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애틀랜타 브레이브스/로스터)] ||
'''{{{#fff 제러드 켈닉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뉴욕 메츠 1라운드 지명선수)] ---- ||
'''{{{#fff 제러드 켈닉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C4CED4 [[시애틀 매리너스|{{{#C4CED4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10번}}}''' || || [[팀 롭스]][br](2019~2020) || {{{+1 →}}} || '''제러드 켈닉[br](2021~2023)''' || {{{+1 →}}} || 결번 || ||<-5> '''{{{#FFF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FFFFFF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24번}}}''' || || [[브레이든 슈메이크]][br](2023) || {{{+1 →}}} || '''제러드 켈닉[br](2024~)''' || {{{+1 →}}} || 현역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elenicatl.jpg|width=100%]]}}} || ||<-2>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No.24''' || ||<-2> '''{{{+2 제러드 켈닉}}}[* 보통 표기를 따라 '켈레닉'이라고 쓰는 곳도 많지만 [[베이스볼 레퍼런스]]의 발음 표기를 보면 /KELL-nick/이라고 되어있다.][br]Jarred Kelenic''' || || '''본명''' ||제러드 로버트 켈닉[br]Jarred Robert Kelenic || ||<|2> '''출생''' ||[[1999년]] [[7월 16일]] ([age(1999-07-16)]세) || ||[[위스콘신|위스콘신 주]] [[밀워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와우케샤 고등학교 || || '''신체''' ||185cm / 86kg || || '''포지션''' ||[[외야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2018 MLB 신인드래프트|2018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6번, [[뉴욕 메츠|NYM]]) || || '''소속팀''' ||[[시애틀 매리너스]] (2021~2023)[br][[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24~) || || '''계약''' ||1yr / $729,400 || || '''연봉''' ||2023 / $729,400 || || '''등장곡''' ||BigXthaPlug - Levels || ||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arredkelenic, 크기=25)] | [[https://www.instagram.com/jarredkelenic/|[[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소속 [[외야수]]. == 선수 경력 == 고교 시절 미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으로 두 번이나 발탁되었고 2019년 리마 팬아메리칸 게임 금메달과 함께 MVP를 차지하며 주목을 받게 되었다. 졸업 후 드래프트 야수 최대어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 [[2018 MLB 신인드래프트|2018년 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전체 6번으로 [[뉴욕 메츠]]에 지명되었고, [[루이빌 대학교]] 진학을 포기하고 계약금 450만 달러를 받으며 입단한다. 입단하자마자 18세의 나이로 루키리그를 폭격하며 팀 내 유망주 순위 2위까지 오르게 된다. 그러던 2018년 12월 3일, '''[[시애틀 매리너스]]과의 초대형 트레이드'''에 포함된다. 시애틀이 주전 2루수 [[로빈슨 카노]][* 대형 계약을 맺은 팀의 중심선수였으나 약물에 적발되며 빛이 바랜 상황이었다. 시애틀로서는 연봉 절감의 성격도 강한 트레이드다.]와 마무리 [[에드윈 디아즈]][* 그해 57세이브로 마리아노 리베라상을 수상한 특급 마무리였다.]를 메츠로 보내면서 [[제이 브루스]]와 [[앤서니 스와잭]] 그리고 켈닉, [[저스틴 던]], 거슨 바티스타 등의 유망주 패키지를 받은 것으로, 이미 시애틀의 메인 칩은 켈닉이라는 평가가 있었다. === [[시애틀 매리너스]] === 이적 후 2019년에도 여전히 좋은 모습을 보이면서 1년 만에 AA까지 밟았다. 2020년은 코로나로 인한 마이너리그 폐쇄로 쉬었다. 2021 유망주 Top 100에서 MLB.com 4위, 베이스볼 아메리카 4위에 올랐다. 비슷한 수준의 역대 탑망주들의 성적은 [[메이저 리그 유망주 순위]]를 참조. 2021년 2월 25일 MLB.com에서 패널 5명이 25살 미만 최고의 선수 25인을 뽑았는데[[https://www.mlb.com/news/mlb-best-players-under-25|#]] 켈닉은 11위에 올랐다. 다만 대부분의 상위 선수들보다 켈닉이 어리다는 게 특징. 참고로 2013년에 키스 로가 뽑았던 [[https://blog.naver.com/s_f_a_r/10156558005|동일한 버전]]과 비교하며, 그들이 어떻게 성장할지 즐거운 상상을 펼쳐 보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21 MLB.com 버전 |||||| 2013 키스 로 버전 || || '''순위''' || '''이름''' || '''나이''' || '''이름''' || '''당시 나이''' || '''2020 시즌까지의 수상 기록''' || || 1위 || [[후안 소토]] || 22살 || [[마이크 트라웃]] || 21살 || MVP 3회, 올스타 8회, 신인왕, 실버 실러거 8회 || || 2위 || [[페르난도 타티스 주니어]] || 22살 || [[브라이스 하퍼]] || 20살 || MVP 1회, 올스타 6회, 신인왕, 실버 실러거 1회 || || 3위 ||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 || 23살 || [[제이슨 헤이워드]] || 23살 || 올스타 1회, 신인왕 2위, 골드 글러브 5회 || || 4위 || [[완더 프랑코]] || 20살 || [[지안카를로 스탠튼]] || 23살 || MVP 1회, 올스타 4회, 실버 실러거 2회 || || 5위 || [[루이스 로버트]] || 23살 || [[스티븐 스트라스버그]] || 24살 || 올스타 3회, 실버 실러거 1회 || || 6위 ||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 || 22살 || [[클레이튼 커쇼]] || 24살 || MVP 1회, 사이영 3회, 올스타 8회, 골드 글러브 1회 || || 7위 || [[라파엘 데버스]] || 24살 || [[매니 마차도]] || 20살 || 올스타 4회, 실버 슬러거 1회, 골드 글러브 2회 || || 8위 || [[엘로이 히메네스]] || 24살 || [[스탈린 카스트로]] || 22살 || 올스타 4회, 신인왕 5위 || || 9위 || [[애들리 러치맨]] || 23살 || [[매디슨 범가너]] || 23살 || 올스타 4회, 실버 슬러거 2회 || || 10위 || [[스펜서 토켈슨]] || 21살 || [[엘비스 앤드루스]] || 24살 || 올스타 2회, 신인왕 2위 || || 11위 || '''제러드 켈닉''' || 21살 || [[브렛 로리]] || 22살 || - || || 12위 || [[훌리오 로드리게스]] || 20살 || [[살바도르 페레즈]] || 22살 || 올스타 6회, 실버 슬러거 3회, 골드 글러브 3회 || || 13위 || [[식스토 산체스]] || 22살 || [[아롤디스 채프먼]] || 24살 || 올스타 6회 || || 14위 || [[요르단 알바레즈]] || 24살 || [[맷 무어]] || 23살 || 올스타 1회 || || 15위 || [[키브라이언 헤이스]] || 24살 || [[https://www.baseball-reference.com/players/p/parkeja02.shtml|제로드 파커]] || 24살 || 신인왕 5위 || || 16위 || [[글레이버 토레스]] || 24살 || [[크리스 세일]] || 23살 || 올스타 7회 || || 17위 || [[아지 알비스]] || 24살 || [[맷 하비]] || 23살 || 올스타 1회 || || 18위 || [[마이크 소로카]] || 23살 || [[앤서니 리조]] || 23살 || 올스타 3회, 실버 슬러거 1회, 골드 글러브 4회 || || 19위 || [[바비 위트 주니어]] || 21살 || [[프레디 프리먼]] || 23살 || MVP 1회, 올스타 4회, 실버 슬러거 2회, 골드 글러브 1회 || || 20위 || [[딜런 칼슨]] || 22살 || [[야스마니 그랜달]] || 24살 || 올스타 2회 || || 21위 || [[앤드류 본]] || 23살 || [[안드렐톤 시몬스]] || 23살 || 골드 글러브 4회 || || 22위 || [[맥켄지 고어]] || 22살 || [[https://www.baseball-reference.com/players/m/middlwi01.shtml|윌 미들브룩스]] || 24살 || - || || 23위 || [[크리스티안 파체]] || 22살 || [[크레이그 킴브럴]] || 24살 || 올스타 7회, 신인왕 || || 24위 || [[보 비솃]] || 23살 || [[에릭 호스머]] || 23살 || 올스타 1회, 신인왕 3위, 실버 슬러거 1회, 골드 글러브 4회 || || 25위 || [[C.J. 에이브럼스]] || 20살 || [[크리스 틸먼]] || 24살 || 올스타 1회 || }}} ==== 2021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빌리브켈닉.jpg|width=100%]]}}} || AAA에서 OPS 1.0을 넘기는 폭격을 했고, 결국 5월 13일 메이저리그에 데뷔했다. 그러나 92타석 .096이라는 타율을 찍는 등 심각한 부진 끝에 도로 마이너행. 약 한 달 뒤 다시 돌아온 뒤로는 2할을 살짝 넘는 개선된 타격을 하며 잔여시즌을 마저 소화했다. 시즌 최종 성적은 377타석 .181 .265 .350 OPS .615 14홈런 43타점 6도루, WAR -1.8로 참담했다. 장타력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나 배트에 공을 제대로 맞추지 못한다면 메이저리그 레벨의 타격은 불가능할 것이다. 또한 6도루 4실패는 켈닉의 주루 능력이 메이저에서 통할까 하는 의구심이 생길 수도 있다. ==== 2022 시즌 ==== 메이저에서 부진 - 마이너 내리니 활약 - 다시 올려보니 부진 - 다시 마이너를 반복하고 있다. 마이너 시절에 자신과 함께 탑망주로 주목받았던 [[훌리오 로드리게스]]가 신인왕 1순위로 활약하고 있기에 더욱 비교되는 상황. 시즌 막바지에 [[제시 윈커]]와 [[샘 해거티]]가 부상을 당하며 좌익수로 기용되었는데 잘하고 있다. 9~10월 29경기 7홈런 OPS 0.854. 기세를 몰아 포스트시즌 로스터에도 들었는데 다시 1할대의 한심한 타격으로 돌아왔다. 특히 18회말까지 진행된 [[2022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 3차전에서 끝까지 기용되며 7타수 무안타 4삼진을 당했다. 결국 또 음수대의 WAR을 찍으며 유망주 시절의 명성 값을 못하고 말았다. ==== 2023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Kelenic.jpg|width=100%]]}}} || 시범경기에서 활약을 하더니 정규시즌 초반에 정말 최고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4월 11, 12, 13, 15일 4경기 연속 홈런을 쳤고, wRC+ 210으로 리그 전체 1위에 오르기도 하였다. 4월 17일 콜로라도와의 경기에서는 6회 1-0 승리를 이끄는 적시타를 기록했고 8회에 실점을 막아내는 수비를 기록했다. 10경기 연속 안타를 기록 중이다. 4월 최종 성적은 .308/.366/.615 OPS 0.982 7홈런 14타점으로 시애틀의 공격을 진두지휘했고[* 마침 켈닉과 자주 비교됐던 전 해의 신인왕 수상자 [[훌리오 로드리게스]]가 부진하면서 더욱 켈닉의 활약이 부각되었다.] 하위 타순에서 시작해 이젠 3번 타자로 고정되고 있다. 팀 선배 [[더스틴 애클리]]의 전철을 밟나 싶었지만 같은 길을 가기를 온 몸으로 거부하는 중이다. 그러나 서서히 폼이 떨어지더니 6월 성적은 다시 전처럼 1할대 타율에 허덕이고 있다. 초반에 쌓아놨던 스탯도 까먹고 있는 중. 7월 19일, 미네소타와의 홈 경기에서 9회말 무사 1,2루 찬스에서 삼진을 당한 뒤 분풀이로 물통을 걷어찼는데, 왼발 골절상을 입었다. 다행히 수술까진 하지 않아도 되지만 뼈가 부러져서 시즌 아웃이 유력하다는 보도가 나왔다. 다음 날 경기 전 덕아웃에서 진행한 인터뷰에서 "끔찍한 기분이다. 팀 동료들에게 미안하다. 나는 감정에 휘둘렸고, 모두를 실망시켰다. 모두 내 책임이다. 하지 말아야 할 일이었다."라면 눈물을 흘렸다. 그런데 무서운 회복력을 발휘하면서 9월 11일 돌아왔다. 팀이 치열한 지구우승 대결을 벌이는 시기이고, 그동안 켈닉의 공백을 메워주던 외야수 [[케이드 말로우]]가 마침 폼이 떨어지던 찰나였기에 팬들은 그의 복귀를 반기는 반응. 복귀 후 선구안과 똑딱질로 3할7푼대 출루율을 기록했지만 홈런 0개 2루타 1개에 그치며 장타력이 실종된 점은 아쉬웠다. 시즌 최종 성적은 105경기 416타석 .253/.327/.419 OPS 0.746 wRC+ 108 11홈런 13도루 fWAR 1.3 bWAR 2.0으로 나름 데뷔 후 최고의 성적을 올렸다. 다만 초반의 엄청난 기세를 이어가지 못한 채 후반기 부진했고 유망주 시절 기대한 모습이 아직은 나왔다고 보기 힘들기 때문에, 그에 대한 평가는 다음 시즌으로 또 미뤄지게 되었다. 그래도 '망한 유망주'란 꼬리표는 떼어내기 충분했던 시즌.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2023년 12월 3일, 애틀랜타로 트레이드되었다. 애틀랜타는 켈닉, [[마르코 곤잘레스]], [[에반 화이트]]를 받고, 시애틀은 [[잭슨 코와]], 콜 필립스[* [[애틀란타 브레이브스]] 2022년 드래프트 2라운더]를 받았다. 시애틀로서는 먹튀 곤잘레스, 화이트의 잔여 연봉[* 곤잘레스(1200만) + 화이트(700만/내년 800만/내후년 바이아웃 200만) - 현금 보조 450만 = 2450만]을 덜어내려고 아직 긁어볼만한 켈닉을 함께 넘기는 연봉 덤핑이며, 애틀랜타로서는 오로지 켈닉을 데려오기 위해 거액의 잔여연봉을 먹어주는 셈이다. ==== 2024 시즌 ==== 알렉스 앤소폴로스 단장은 좌익수 포지션에서 [[본 그리솜]]과 켈닉을 플래툰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으나, [[크리스 세일]] 트레이드로 [[본 그리솜]]이 떠나 풀타임 주전 좌익수 출전이 예상된다. 3월 15일 기준 스프링캠프에서 34타수 3안타의 부진을 겪고 있다. 이로 인해 4번째 외야수로 [[애덤 듀발]]이 팀에 합류하였고 풀타임이 아닌 우완상대 플래툰 좌익수로 시즌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3월 30일, 31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개막시리즈에서 연속 안타를 때려내며 기대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4월 15일 기준, 32타수 12안타 3타점 .414/.469/.517 OPS.986 [[wRC+]]170으로 공수 양면에 있어서 팀의 복덩이같은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AA 당신은 대체..)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켈레닉 타격.gif|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켈레닉 수비.gif|width=100%]]}}} || '''Scouting grades(2021): Hit: 60 | Power: 55 | Run: 60 | Arm: 60 | Field: 55 | Overall: 60''' 전형적인 [[5툴 플레이어]]. 좋은 컨택 능력에 30홈런 이상을 기록할 수 있는 장타력, 60야드 대시를 6.57초만에 달리는 플러스급 주력, 우익수로도 손색없는 강한 어깨와 평균 이상의 수비 범위를 보유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메이저에만 올라오면 그 좋은 툴들을 발현시키지 못하고 부진하면서 AAAA형 타자로 전락하는게 아니냐는 우려도 한동안 있었는데, 2023년에 다소간의 희망을 보여준 상태다. 경기 외적으로 [[워크에씩]]과 메이크업도 호평을 받는다.[* 한 기사에서는 "켈닉은 부진해도 엄청 열심히 훈련하기 때문에 아무도 그를 욕하지 않는다" 는 언급이 나온 적이 있다.] 다만 찬스를 못살린 자신에 대한 화를 못참다 부상을 당한 일화로 미루어 볼때 너무 예민하게 잘하려는 성격 때문에 부진한게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 연도별 성적 == ||<-20>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제러드 켈닉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wRC+ || fWAR || bWAR || || 2021 ||<|3> [[시애틀 매리너스|SEA]] || 93 || 377 || 61 || 13 || 1 || 14 || 41 || 43 || 6 || 36 || 106 || .181 || .265 || .350 || .615 || 73 || -0.5 || -1.8 || || 2022 || 54 || 181 || 23 || 5 || 1 || 7 || 20 || 17 || 5 || 16 || 61 || .141 || .221 || .313 || .534 || 55 || -0.1 || -0.2 || || 2023 || 105 || 416 || 94 || 25 || 2 || 11 || 44 || 49 || 13 || 41 || 132 || .253 || .327 || .419 || .746 || 108 || 1.3 || 2.0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3시즌) || 252 || 974 || 178 || 43 || 4 || 32 || 105 || 109 || 24 || 93 || 299 || .204 || .283 || .373 || .656 || 85 || 0.7 || 0.0 || == 여담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9년 출생]][[분류:2021년 데뷔]][[분류:밀워키 출신 인물]][[분류:외야수]][[분류:좌투좌타]][[분류:시애틀 매리너스/은퇴, 이적]][[분류:애틀랜타 브레이브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