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일본의 검호 사사키 코지로의 기술, rd1=츠바메가에시)] [include(틀:포켓몬 기술, 비행=, 물리=, 파일= 제비반환 1.png, 파일2= 제비반환 2.png, 한칭= 제비반환, 일칭= つばめがえし, 영칭= Aerial Ace, 위력=60, 명중=-, PP=20, 효과=재빠른 움직임으로 상대를 농락해 벤다. 공격은 반드시 명중한다., 변경점=9세대: 성질 베기 추가, 성능=필중, 성질=베기, 성질2=접촉)] [[포켓몬스터]]의 [[포켓몬스터/기술|기술]]. 3~7세대 [[기술머신]] 40번, 9세대 [[기술머신/9세대|기술머신]] 27번. 기술 이름은 [[사사키 코지로]]의 검 초식 "[[츠바메가에시]]"의 [[직역]]. [[스왈로]]의 상징격 기술. Z기술과 다이맥스 기술을 제외하면 '''무효로 받는 것이 불가능한 몇 안되는 필중기 중 하나.'''[* 또 다른 필중기는 [[속여때리기]]와 굴레를 벗어난 [[후파]]의 전용기 [[다른차원러시]](단, 굴레를 벗어난 후파 이외의 사용자가 시전하면 반드시 실패한다.). [[스피드스타]], [[받아던지기]], [[파동탄]], [[마지막수단]]은 고스트에 막히고, [[섀도펀치]]는 노말, [[다른차원홀]]은 악, [[클리어스모그]]는 강철, [[매지컬리프]]와 [[트릭플라워]]는 초식에 막히는 데다가, [[전격파]]는 땅 타입은 물론이고 축전과 피뢰침과 전기엔진에 막힌다. 그리고 [[마그넷봄]]은 방탄에 막히고, [[스마트혼]]과 [[차밍보이스]]는 [[껍질몬]]에 막힌다. 8세대에서 속여때리기와 다른차원러시가 없어졌으나, [[오롱털]]의 전용기 [[사죄의찌르기]]가 나왔고 9세대에서 [[대도각참]]의 전용기 [[도각참]]이 나왔다. 위의 예시 중 매지컬리프, 트릭플라워, 마그넷봄, 스마트혼과 차밍보이스의 경우엔 [[틀깨기]] 특성이 있으면 뚫린다.] 비행 타입 물리기 위력 60에 반드시 명중하는 '''필중기.''' PP도 20으로 넉넉하다. 필중이라는 메리트가 있긴 하지만, 필중기 자체가 회피율을 높일 수 있는 포켓몬을 상대할 때 말곤 딱히 의미가 없기 때문에[* 상대가 회피율을 높이는 전법을 사용할 경우엔 필중기를 쓰기보다 [[울부짖기]], [[날려버리기]], [[드래곤테일]], [[배대뒤치기]]와 같은 강제 교체기 혹은 [[하품(포켓몬스터)|하품]], [[멸망의노래]], [[저주(포켓몬스터)|저주]]처럼 교체를 유도하는 기술을 사용하는 게 더 효과적이기도 하다. 게다가 저 기술들도 필중인 데다가 결정적으로는 대타출동까지 뚫어 버린다.] 기술 성능 자체는 [[회전부리]]나 [[브레이브버드]]보다 못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앞의 두 기술에 비해 배울 수 있는 포켓몬의 폭이 엄청나게 넓다. 베기 계열 공격이므로 비행 타입이 아니라도 기술머신을 통해 배울 수 있는 포켓몬이 아주 많다. 첫 등장한 3세대에서는 기술머신으로 배울 수 있는 포켓몬이 상당한 거의 유일한 비행 타입 기술이기도 했다. 덕분에 [[헤라크로스]]나 [[버섯모]]처럼 비행 4배인 포켓몬을 저격하는 용도로 종종 채용되었었다. 또한 위력이 딱 60으로, 테크니션의 영향을 받는다. [[스라크]]의 경우 테크니션에 자속 보정까지 받아 위력이 꽤 쏠쏠한 편. 5세대까지는 자주 보이는 기술이었으나, 6세대에서 '''[[파이어로]]'''의 등장으로 풀, 격투, 벌레가 대부분 사라지면서 채용하나 마나가 되어버렸다. 7세대에서 [[파이어로]]의 질풍날개가 하향되어 다시 채용할 만해졌다지만, 필중기의 한계인 위력 부족은 여전하므로 테크니션 특성을 받는 포켓몬이 아니면 잘 채용하지 않는다. 6세대부터 메가보만다가 [[용의춤]] 한 번으로도 5만 이상의 핵딜을 꽂게 되면서 비행 타입 물리기의 기준을 만들어 놨는데, 제비반환으로 이 정도 딜을 내려면 명랑 테크니션 A252 [[스라크]]가 생구 들고 [[칼춤(포켓몬스터)|칼춤]]까지 쌓아야 한다. 이것과 7세대 신기술인 [[스마트혼]]의 위력이 [[파동탄]]의 각각 비행, 강철 타입 바리에이션격 기술로서 위력 80이었다면 좀 쓸 만했을 텐데, 이런 점에서 여러모로 아쉬움이 남는다. 대신 위력이 딱 60이라, 테크니션 보정을 받을 수 있으니 일장일단.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에서도 효과는 동일하다. 하지만 이상한 던전 시리즈는 명중률이 생사를 가를 정도로 중요하기 때문에 오히려 본가보다 취급이 좋다. 단점은 다른 기술보다 PP가 적다는 것뿐.[* PP가 고작 '''6'''밖에 안 된다. 이는 [[기합구슬]]과 동급.] 그나마 초불가사의 던전에서는 기본 PP가 13으로 늘어나고 기술 성장 시스템과 기술 도핑약으로 위력과 PP를 보강할 수 있다. 전방의 적 하나만 공격할 수 있는 게 단점이지만, 이건 10칸 관통 직선기인 [[불새(포켓몬스터)|불새]]와 [[에어로블라스트]], [[데스윙(포켓몬스터)|데스윙]]과 전방 3×3칸 범위공격인 [[화룡점정(포켓몬스터)|화룡점정]]을 뺀 비행 기술의 공통점이니 그러려니 하자. 8세대에서는 기술머신에서 제외되었다. 아무래도 다양한 포켓몬이 배울 수 있는 비행 타입 기술이기 때문에 다양한 포켓몬들이 다이제트로 스피드를 올리려는 전략을 차단하려는 의도로 추정되며, 이로 인해 제비반환을 통해 견제폭을 넓힐 수 있는 일부 포켓몬들이 피해를 받게 되었다. 실제로도 해당 기술이 밸런스 파괴 기술 다이제트로 변하면서 우라오스 등 해당 기술을 배울 수 있는 여러 포켓몬에게 채용되기도 했다. 9세대에서 신규 특성 예리함의 보정을 받는 베기 기술로 분류되었는데, 덕분에 예리함 특성 보유자들은 테크니션 보정을 받듯이 괜찮은 위력으로 쓸 수 있다. [[포켓몬 GO]]에서는 위력 55의 3차징 기술로 등장하며, 배틀 리그에서는 여기에 에너지 요구량이 40인 기술로 등장한다. 긴 시전 시간 탓에 레이드에서의 성능은 형편없으며, 배틀 리그에서도 기존에는 요구 에너지가 45였기 때문에 신규 포켓몬들의 성능 구속구가 아니냐는 말이 나올 정도로[* 대표적으로 [[버랜지나]], [[루차불]]이 있다. 둘 모두 초창기에는 당시 기준으로 훨씬 좋았던 불새를 가지고 있었으나, 구현 직전에 배울 수 있었던 기술 목록의 불새가 제비반환으로 변경되었다.] 안 좋은 평가를 받던 기술이었으나, 2023년 9월 배틀 리그 내 요구 에너지가 40으로 조정되어 비행타입 웨폰으로서의 역할을 그럭저럭 수행할 수 있는 수준이 되었다. 때마침 불새가 너프되어 완전히 몰락했기에 회전부리와 더불어 범용적인 비행타입 중위력 차징기의 명맥을 이어가게 되었다. 애니메이션에선 [[포켓몬스터 AG]]에서 처음 등장했을 때만 해도 원작과 마찬가지로 '피할 수 없는 기술'이었고 지우의 스왈로도 이걸 힘겹게 배우고 많은 활약을 했었으나, 시리즈를 거치면서 점점 개나 소나 다 배우고, 피하고 막아내는 기술이 돼버린다. 특히 지우의 [[찌르호크]]... 그래도 베스트위시 시즌 2의 하나리그 때 지우의 [[악비아르(한지우)|악비아르]]가 비장의 기술로 이걸 사용해 케니언의 [[타격귀]]를 쓰러뜨리며 8강 진출에 큰 공헌을 했다. 이후 XY에서는 [[개굴닌자(한지우)|지우의 개굴닌자]]가 주력으로 사용, 비록 패배했어도 '''이 기술로 작중 최강에 속하는 알랭의 메가리자몽X에게 유효타를 냈다.'''[* 정작 본가 게임에서 개굴닌자는 이 기술을 기술머신으로 배우는데, 어떻게 진화하면서 자력으로 배웠는지는 의문이다.] [[개굴닌자]]가 유대진화를 하게 되면서 다른 기술이 그랬듯 연출이 상당히 강화되었는데, 무슨 [[인파이트]] 날리듯이 막 난사한다. 한 번 쓰기 시작하면 4~6연타는 기본이요, 우르프전 메가눈설왕을 쓰러뜨릴 때는 약 15연타를 날리기도 한다.[* 물론 메가눈설왕이나 [[크레베이스]]가 몸집이 커서 많이 때렸던 것일 수도 있다.] 여담으로 유대진화 특성상 트레이너와 동작을 공유하는데, 이때 지우의 유연성이 압권.[* 거의 160도 가까이 '''찢어지다시피''' 발차기를 한다.] [[분류:포켓몬스터/비행타입 기술]][[분류:포켓몬스터/물리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