서치해 올 수도 있다. 진제왕강림 스트럭처 덱 발매 이후의 진제왕 덱에서 상당히 중요한 순환 파츠 역할을 맡고 있다. 제왕 덱에서는 일단 최대한 빠르게 [[천 제왕 아이테르]]를 패에 잡고 아이테르를 어드밴스 소환해 크라이스로 상대 필드를 견제하거나 혹은 다른 제왕을 유사 서치, 그리고 동시에 제왕 마함을 덤핑(주로 범신, 진원)함으로써 나중을 위한 제물을 확보해 카드를 순환시키는 것을 플레이의 핵심으로 하는데, 개암이 이 아이테르를 서치할 수 있으면서 필드에 유지해 놓고 있으면 지속적으로 어드밴스 소환할 상급, 최상급 몬스터를 패에 보충해 주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제왕의 심원으로 제왕 마함을 서치할 때도 범신과 같이 우선순위가 높은 카드이다. 룰적으로 알아둬야 하는 부분이 좀 있는데, 개암이 필드 위에 존재하는 상황에서 제왕을 어드밴스 소환을 했을 때, 개암의 효과를 발동하기로 선언하고 그 제왕의 효과를 체인 1, 개암의 효과가 체인 2로 체인 순서를 짜면 상대방이 신의 통고와 같이 '소환했을 때' 발동할 수 있는 효과를 제왕의 소환에 직접 체인할 수 없게 되어 약간 유리해진다. 그 외에 카드군 [[클리포트]]가 어드밴스 주축에 공수도 충족하지만... 다른 주 전법인 펜듈럼 소환이 막히고 따로 [[클리포트 툴]]이라는 서치 요원이 있기 때문에 그냥 안 쓰느니만 못하다. [include(틀:제왕 관련 능력치 몬스터)] 일러스트의 모습은 땅의 제왕 그란마그가 머리에서 하얀 힘을 뿜어내는 장면. 그란마그가 강력한 땅의 제왕 그란마그로 각성하고 있음을 나타낸 듯. 이름의 '개암'이라는 건 일본어로 눈을 뜬다는 뜻의 개안(開眼)과 발음이 같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섀도우 스펙터즈|Shadow Specters]] || SHSP-JP067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섀도우 스펙터즈]] || SHSP-KR067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 [[진제왕강림|真帝王降臨]] || SR01-JP026 || [[노멀]] || 일본 || || || [[진제왕강림|Emperor of Darkness]]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SR01-EN026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 [[진제왕강림]] || SR01-KR026 || [[노멀]] || 한국 || || === 장착 마법 === ==== 재림의 제왕 ==== [[파일:再臨の帝王.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 명칭=재림의 제왕, 일어판 명칭=再臨(さいりん)帝王(ていおう), 영어판 명칭=Restoration of the Monarchs,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의\, 공격력 2400 / 수비력 1000의 몬스터 또는 공격력 2800 / 수비력 1000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효과를 무효로 하여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하고\, 이 카드를 장착한다. 이 카드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때에 그 몬스터는 파괴된다., 효과2=②: 몬스터를 어드밴스 소환할 경우\, 장착 몬스터는 2장만큼의 릴리스로 할 수 있다.)]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에서 오랜만에 등장한 제왕을 비롯한 어드밴스 소환 기반 덱 서포트. 물론 2800/1000이나 2400/1000이 제왕을 제외하곤 흔한 능력치가 아니라 제왕 전용이라고 보는 게 편하다. 장착 마법이라서 [[암즈 홀]]로 서치가 가능하다는 점도 장점이고, 두 효과 모두 어드밴스 소환과 잘 맞는 충분히 좋은 효과라서 1턴에 1번만 발동할 수 있다. ①의 효과는 묘지에서 "제왕"과 "동일한 능력치를 지닌 몬스터"를, 효과를 무효화하여 묘지에서 앞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하는 효과. 능력치만 동일하면 능력 무효화 이외의 아무런 디메리트 없이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 대체로 ②를 위해서 쓰는 것이 가장 좋지만, 다른 특수 소환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고랭크 [[엑시즈 소환]]이나 고레벨 [[싱크로 소환]]으로 이어도 문제없다. ②의 효과는 [[더블 코스트 몬스터|장착 몬스터를 어드밴스 소환을 할 때 2장 몫의 릴리스 소재로 취급]]하는 효과. 심지어 다른 더블 코스트 카드들과는 달리 속성이나 종족 제한도 없다. 이 카드로 묘지에 있는 상급 제왕을 불러온 다음, 해당 제왕을 소재로 최상급 제왕을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다. 굳이 최상급 제왕이 아니어도 [[삼환신]]이나 [[삼사신(유희왕)|삼사신]]처럼 3장 이상을 필수로 릴리스해야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는 경우나, 3장 이상을 릴리스했을 때 특수한 효과를 얻는 [[신수왕 바르바로스]] 등과의 궁합도 좋다. 다만 이 카드로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들은, [[스킬 드레인]]과의 궁합이 나쁘므로 신수왕 바르바로스와 같이 쓸 수는 없다. [include(틀:제왕 관련 능력치 몬스터)] 이름처럼 일러스트는 [[천 제왕 아이테르]]가 폐허가 된 도시 문명에 하늘에서 빛과 함께 재림하는 모습이다. 진격의 제왕 그 후의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에레보스랑 제왕들이 멸망시킨 도시에 나타나서 도시를 재생시키기 위해 내려온 것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JP06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 FLOD-EN061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2019 Gold Sarcophagus Tin Mega Pack || MP19-EN040 || [[노멀]] || 미국 || ||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 || FLOD-KR06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필드 마법 === ==== 진제왕영역 ==== [[파일:attachment/제왕(유희왕)/진제왕영역.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 명칭=진제왕영역, 일어판 명칭=真帝王領域(しんていおうりょういき), 영어판 명칭=Domain of the True Monarchs, 효과1=①: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카드가 존재하지 않으며\, 자신 필드에만 어드밴스 소환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상대는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의 어드밴스 소환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상대 몬스터에 공격하는 데미지 계산시에만 800 올린다., 효과3=③: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이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패의 공격력 2800 / 수비력 1000인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몬스터의 레벨을 턴 종료시까지 2개 내린다.)] 크로스오버 소울즈에서 등장한 제왕 서포트 카드. 유희왕에서 현존하는 '''최강의 안티-엑스트라 덱 카드'''다. 제왕 덱에서 어떤 의미로는 제왕 몬스터 카드들만큼이나 중요한 카드로, 제왕이 EM이나 피안과 맞먹는 티어권으로 부활하는 데 매우 큰 영향을 끼친 카드이다.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대량 전개하는 것이 핵심인 현재의 카드군들에게는 이 카드 1장이 전술을 대폭으로 제한하는 막강한 효력을 발휘한다. ①의 효과는 제왕 서포트답게 [[엑스트라 덱]]을 제한한다. 다만 이번에는 자신뿐만 아니라 상대까지 엑스트라 덱을 틀어막아 버리는데, 엑스트라 덱의 비중이 매우 큰 환경의 특성상 엄청난 메타 효과를 가진 셈이다. 자신 필드 위에 어드밴스 소환된 몬스터가 있어야 하지만, 제왕 덱에서 몬스터 하나 어드밴스 소환하는 건 그리 어렵지 않다. 게다가 같은 팩에 등장한 가신, 종기들이 자체 특소나 어드밴스 소환 서포트를 가지고 있어서 [[화염 제왕 테스탈로스]], [[명 제왕 에레보스]]를 쓴다면 선턴 패, 특소 제한 메타도 가능하다. 다른 제왕들은 소환 시에 상대 필드에 카드가 없으면 제왕들이 날아가거나 손해를 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의. 또한 이 ①의 효과 때문에 엑스트라 덱을 쓰지 않으면서도 [[욕망과 졸부의 항아리]] 등 엑스트라 덱을 활용하는 범용 카드의 채용도 제한되는 점도 주의해야 한다. 간과하기 쉽지만 이 카드가 틀어막는 것은 융합/싱크로/엑시즈 소환이 아니라 '엑스트라 덱에서의 소환'이기 때문에 [[데블 프랑켄]], [[인스턴트 퓨전]], 그리고 [[슈팅 퀘이사 드래곤]]의 [[슈팅 스타 드래곤]] 소환 효과 등도 막을 수 있다. 물론 퀘이사가 나온 시점에서 이 카드의 효과를 제대로 쓸 수 있는지는 차치해 두고. 게다가 엑스트라 덱에서의 펜듈럼 소환까지 막을 수 있고, [[차원 장벽]]처럼 새로운 소환법이 나와서 못 막는 경우가 생기는 것도 아니기에 효과의 위력은 엄청나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어드밴스 소환된 몬스터가 필요하고 자신의 엑스트라 덱이 아예 비어있어야 하기 때문에 다른 제왕 서포트 카드들을 총동원하자. 그리고 언제나 나오는 말이지만 싸이크론, [[트윈트위스터]]는 문제다. ②의 효과는 자신 턴 한정 공격력 증가 효과. 제왕에게 부족한 타점을 보충시켜 준다. 상급 제왕의 경우 3200, 최상급 제왕 3600으로 공격력 3000을 뛰어넘게 된다. 또 데미지 계산 시에만 증가하기 때문에 라그나 제로의 효과에 의해 파괴될 일도 없다. 이게 생각보다 쏠쏠한 게 상대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 완전 내성의 얼티미트 팔콘 같은 경우는 제왕의 열선으로도 처리 불가능한, 명백히 클래식 진제왕 덱의 한계점에 있는 몬스터인데도 불구하고 이 ②의 효과의 도움을 받아 딱 100을 뛰어넘는 공격력으로 전투 파괴할 수 있다. 또한 데미지 계산 시에 증가하기 때문에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선언하고 상대가 아무 생각 없이 체인을 걸지 않았다가 계산시에 상대가 '아차! 영역 ②의 효과' 하면서 필드 이득을 볼 수도 있고 극적인 경우에는 그 늘어난 800 관통 뎀으로 승리까지 하는 상황도 벌어진다. ③의 효과는 제왕판 코스트 다운. 최상급 제왕들을 제물 1개로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게 해준다. 여기서 웅장한 번개 제왕 자보르그의 레벨을 내리고 소환했을 경우에는 대상 몬스터의 원래 레벨/랭크를 따지므로 똑같이 엑덱 8장을 깐다. 이 카드와 제왕의 열선을 조합하면 최상급 제왕을 소환할 때도 자신의 몬스터는 한 장도 쓰지 않고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다. 2016년 4월 금제로 제한 카드가 되었다. 강력한 효과를 가진 최상급 제왕들의 제물을 하나 줄여준다는 점과, 요즘 메타로 작용하고 있는 엑스트라 덱 봉인이 여러모로 요즘 환경에 강력하게 적용하기 때문. 하지만 10월에 준제한, 2017년 10월 무제한으로 풀렸다. 일러스트는 [[명 제왕 에레보스]] 앞에 여섯 명의 제왕들이 줄지어 있는 모습. 진제왕강림에서 에레보스가 공개되기 전부터 그 존재를 암시하고 있었다. 저 여섯 제왕들도 엄청나게 거대한 편에 속하는데[* [[반전 세계]]의 일러스트로 볼 때, 빙제 뫼비우스의 키가 건물 2층 정도.] 무릎까지만으로도[* 거리감을 계산한다면 훨씬 클 수도 있다.] 더 큰 에레보스의 압도적인 위엄을 채감할 수 있다 [include(틀:제왕 관련 능력치 몬스터)]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크로스오버 소울즈|CROSSOVER SOULS]] || CROS-JP086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 [[진제왕강림|真帝王降臨]] || SR01-JP026 || [[노멀]] || 일본 || || || [[진제왕강림|Emperor of Darkness]]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SR01-EN026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 [[진제왕강림]] || SR01-KR026 || [[노멀]] || 한국 || 국내 최초 수록 || == 함정 카드 == === 일반 함정 === ==== 제왕의 동지 ==== [[파일:帝王の凍志.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 명칭=제왕의 동지, 일어판 명칭=帝王(ていおう)凍志(とうし), 영어판 명칭=The Monarchs Awaken, 효과1=①: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자신 필드의 어드밴스 소환한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는 효과가 무효가 되고\, 이 카드 이외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에서 등장한 어드밴스 소환 서포트 카드. 진격, 개암과는 달리 아예 엑스트라 덱에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만 발동할 수 있지만, 그 대신으로 효과가 매우 파격적이다. 효과가 무효화되는 대신에 다른 어떠한 카드의 효과도 받지 않게 해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일반 함정이라 카운터 함정이라도 맞지 않는 이상 완전 내성 효과가 사라질 염려가 없다는 점이 강점. 더군다나 제왕은 소환된 그 순간에만 효과를 쓰기 때문에 효과 무효 디메리트는 실질적으로 아무런 페널티가 없는 것이다 마찬가지다. 이 효과로 내성을 준 몬스터보다 강한 몬스터는 여러 약화 카드를 써서 대처하자. 제왕처럼 공격력이 낮은 카드들보다는 [[사신 드레드루트]]같은 최상급의 공격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내성은 일절 없는 카드와 병행하는 것도 좋다. 아니면 능력치가 좋은데 디메리트가 치명적인 카드 대상으로 쓸 수 있을지도... 다만 어드밴스 소환이라는 조건 자체가 어느 정도의 디메리트인지라 어드밴스 소환이 필요하면서 디메리트까지 달린 몬스터는 많지 않다. 일러스트의 모습은 빙제 뫼비우스가 차가운 얼음 제왕 뫼비우스로 각성하여 얼음을 부수고 뛰쳐나오는 모습. 이름의 '동지'라는 것은 일본어로 '투지'와 발음이 같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LEGACY OF THE VALIANT]] || LVAL-JP077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Legacy of the Valiant]] || LVAL-EN077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 || LVAL-KR077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 [[진제왕강림|真帝王降臨]] || SR01-JP037 || [[노멀]] || 일본 || || || [[진제왕강림|Emperor of Darkness]]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SR01-EN037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 [[진제왕강림]] || SR01-KR037 || [[노멀]] || 한국 || || === 지속 함정 === ==== 제왕의 용격 ==== [[파일:帝王の溶擊.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제왕의 용격, 일어판 명칭=帝王(ていおう)溶撃(ようげき), 영어판 명칭=The Monarchs Erupt, 효과외1=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카드가 존재하지 않으며\, 자신 필드에 어드밴스 소환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어드밴스 소환한 몬스터 이외의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2=②: 자신 엔드 페이즈에\, 어드밴스 소환한 몬스터가 자신 필드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이 카드는 묘지로 보내진다.)] [[프라이멀 오리진]]에서 등장한 새로운 어드밴스 소환 서포트 카드. [[스킬 드레인]]의 상호 호환. 엑스트라 덱을 비워 놓아야 하고, 한술 더 떠서 필드 위에 어드밴스 소환된 몬스터를 계속 유지해 두어야 하는 까다로운 유지 조건을 가지고 있지만, 어드밴스 소환되지 않은 모든 몬스터 효과를 무효로 한다. 어드밴스 소환된 몬스터가 엔드 페이즈에 살아 있지 않으면 알아서 묘지로 가 버리는 자괴 효과가 불편해 보이지만, 사실 자신의 엔드 페이즈에만 묘지로 가는지라 상대 턴에 제왕이 제거당한 거라면 다음 턴에 또 제왕을 소환해 주는 것으로 계속 유지시킬 수 있기에 스킬 드레인에 비해 심각하게 유지하기 힘든 것은 아니다. 물론 제왕을 소환한 턴에 바로 함정에 걸려 제거당하는 것에는 주의해야 한다. 처음에 발동하는 타이밍을 잘 계산하도록 하자. 그리고 엑스트라 덱에 카드가 없어야 한다는 조건도 발동한 후에는 지키지 않아도 되기에 펜듈럼 몬스터가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놓여도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 같은 것도 없다. 하지만 정작 제왕 덱에서는 잘 투입되지 않는데, 발동 타이밍에 제약이 있어 패 말림의 소지가 있고, [[마제스티 데블]]이라는 더욱 쓰기 편한 대체재가 있기 때문. 오히려 제왕보다는 [[진룡(유희왕)|진룡]]에 어울리는데, 진룡 몬스터들은 지속 마법/함정 카드를 릴리스하고 나오는지라 어드밴스 소환용 하급 몬스터에 구애받지 않고, 이 카드도 어드밴스 소환 소재가 될 수 있으며, 몬스터 효과가 매 턴마다 쓸 수 있거나 파괴 내성이 유지되기에 더욱 유용하다. 단 이 카드를 채용할 경우 진룡기병 다스메타트론의 엑스트라 덱 소환 효과와 충돌하니 취향에 따라 스킬 드레인과 선택해서 넣는다. 만약 상대도 어드밴스 소환에 성공했다면 해당 몬스터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어드밴스 소환을 하는 테마를 상대하는 일이 아주 드문 상황이지만 타점이 상대에게 밀리면 용격이 작살나기 때문에 다른 보조 카드로 용격의 파괴를 예방해야한다. 일러스트의 모습은 난폭한 화염 제왕 테스탈로스로 각성하는 도중의 화염 제왕 테스탈로스가 불길을 일으키며 걸어나오는 모습. 몸의 일부가 난폭한 화염 제왕의 모습으로 변하고 있다.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TheMonarchsErupt-EN-Manga-AV.png|width=300]] [[유희왕 ARC-V/코믹스|유희왕 ARC-V 코믹스]]에서 [[사와타리 신고#s-3|사와타리]]가 제왕 덱을 사용하면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가 다르다. 에레보스와 제왕의 동기의 코스트로만 사용되었다. '용격'이라는 것은 일본어로 '요격'과 발음이 같은 조어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프라이멀 오리진|PRIMAL ORIGIN]] || PRIO-JP076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프라이멀 오리진|Primal Origin]] || PRIO-EN076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프라이멀 오리진]] || PRIO-KR076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 [[진제왕강림|真帝王降臨]] || SR01-JP038 || [[노멀]] || 일본 || || || [[진제왕강림|Emperor of Darkness]]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SR01-EN038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 [[진제왕강림]] || SR01-KR038 || [[노멀]] || 한국 || || ==== 연격의 제왕 ==== [[파일:連撃の帝王.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연격의 제왕, 일어판 명칭=連撃(れんげき)帝王(ていおう), 영어판 명칭=Escalation of the Monarchs, 효과1=①: 1턴에 1번\, 상대의 메인 페이즈 및 배틀 페이즈에 이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몬스터 1장을 어드밴스 소환한다.)] TCG판 [[프라이멀 오리진]] 에서 발매된 제왕의 서포트. 효과는 [[희생의 제물]]과 비슷하다. 정확히는 자신의 턴에는 사용할수 없고 어드밴스 소환 전용이나, 상대 턴에 사용해서 희생을 쓰듯이 할 수 있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때문에 불안불안하며 많이 넣지도 못하다가 결국 완전히 저세상으로 가버린 희생과는 달리 무제한이라는 점도 매력적. 무엇보다 희생의 제물과는 달리 코스트가 없으며, 자신 턴에 쓸 수 없긴 하지만 대신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도 가능하다. 뫼비우스를 엔드 [[싸이크론]] 2장짜리처럼 써먹거나, 상대가 서치를 했을 때 난폭한 화염 제왕을 소환해서 서치한 카드를 바로 골라 털어버리는 만행이 가능하여 설령 희생의 제물이 금지에서 풀려나더라도 여전히 차별화하며 쓸만한 카드라고 할 수 있다. 거기다 [[더 듀얼리스트 어드벤트|다음 팩]]에서 세찬 바람의 제왕과 같이 등장하는 열선과 같이 쓰면 일방적으로 상대의 아드만 깎아먹을 수 있는 데다가, 이 카드가 터졌다면 다음 턴에 [[황천 개구리]]를 되살려서 또 한 장을 전개하거나 이 효과로 나온 제왕을 바쳐 강화형을 꺼낼 수 있다. 또 자신 턴에 꺼낸 제왕이 상대에게 파괴될 것 같을 때 이 카드로 제물로 바치고 다른 제왕이나 강화형을 바로 꺼내서 역관광 내줄 수도 있다. 거기다, 한 가지 생각해야 할 것은 지금까지 새로 나온 제왕의 지원 카드는 전부 엑스트라 덱 제한이 있는데, 이 카드는 '''그런 것이 없다.''' 물론 열선과 연동하려면 아무래도 좋은 장점이지만. 다만 역시 지속 함정이라 체인당해 파괴되어 버리면 불발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하며, [[황천 개구리]]와 병용하기 힘들다는 점은 이전의 제왕 서포트들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개구리 이외에도 다른 방식으로 제물을 마련할 수 있는 제왕 덱을 구축해야 한다. 이 점을 고려한 것인지 [[어드밴스 디보터]]나 [[삼연성의 트리온]]같이 기존에 약간 모자란 듯한 성능을 가지고 있었던 제물용 몬스터들을 이 카드와 같이 쓰면 이들의 성능을 살릴 수 있다. [[진룡(유희왕)|진룡]]하고도 상성이 좋은데, 지속 마함을 제물로 쓸 수 있어서 상급 몬스터의 경우 이 카드를 릴리스해 소환할 수 있고, 아니면 상대 턴에 진룡 마함을 릴리스해 카드 파괴를 노릴 수 있다. 일러스트에선 폭염제와 동빙제가 [[오라오라]]를 시전하고 있다. 하는 짓도 이름도 [[귀신의 연격]]이 떠오른다. 그들 위에는 파란색과 붉은색이 섞인 에너지 구체가 형성되는 걸 보아 둘이 얼음과 화염의 힘을 모아서 공격하는 장면인 듯. [[해황(유희왕)|해황]]이랑 [[염왕]]과는 달리 제왕들 사이에서 물 속성과 화염 속성은 목적이 같으면 서로 환상의 호흡을 보여주나 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프라이멀 오리진|PRIMAL ORIGIN]] || PRIO-JP089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프라이멀 오리진|Primal Origin]] || PRIO-EN089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프라이멀 오리진]] || PRIO-KR089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KNIGHTS OF ORDER-]] || EP14-JP040 || [[레어]] || 일본 || || || [[엑스트라 팩|엑스트라 팩-나이츠 오브 오더]] || EP14-KR040 || [[레어]]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 [[진제왕강림|真帝王降臨]] || SR01-JP036 || [[노멀]] || 일본 || || || [[진제왕강림|Emperor of Darkness]]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SR01-EN036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 [[진제왕강림]] || SR01-KR036 || [[노멀]] || 한국 || || ==== 시원의 제왕 ====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TheFirstMonarch-EP14-JP-SR.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시원의 제왕, 일어판 명칭=始源(しげん)帝王(ていおう), 영어판 명칭=The First Monarch, 효과1=①: 이 카드는 발동 후\, 효과 몬스터(악마족 / 어둠 / 레벨 6 / 공 1000 / 수 2400)가 되고\, 몬스터 존에 특수 소환한다. 이 카드는 함정 카드로도 취급한다., 효과2=②: 이 카드의 효과로 이 카드가 특수 소환했을 경우\, 패를 1장 버리고\, 속성을 1개 선언하여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는 선언한 속성으로 취급하고\, 이 카드와 같은 속성의 몬스터를 어드밴스 소환할 경우\, 2장만큼의 릴리스로 할 수 있다., 효과3=③: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된 이 카드가 존재하는 한\, 자신은 이 카드와 같은 속성의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강화형 제왕의 어드밴스 소환을 지원하는 [[더블 코스트 몬스터|더블 코스트]] 함정 몬스터. 공수도 대놓고 제왕의 공통 공수인 2400/1000을 뒤집어 놨다. 차가운 얼음 제왕 뫼비우스가 홀로그래픽 레어를 얻은 것은 이 카드의 발매를 예고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제왕의 강화형이 크게 활약하지 못하고, 패를 버리기 때문에 속공성도 떨어지는데 안정성도 낮은 것이 단점. 레벨이 높기 때문에 랭크 6의 엑시즈 소환 또는 고레벨의 싱크로 소환을 생각해 볼 수 있지만, 속성으로 묶인 소환 제한 때문에 이쪽으로도 크게 바랄 수는 없다. 참고로 이 카드의 속성 변경 효과로 '''[[삼환신|신 속성]]'''이 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신의 카드들 소환을 위해 릴리스해야 할 몬스터를 둘로 줄일 수 있다. 뜬금없는 삼환신 지원 효과. 실전성은 적지만 ③ 효과랑 연계해 신속성이 된 이 카드를 [[강제전이]] 등으로 상대에게 떠넘기면 [[결계상]] 비스무리한 효과를 낼 수 있다. 일러스트는 어둠 속에 있기 때문에 실루엣밖에 보이지 않는 [[명 제왕 에레보스]]의 모습이다. 하지만 에레보스는 언데드족인데 이 카드의 효과로 소환되는 몬스터는 악마족이다. 아직 에레보스의 설정 구성이 끝나지 않았던 걸지도. 시원의 의미는 '시작이자 기원' 이라는 뜻으로, 에레보스가 제왕들의 시조임을 의미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Legacy of the Valiant]] || LVAL-EN089 || [[시크릿 레어]] || 미국 || 세계 최초 수록 || || [[엑스트라 팩|EXTRA PACK -KNIGHTS OF ORDER-]] || EP14-JP030 || [[노멀]] || 일본 || 일본 최초 수록 || || [[엑스트라 팩|엑스트라 팩-나이츠 오브 오더]] || EP14-KR030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진제왕강림|真帝王降臨]] || SR01-JP035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진제왕강림|Emperor of Darkness Structure Deck]] || SR01-EN035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진제왕강림]] || SR01-KR035 || [[노멀]] || 한국 || || ==== 진원의 제왕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809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진원의 제왕, 일어판 명칭=真源(しんげん)帝王(ていおう), 영어판 명칭=The Prime Monarch, 효과외1="진원의 제왕"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묘지의 "제왕" 마법 / 함정 카드 2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덱에 넣고 셔플한다. 그 후\,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이 카드 이외의 자신 묘지의 "제왕"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는 일반 몬스터(천사족 / 빛 / 레벨 5 / 공 1000 / 수 2400)가 되고\, 몬스터 존에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함정 카드로는 취급하지 않는다).)] ①의 효과로는 1턴에 1번 묘지의 제왕 마함 2장을 덱에 되돌려 1장 드로우로 바꿔먹고, 묘지에서 제왕 마함 1장을 제외해 일반 몬스터로서 특수 소환하는 지속 함정. [[천 제왕 아이테르]], [[명 제왕 에레보스]]의 어드밴스 소환 시 효과로 매번 제왕 마법 함정을 묘지에 덤핑하면서 덱 자원을 소모하는 것을 어느 정도 상쇄해 줄 수 있는 효과로 초반에는 큰 어드밴티지를 가져다주지 못하지만 제왕 마법 함정이 묘지에서 자체 효과를 발동하기보다는 이 카드의 ②의 효과 발동을 위한 코스트로 제외하기 위해 묘지에 덤핑되는 만큼 듀얼이 중후반으로 넘어가 제왕 마함이 필요 이상으로 묘지에 쌓이게 되면 거의 매 턴 추가 드로우를 가져다준다. ②의 효과로 소환된 이 카드는 [[팬텀 나이츠 섀도우베일|함정으로는 취급하지 않으며]], 1턴에 1번만 소환할 수 있다. 소환 전에는 일단 함정 효과이므로 프리 체인으로 소환할 수 있고 수비력이 2400으로 낮지 않은 편이어서 상대 턴에 공격을 1번 막고 나서도 이 카드를 제물로 다른 제왕을 소환하는 것을 노릴 수 있다. 제왕 마함 서포트의 추가로 예전 개구리제왕 시절에 사용하던 [[황천 개구리]]를 매 턴 부활 효과를 사용할 수 없게 되면서 지속적으로 제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대신 맡게 된 카드. ②의 효과가 어차피 한 턴에 한 번이기 때문에 묘지에 진원을 덤핑할 때 1장 정도만 묻어두고 ①의 효과를 쓰는 것을 고려해 덱에 1장 이상의 진원을 남겨두는 것이 좋다. 아주 간혹 듀얼이 장기전이 되어 진원의 ①의 효과로 묘지와 덱을 순환시키면 턴이 지날수록 회수된 제왕 마함이 바로 드로우될 확률이 올라가는 데, 그러면 에레보스의 묘지 효과로 그렇게 드로우된 제왕 마함을 버려 묘지의 제왕을 서치하고 ②의 효과로 특소된 진원이나 다른 온갖 방법으로 제물을 공급해 거의 매 턴 제왕을 소환하는 짓을 제왕 마함이 거의 다 제외될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레벨 5 빛 속성 몬스터로 소환되기 때문에 엑덱을 사용하는 제왕 덱에서는 [[브릴리언트 퓨전]]으로 소환된 젬나이트 세라피, 라줄리로 서치한 잭스나이트, [[초량사 레드레이어]] 등과의 조합으로 5 축 엑시즈 소환을 노리는 데 활용할 수도 있다. 일러스트는 베일에 감싸여 실루엣만 비추고 있는 [[천 제왕 아이테르]]의 모습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 [[진제왕강림|真帝王降臨]] || SR01-JP034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진제왕강림|Emperor of Darkness]]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SR01-EN034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R]] - [[진제왕강림]] || SR01-KR034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토큰]] == [[파일:トークン(SR01).jpg]] [[진제왕강림]]에 수록된 토큰. [[사 제왕 가이우스]]의 일러스트에 나온 구체와 똑같이 생겼다. 정작 번개 제왕가신 미스라의 가신 토큰은 등장하지 않았다. ---- [[파일:미스라 토큰.jpg]] 2016년 북미에서 개최된 대회에서 탑 8에 든 유저들에게 배포된 토큰.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가신 토큰 소환 시 해당 토큰의 모습으로 나온다. == 관련 효과 몬스터 == * [[화염 제왕 근위병]]: 이름으로 보아 [[화염 제왕 테스탈로스]]와 관련이 있어 보이는 몬스터. 효과는 제왕이나 어드밴스 소환하고는 관련이 없다. * [[엠페러 스토움]]: 이름도 제왕을 뜻하는 엠페러(emperor)[* 제왕의 공식 영어명은 모나크(monarch)지만, 엠페러 오더와 그 공식 영어명 By Order of the Emperor를 보면 엠페러도 공식명에 가깝다.]가 이름에 있고 제물 소환 관련 효과를 지니고 있다. * [[사이코 엠페러]]: 레벨 6 / 공격력 2400 / 수비력 1000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되었을 때에 효과를 발동한다. 이름도 그렇고 사이킥족 전용 제왕인 셈. * [[일루전 스내치]]: 직접 관련이 있는 카드는 아니지만 일러스트에서 사 제왕을 베끼고 있으며, 공격력 2400 / 수비력 1000이어서 제왕의 개암으로 서치가 가능하며, 효과도 제왕 덱과 잘 맞는다. * [[천마대제(유희왕)|천마대제]]: 이름에 같은 발음의 한자 임금 제 帝(てい)가 있고, 공격력 2400 / 수비력 1000이며 통상 소환되었을 때에 효과를 발동하는 몬스터를 보조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 [[사악왕 트라카렐]]: 제왕은 아니지만 공격력 2400 / 수비력 1000이며, 어드밴스 소환시 릴리스한 몬스터 공격력 이하의 몬스터를 비대상 파괴 효과를 가지고 있다. * [[아이스 나이트]]: 에셔 이전에 나온 뫼비우스의 가신. == 관련 함정 카드 == * [[엠페러 오더]]: [[스트럭처덱]] 제왕을 테마로 하는 [[황제의 강림]]에서 첫 수록된 카드. 저 이름 때문에 "제왕" 마법 / 함정 카드군에 포함되지 않는데, "제왕" 마법/함정이 카드군으로 지정되기 오래 전에 등장한 카드이기 때문. "제왕의 명령" 정도로 해석하면 될 듯하다. * [[다크 어드밴스]]: 묘지의 제왕을 회수하고 바로 어드밴스 소환하게 해주는 함정. [[다크 어드밴스]] 항목 참고. == 참고 카드 == * [[증원(유희왕)|증원]] 천 제왕종기 이데아를 바로 집어올 수 있게 해준다. 제왕 덱에서 집어올 수 있는 카드는 이데아밖에 없지만, 이데아를 집어 와서 소환하면 명 제왕종기 에이도스를 특수 소환할 수 있고, 어드밴스 소환으로 이어갈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제외된 제왕 마함을 재활용할 수 있다는 점은 덤. * [[원 포 원]] 증원과 마찬가지로 서치 범위에 걸리는 몬스터가 이데아밖에 없다. 이쪽은 몬스터를 한 장 버려아 하지만, 덱에서 특수 소환시키기 때문에 일반 소환권을 쓰지 않아도 된다. 이데아로 에이도스나 번개 제왕가신 미스라를 특수 소환한다면 한 턴에 어드밴스 소환을 두 번이나 할 수 있다. 여차하면 코스트로 에레보스를 버려 묘지의 제왕을 퍼 올릴 수도 있다. * [[명계의 패]] 2장 이상 어드밴스 소환시 2장 드로우하는 카드로 제왕덱에서 자주 사용하는 아이테르와 에레보스를 비롯해 8레벨 제왕들을 소환할 때 부족한 패를 리스크 없이 보충해주는 카드이다. 이 카드의 중요한 점은 턴 제한, 카드 명칭 중복 제한이 없기 때문에 여러 번 제왕을 어드밴스 소환하거나 명계의 패가 2장 이상 있을 경우 패를 미친듯이 보충해 줄 수 있다(이론상 명계의 패 2장 + 제왕 소환 2장으로 8장 드로우가 가능해진다). 다만, 무조건 카드 2장을 재물로 사용해야 하기에 6렙 제왕들과 재림의 제왕과는 잘 맞지 않다. 그리고 강제 효과 발동이기 때문에 여러 장 사용하다가는 덱 자체 소모가 극심해지는 점도 주의해야 한다. * [[셀레스티얼 세크스턴트]] 6렙 몬스터를 덱 맨 아래로 되돌리고 덱에서 2장 드로우 하는 카드로, 배너티 데블, 마제스티 데블을 비롯해 6렙 제왕들을 메인으로 사용하는 제왕덱에게 있어서 채용하기 좋은 카드이다. * PSY프레임기어 γ, PSY프레임 드라이버 필드 전개 이전에 덱에서 카드를 서치하거나 드로우를 먼저 시작하는 제왕 덱 특성상 상대의 패트랩 견제를 막아주는 역할을 해준다. 또한, 필드에 프레임기어 2장이 특수 소환되기 때문에 어드밴스 소환으로 사용하기에 용이하다. * [[배너티 데블]], [[마제스티 데블]] 어드밴스 소환을 해서 필드를 굳히는 데 도움을 주는 카드들. 마제스티 데블은 제왕과 공/수가 완전히 같아서 제왕 서포트를 받을 수 있고 배너티 데블은 파괴수에 당할 일이 없다는 장단점이 각각 있으니 입맛대로 골라 쓰면 된다. 한쪽은 메인에, 한쪽은 사이드에 넣어 쓰는 것도 좋다. * [[어리석은 매장]], [[어리석은 부장]] 매장은 적절한 타이밍에 이데아를 묻어 제외된 제왕 마함을 회수하거나, 에레보스를 묻어 회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부장은 범신과 진원을 묻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후에 천제, 명제를 뽑는다면 제왕 마함은 충분히 쌓이지만 그 천제, 명제를 뽑게 도와주는 윤활유가 부장이 될 수 있다. * [[초량사 레드레이어]], [[초량사 블루레이어]], [[긴급텔레포트]] 초량사 블루와이어는 긴급텔레포트르 튀어나와 레드와이어를 서치하며 제물을 마련해 준다. 초량사 레드와이어는 자체 특수 소환으로 제물이 될 수도 있지만, 블루와이어에 의해 서치된 후 블루와이어를 릴리스해 어드밴스 소환해서 제왕의 개암 등의 효과를 발동시킬 수 있다. * [[명추리]] 마법/함정 카드를 덤핑하면서 제물 마련도 노릴 수 있다. 하급 몬스터들은 레벨이 다양하고, 덱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하급, 상급, 최상급 몬스터의 비율이 거의 균등해서 레벨 맞추기가 어려운 점이 장점. * [[드래고노이드 제너레이터]] 매 턴마다 제물을 2장씩 마련할 수 있으며, 효과 발동 시 따라오는 디메리트는 어처피 상당수의 제왕 카드와 겹치니 무시해도 된다. 또한 진제왕영역이 필드에 있다면 상대 필드의 생기는 토큰을 링크 소환의 소재로 쓸 위험성이 매우 적어진다. * [[덱 파괴 바이러스|마의 덱 파괴 바이러스, 어둠의 덱 파괴 바이러스]] 상대의 약소 몬스터나 마법/함정을 대량으로 털어버리는 카드. 코스트는 어둠 속성 제왕으로 쉽게 충당이 가능하다. * [[다이너레슬러 판크라톱스]] 간편한 특수 소환 조건을 가져 유사시에는 어드밴스 소환용 제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우수한 돌파 및 견제 능력을 가진 몬스터. * [[대대적 체포작전]] 컨트롤 탈취 계열 카드. [[정신조작]]과는 달리 컨트롤을 가져온 몬스터를 릴리스할 수 있기에 제왕의 열선 사용하듯이 사용할 수 있다. * [[앤카모플라이트]] 엑스트라 덱에 앤카모플라이트외의 몬스터가 없어야 발동 가능한 몬스터. +1의 아드를 무조건 벌어주며, 일소권 없이 제물을 한 체를 마련해 준다. * [[엔젤 01]] 패에 레벨 7 이상 몬스터가 있으면 제물 마련에 어드밴스 소환권 +1을 얻을 수 있는 몬스터. 최상급 몬스터를 어드밴스 소환할 용도로는 번개 제왕가신 미스라보다 사용하기 좋다. * [[프루프 프루플라스]] 필드가 비어있으면 특수 소환이 가능하고, 소환 후 바로 어드밴스 소환으로 이어서 일소권을 사용하지 않고 상급 제왕을 꺼낼 수 있다. 다만 특수 소환에 대해 각종 제약이 걸려 있어 천 제왕 아이테르, 명 제왕종기 에이도스, 진원의 제왕 등과 충돌하니 이 점을 유의해야 한다.. * [[크샤트리라]] 크샤트리라 오우거가 공격력 2800 / 수비력 1000이다. 메인 덱 7레벨 몬스터 3종이 자체 특수 소환이 가능해서 제물로 쓸 수 있고, 반대로 자기들이 어드밴스 소환되는 것이 가능하다. 견제 능력도 우수한 편. * [[혈육의 제물]] 지속 함정이기에 타이밍이 느려 자신 턴에 일반 소환권을 3회까지 늘리는 효과는 누리기 쉽지 않지만 비록 배틀 페이즈에 1회로 한정되긴 해도 상대 턴에 강력한 유발 효과를 가진 제왕 몬스터를 기습 소환할 수 있다는 점은 분명한 메리트다. 필드에 남겨놓을 수만 있다면 일반 소환권을 3회로 늘리는 효과로 상대를 압박할 수 있다. 패에 어떻게 잡느냐가 문제겠지만 제왕 덱은 범신의 제왕이라는 부스팅 카드가 있어 생각보다 덱 압축이 쉽다. == 이름과 달리 제왕과 관계 없는 몬스터 카드 == 이름 때문에 제왕과 엮일 수도 있는 몬스터 카드들. 번역 오류로 "제왕"이 되었거나, 이름에 같은 한자 임금 제(帝)가 들어있지만 읽는 방식이 다르거나, 帝(てい)가 들어있음에도 불구하고 나머지 제왕과 관련이 없는 경우로 나뉜다. 1. 번역 오류 * [[드래곤의 제왕]] 원판의 이름은 "로드 오브 드래곤 - 드래곤의 지배자"로 제왕과 아무 관련 없다. 2. 원판에 이름에 帝가 들어있지만 발음 혹은 표기가 다른 경우 * [[음악의 제왕]] -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음악의 제왕"이라고 쓰고 "뮤지션 킹"이라고 읽는다]]. 굳이 쓰고 싶다면 [[인스턴트 퓨전]]으로 불러 제물로 써먹을 수는 있다. 하지만 동지나 요격 등의 엑스트라 덱이 비어있을 것을 강요하는 카드를 사용하기 힘들 것이다. * [[뇌제신]] - "스사노오"라고 읽는다. *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 - "혼돈제룡 -종언의 사자-"라고 쓰고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의 사자-"라고 읽는다. * [[뱀파이어(유희왕)#뱀파이어 엠파이어|뱀파이어 엠파이어]] - "뱀파이어 제국(帝国)"이라고 쓰고 "뱀파이어 엠파이어"라고 읽는다. * [[아마조네스(유희왕)#아마조네스 임프레스|아마조네스 임프레스]] - 원판은 "아마조네스 여제"라고 쓰고 "아마조네스 엠프레스"라고 읽는다. * [[사이버 엔젤#사이버 엔젤-나사테이야|사이버 엔젤-나사테이야-]] - "나사제미(那沙帝弥)"라고 쓰고 "나사테이야"라고 쓴다. 이건 발음을 비슷하게 만들기 위해 "테이"를 帝으로 나타낸 걸로 봐야 할 듯. * [[히스이(유희왕)#s-3.6|히스이테이 코스모크로아]] - 이름에 "테이"가 들어있지만, 히라가나가 아니라 다른 [[히스이(유희왕)|히스이]] 몬스터처럼 가타카나로 표기돼 있다. 3. 이름에 帝(てい)가 들어있는 카드들 * [[수륙의 제왕]] - 초기 카드로 우연히 겹친 케이스. * [[심판의 여왕]] - 원판 이름이 "심판을 내리는 여제"다. *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여왕 사마귀|여왕 사마귀]] - 원판 이름이 "여제 사마귀"다. * [[사황제의 능묘]] * [[기황제]] * [[극신성제 오딘]] * [[펭귄(유희왕)#대황제 펭귄|대황제 펭귄]] * [[아교제 샤크 카이젤]] * [[휘광제 갤럭션]] - 참고로 기황제와 발음이 같다. * [[무사신#무사신제-스사노오|무사신제-스사노오]], [[무사신#무사신제-카구츠치|카구츠치]], [[무사신#무사신제-쓰쿠요미|쓰쿠요미]] * [[방계(유희왕)#방계제|방계제]] * [[환마 제왕 트릴로지그]] == [[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OCG화되지 않은 카드]] == === [[썬더나이트]] === === 제왕의 재각성 === [[파일:EmeprorsReawakening-JP-Manga-AV.png]] || 한글판 명칭 ||'''제왕의 재각성'''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ruby(帝王, ruby=ていおう)]の[ruby(再覚醒, ruby=さいかくせい)]'''|| || 영어판 명칭 ||'''Reawakening of the Emperor'''|| ||<-2> 일반 함정 || ||<-2>레벨 5 이상의 "제왕" 1장의 어드밴스 소환 성공시의 효과를 재발동한다.|| [[유희왕 ARC-V(코믹스)|유희왕 ARC-V 코믹스]] 3화에서 등장한 새로운 제왕 서포트 카드. [[사와타리 신고#s-3]]가 사용했다. [[사카키 유야#s-9.1|유야]]가 마지막 액션 카드를 줍자 이 카드로 [[명 제왕 에레보스]]의 효과를 재발동하여 유야의 패를 털려고 했으나, 유야는 묘지의 [[팬텀 나이츠 톰 실드]]로 막아냈다. 뫼비우스나 가이우스 등의 효과를 재발동할 수 있는 만큼 효과 자체는 상당히 강력해 보인다. 함정이라서 느리지만 상대 턴에 원하는 타이밍에 효과를 재발동할 수 있다는 것은 무시할 수 없다. 특히 [[천 제왕 아이테르]]로 필요한 제왕이 덱에서 튀어나올 수 있으니. 같은 사용자의 [[다크 어드밴스]]와는 달리 이름에 "제왕"이 있어서 나오게 되면 제왕 마함 서포트를 받을 수 있다. 다크 어드밴스와 마찬가지로 효과 텍스트가 "제왕"(帝, てい)가 이름에 들어있는 몬스터를 가리키는데, OCG화될 경우 "공격력 2400 이상 / 수비력 1000" 등으로 바뀔 듯하다. 일러스트엔 명 제왕 에레보스가 힘을 내뿜고 있다. [[분류:유희왕/OCG/카드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