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OCG]]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데몬(유희왕), top2=체스 데몬)] [목차] == 설명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469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제노사이드킹 데몬, 일어판명칭=ジェノサイドキングデーモン, 영어판명칭=Terrorking Archfiend, 몬스터=, 효과=, 레벨=4,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2000, 수비력=1500, 효과1=자신 필드 위에 "데몬"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카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이 카드는 일반 소환/반전 소환할 수 없다. 이 카드의 컨트롤러는 자신의 스텐바이 페이즈마다 800 라이프 포인트를 지불한다. 이 카드가 상대가 컨트롤하는 카드의 효과의 대상이 되어\, 그 처리를 실행할 때 주사위를 1회 던진다. 2\, 5가 나온 경우\, 그 효과를 무효로 하여 파괴한다.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한 효과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 [[체스 데몬]] 공통의 유지 코스트, [[주사위]]를 굴리는 [[지속효과]], 특정 조건에서밖에 일반 소환 / 반전 소환할 수 없는 소환 조건, 자신이 전투로 파괴한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하는 [[지속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잉여롭기 짝이없는 체스 데몬 덱의 주력. 그러나 소환조건이 생각보다 빡세서 쓰기 어렵다. 다른 데몬이 있어야 일반 소환할 수 있기 때문에, 하급이지만 제한적 상급 몬스터로 생각하는게 편하다. 그래도 정작 특수 소환에는 제한이 없기 때문에 수많은 방법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데 [[소환승 서몬 프리스트]], [[선봉 대장]], [[헬웨이 패트롤]]의 힘을 빌어 특수 소환하는 방법도 있다. 또한 레벨 4 데몬과 [[데몬팰리스-악마의 미궁-]]으로 소환할 수도 있다. [[종말의 기사]], [[다크 그레퍼]]로 덱에서 버린 후 [[명계의 괴뢰술]]의 코스트로 이들을 제외한 뒤 소환하거나 [[죽은 자의 소생]], [[셔플 리본]],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 등으로 소생할 수도 있다. [[데몬 이터(유희왕)|데몬 이터]]로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데몬으로 치환하여 다음 턴에 소환하는 것도 가능. [[엄브럴|엄브럴 고스트]], [[레드 레조네이터]]랑 궁합이 좋다. 패에 잡혀도 엄브럴 고스트, 레드 레조네이터가 있으면 패에 썩지 않게 되고, [[데몬팰리스-악마의 미궁-]]이 있으면 저 둘을 제외하고 또 다른 레벨 4 데몬을 부를 수 있다. 또한 역으로 레벨 4 데몬을 엄브럴 고스트, 레드 레조네이터의 효과로 특수소환하는 것으로 킹 데몬을 부를 수도 있다. 이런 식으로 부를 때 데몬팰리스가 깔려있으므로 약간 부족한 타점도 데몬팰리스가 보완해주니 금상첨화. 이 방식으로 덱을 짤 경우 킹 데몬의 최대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속도와 타점이 모두 해결되어 킹 데몬이 가질 수 있는 가장 큰 효율을 보여준다. 레드 레조네이터의 경우 튜너라서 싱크로 소환까지 가능. 능력치는 하급 치고는 꽤 높은 편이고, 전투로 파괴한 몬스터의 효과로 무효화하기 때문에 [[크리터(유희왕)|크리터]]나 리버스 몬스터를 아주 썰어버릴 수 있으며[* 리버스 몬스터가 파괴가 확정된 시점에서 효과가 발동하는 고로 무효화시킬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명계의 마왕 하데스]] 참고.] [[황천 개구리]]와 같이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를 가진 몬스터를 격파하면 이것도 봉인시켜버릴 수 있다. 즉 하급 견제에는 그럭저럭 활약. 체스 데몬 고유 효과로 대상 지정 효과도 3분의 1의 확률로 무시할 수 있고 다른 체스 데몬들처럼 이는 지속 효과이기 때문에 체인이 불가능한 효과의 대상이 되어도 사용 가능하다. 하지만 생각보다 확률이 낮아서 덤이라고 봐도 좋다. 이 카드를 덱에 넣어서 운용하고자 한다면 레벨 4 치고는 꽤 높은 2000이라는 타점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과, 데몬이라는 점, 그리고 전투로 몬스터를 파괴하면 그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해버린다는 점들을 적극 활용해야한다. 어둠 속성인데다 하급에 공격력 2000이므로, 굳이 공격할 게 아니라 마의 [[덱 파괴 바이러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일반소환이나 특수소환이 불가능할 때 세트해두고 발동하면 패에 썩고있는 킹 데몬을 처리할 수 있어 유용하다. 여러모로 하급 킬러. [[유희왕 GX]]에서는 5화에서 [[체스 데몬]] 덱을 사용하던 [[타이탄(유희왕 GX)|타이탄]]의 주력 카드로 등장. 그 강력한 효과로 이차원 터널 미러 게이트 등, 쥬다이의 효과를 틀어막으며 라이프를 야금야금 갉아먹다가,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에게 파괴당했다. 공격명은 '''작렬 오장육부'''. 가슴팍이 열리며, 거기에서 벌레가 우르르 튀어나오는 연출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암흑의 위협]] || DCR-KR072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1 || HGP1-KR234 || [[슈퍼 레어]] || 한국 || || || [[암흑의 위협|암흑 마계의 위협]] || 305-019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br][[패러렐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EXPERT EDITION Volume.1 || EE1-JP234 || [[슈퍼 레어]] || 일본 || || == 기타 == 과거에 [[선봉 대장]]과 맞짱뜨면서 눈에 상처를 남겨준 적이 있다([[혈의 각인]]). 패러디로 [[제노사이드 킹 새먼|제노사이드 킹 '''새먼''']]이 있다. 웃기게도 원본보다 공격력이 높아 역으로 털린다. ~~대왕님 낚시 나가시면 안 되겠다.~~ 체스에서는 킹이 체크메이트되면 게임이 끝나는데 유희왕에서는 '''그 킹으로 싸운다.''' 게다가 킹인데 퀸보다 더 강했다. 물론 이후 프리즌 퀸 데몬의 등장으로 퀸이 더 강해졌지만... 게다가 데스룩 데몬은 캐슬링을 재현한 효과만 있기 때문에 룩은 캐슬링만 하는 바보 기물이 돼버렸다. 일러스트에서 대검을 들고있지만, 왠지 대검을 쓰는 일이 없다. [[혈의 각인]]에서는 손톱으로 찍어누르고 있질 않나, 애니에서는 가슴팍을 열어서 벌레를 보내 공격하질 않나, 디스커버드 어택에서는 레이저를 쏘질 않나... 은근히 여기저기서 일러스트로 찬조출연하는 경우가 많다. 주로 다른 체스 데몬과 등장하는 경우가 많고, 그 외에는 같은 주사위 컨셉인 [[스나이프 스토커]]와 등장하기도 한다. * [[다이스어트]] * [[데몬의 선고]] * [[디스커버드 어택]] * [[퇴짜]] * [[혈의 각인]] * [[레인보우 라이프]] * [[데몬의 포효]] * [[엉터리]] * [[주사위놀이]] * [[캐슬 링크]] * [[새도전]] == 관련 카드 == === [[체스 데몬#데스룩 데몬|데스룩 데몬]] === === 디스커버드 어택 === [[파일:external/www.torecolo.jp/EE1-JP251.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디스커버드 어택, 일어판명칭=ディスカバード・アタック, 영어판명칭=Checkmate, 마법=, 일반=, 효과1=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데몬" 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제물로 바친다. 이 턴\, 자신 필드 위의 "제노사이드킹 데몬" 1장은 상대 플레이어를 직접 공격할 수 있다., )] 포기하면 편한 카드. 주로 2000의 타점과 효과를 이용한 견제 플레이를 해야 하는 이 카드에게는 그다지 유용하지만은 않은 카드. 그냥 수축이나 [[에너미 컨트롤러]] 같은 전투 보조형 카드를 쓰고 말테고 다른 데몬이 레벨 4라면 차라리 [[No.82 하트랜드라코]]를 꺼내는게 더 좋다. 효과와 맞지않는 보조카드의 대표적인 예. 이름인 디스커버드 어택은 기물의 길을 막고있던 기물을 치우는 것으로 공격이 막혀있던 기물로 공격하는 것을 말하는데, 당연히 실제 [[체스]]에서 킹은 디스커버드 어택을 할 수 없다. 영어판 이름은 체크메이트지만, 애초에 킹끼리 맞닿을 수도 없는 판국에... === [[제노사이드킹 새먼]] === === [[퍼페추얼킹 데몬]] === [[분류:유희왕/OCG/악마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