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댈러스 카우보이스/선수단)] ---- ||
'''{{{#002244 제리 존스의 수상 이력 /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3>
[[슈퍼볼|[[파일:슈퍼볼 로고.svg|width=100]]]] || || '''{{{#002244 XXVII}}}''' || '''{{{#002244 XXVIII}}}''' || '''{{{#002244 XXX}}}''' || ---- ||<-5><:> '''{{{#002244 댈러스 카우보이스 역대 구단주}}}''' || ||<:>범 브라이트[BR](1984~1988) ||<:> {{{+1 →}}} ||<:> '''{{{#fff 제리 존스}}}'''[BR]'''{{{#fff (1989~현재)}}}''' ||<:> {{{+1 →}}} ||<:>현임 || ---- ||<-5><:> '''{{{#002244 댈러스 카우보이스 역대 사장}}}''' || ||<:>텍스 슈람[BR](1960~1988) ||<:> {{{+1 →}}} ||<:> '''{{{#fff 제리 존스}}}'''[BR]'''{{{#fff (1989~현재)}}}''' ||<:> {{{+1 →}}} ||<:>현임 || ---- ||<-5><:> '''{{{#002244 댈러스 카우보이스 역대 단장}}}''' || ||<:>텍스 슈람[BR](1960~1988) ||<:> {{{+1 →}}} ||<:> '''{{{#fff 제리 존스}}}'''[BR]'''{{{#fff (1989~현재)}}}''' ||<:> {{{+1 →}}} ||<:>현임 || ---- ||<-2>
[[명예의 전당#s-3.1.2|[[파일:Pro Football Hall of Fame logo.png|width=30]]]] [br] '''[[명예의 전당#s-3.1.2|{{{#ffffff 미식축구 명예의 전당}}}]] {{{#ffffff 헌액자}}}''' || ||<-2> '''[[https://www.profootballhof.com/players/jerry-jones|제리 존스]]''' || || '''헌액 연도''' || [[2017년]]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9c02b2238d20d3c098b78bb-750-562.jpg|width=100%]]}}} || ||<-2> '''댈러스 카우보이스 구단주''' || ||<-2> '''{{{+2 제럴 웨인 존스}}}[br]Jerral Wayne Jones''' || ||<|2> '''출생''' ||[[1942년]] [[10월 13일]] ([age(1942-10-13)]세) ||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아칸소 대학교]] || || '''배우자''' ||유지니아 존스^^(1963년 결혼 ~ 현재)^^ || || '''자녀''' ||장남 스티븐 존스^^(1964년생)^^ [br] 장녀 샬롯 존스^^(1966년생)^^ [br] 차남 제리 존스 주니어^^(1969년생)^^ || || '''경력''' ||'''[[댈러스 카우보이스]] (1989~ / ^^구단주·사장·단장^^)''' || || '''순자산''' ||'''127억 달러 (한화 약 16조 8,000억 원)'''[* 2022년 5월 [[포브스]] 기준.]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기업인]]이자 '미국의 팀(America's Team)' [[댈러스 카우보이스]]의 구단주. 동시에 사장 겸 단장도 맡고 있어 사실상 카우보이스의 총 책임자이다. == 생애 == === 초년기 === 제리 존스는 LA에서 태어났으나 태어난지 얼마 안 되어 가족이 [[아칸소]] 주 노스 리틀락으로 이주하였다. 제리의 아버지 팻 존스는 '팻의 슈퍼마켓'의 2개 지점의 소유주였다. 제리는 고등학교 때, 노스 리틀락 고등학교에서 [[러닝백]]으로 뛰었다. 그가 고교를 졸업할 때 쯤, 그간 그의 집 사업은 빠르게 번창하여 그의 아버지 팻은 [[미주리]] 주 스프링필드로 이사했다. 팻은 이미 여기 있는 모던 시큐리티 라이프 인슈런스 회사의 회장이었다. 제리가 [[아칸소 대학교]]를 졸업할 때가 되어서는, 아버지의 회사는 밀리언 달러급의 회사가 되었고 제리는 이 회사의 부회장이 된다.[* 참고로 제리는 1971년 이 보험회사를 팔고 그 돈으로 미주리에 큰 땅을 사서 이국적인 동물 체험장 '부에나 비스타 동물 천국'을 열었다. 이는 현재까지도 사파리로 운영되고 있다.] === [[댈러스 카우보이스]]의 구단주가 되다 === 대학을 졸업한 제리는 1966년 [[NFL]] 팀 [[로스앤젤레스 차저스|샌디에이고 차저스]]를 인수하려 했으나 아버지의 반대로 무산되고 말았다. 1970년 [[오클라호마]] 주에서 석유 탐사 사업에 나섰던 제리는 여기서 대박을 치게된다. 이후 1989년 제리는 당시 [[댈러스 카우보이스]] 소유주 범 브라이트(Harvey Bright)로부터 140mil$에 팀을 인수하는데 성공한다. 카우보이스를 인수한 제리 존스는 먼저 장기 집권 중이던 톰 랜드리 (Tom Landry)[* 카우보이스를 슈퍼볼 VI와 슈퍼볼 XII에서 정상에 올려놓고 1960년부터 29년간 카우보이스의 감독으로 장기 집권했었다. 2000년 작고.]를 해고했다. 그리고 자신의 오랜 친구인 지미 존슨 (Jimmy Johnson)을 감독으로 앉혔다. 얼마 뒤에는 카우보이스 단장으로 오랜 기간 부임해왔던 텍스 슈람 (Tex Schramm)까지도 해고해버렸다. 그렇게 팀을 완전히 장악한 제리 존스 체제는 야심차게 1990 시즌을 시작했으나 정작 결과는 1승15패로 매우 처참했다. 전미의 언론들이 당시 감독으로서 통산 270승을 올려 역대 최다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던 유능한 감독 톰 랜드리를 이유 없이 자른 데에 대해서 맹렬한 비난을 퍼부었다. 이에 절치부심한 제리 존스와 지미 존슨은 팀을 다시 조각하는데 힘 썼고, 그 일환으로 팀의 간판 러닝백인 허셸 워커[* 47세에 [[Strikeforce|스트라이크포스]]에 도전한 그 태권도 배운 사람 맞다. [[조지아 대학교]] 출신으로 1982년에 하이스먼 트로피를 수상했으며 조지아 대학교 역사상 두번째이자 2022년 12월 현재까지도 마지막 수상자다.]와 신인 지명권 여러 장을 묶어서 [[미네소타 바이킹스]]에 팔아넘기고, 그 대가로 선수 5명과 지명권 8장을 받아오는 초대형 트레이드를 성사시켰다[* 당시 카우보이스 팬들의 반응은 "너네들 돌았냐?"였다. 그도 그럴 것이 당시 허셸 워커는 카우보이스의 간판 러닝백으로 활약하던 중이었기 때문에 팀의 중추가 되는 선수를 트레이드 시켜버린 카우보이스에게 비난을 쏟아냈다.]. 그렇게 받아온 지명권 8장으로 1989년 드래프트에서 가드 스티브 비시노프스키, 센터 마크 스텝노스키, 풀백 대릴 존스턴 등 팀의 중추가 된 선수들을 모두 뽑아냈고[* 사실 제리 존스의 진가는 바로 여기서 발현됐다. 바로 오펜시브 라인(O-LINE) 강화. 아무리 유능한 쿼터백을 뽑아도 0-LINE이 뒷받침되어주지 못 하면 쿼터백은 제 기량을 펼치기 어렵다.], 1990년 1라운드 지명권으로 팀의 레전드 [[에밋 스미스]]를 얻었으며 세이프티 대런 우드슨도 2라운드 지명권으로 얻었다. 이렇게 대형 트레이드로 팀을 갈아엎은 지미 존슨은 전설적인 3인방 쿼터백 [[트로이 에이크먼]][* 1989년 꼴찌를 한 대가로 얻은 드래프트 전체 1위로 지명], 러닝백 [[에밋 스미스]], 와이드 리시버 [[마이클 어빈]][* 1988년 드래프트 1라운드 11순위]을 카우보이스로 끌어들여 이들을 중심으로 팀을 재편해 제리 존스가 구단주에 취임한 지 4년 만에 1993년 [[슈퍼볼]] XXVII^^(27회)^^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이듬해인 슈퍼볼 XXVIII^^(28회)^^에서도 [[버펄로 빌스]]를 누름으로써 2년 연속 슈퍼볼을 차지했다.[* 카우보이스에게 2년 연속 우승을 내준 빌스와 [[짐 켈리(미식축구 선수)|짐 켈리]]는 미국 스포츠 역사에서 비교를 불허하는 4년 연속 슈퍼볼에 올라 준우승을 차지하는 주인공이 됐다.] 하지만 그러면서 지미 존슨의 인기가 너무 높아지자 제리 존스는 그를 쳐내고 만다. 그리고 1994년 3번째 감독으로 대학에서 감독을 하던 배리 스위처 (Barry Switzer)를 카우보이스 감독으로 임명했다. 스위처가 감독으로 있는 동안에도 카우보이스는 승승장구했는데, 1995년에는 NFC 챔피언십 게임에서 [[스티브 영]]이 이끄는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에게 패하면서 슈퍼볼 진출권을 내줬지만, 1996년 슈퍼볼에서 [[피츠버그 스틸러스]]를 물리치고 슈퍼볼을 차지함으로써 명가의 부활과 더불어 다시 한 번 "미국의 팀"으로 거듭났다. 하지만 이것을 마지막으로 카우보이스는 슈퍼볼 진출을 다시 맛보지 못하고 있다. 우승 갈증이 길어지고 있지만, 뛰어난 비즈니스 수완으로 카우보이스를 세계 최고의 스포츠 구단으로 이끌고 있으며, 2017년 그간 미식축구에 공헌한 것을 인정받아 미식축구 [[명예의 전당#s-3.1.2|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 여담 == * 자녀로는 스티븐 존스, 샬롯 존스, 제리 존스 주니어가 있으며 장남 스티븐 존스는 최고 운영 책임자 직을, 딸 샬롯 존스는 구단 부사장 직을 맡고 있으며 막내 아들 제리 존스 주니어는 세일즈 마케팅 책임자로 일하고 있다. * 욕먹는 정도에 비해 선수 보는 눈이 좋다. * 고등학생 시절 리틀록 고교에 흑인 학생들의 등교를 막는 시위에 참여했다. 2022년, 이에 대해 사과했다. == 관련 문서 == * [[미식축구 관련 인물#s-3.2|미식축구 관련 인물]] == 둘러보기 == [include(틀:댈러스 카우보이스)] [[분류:미국의 남성 기업인]][[분류:1942년 출생]][[분류:로스앤젤레스 출신 인물]][[분류:댈러스 카우보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