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너럴 일렉트릭의 제트엔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oeing_747-430%2C_Lufthansa_AN0558286.jpg|width=96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Lockheed_C-5M_Super_Galaxy%2C_MAKS_2011.jpg|width=96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oeing_767-338%28ER%29%2C_Qantas_JP6399899.jpg|width=960]] [목차] == 개요 == [youtube(_GhyWrUAjUk)] [youtube(FYsLdu9iKYM)] [[제너럴 일렉트릭]]에서 개발한 [[터보팬]] [[제트엔진]]이다. [[미 공군]] [[C-5]] 갤럭시 수송기의 [[TF39]] 엔진을 기반으로 개발한 파생품이며 현용 [[여객기]]에 널리 사용되는 고바이패스 터보팬 엔진이다. 1963년 미 공군은 [[C-141]]의 능력을 상회하는 차세대 수송기 개발계획인 CX-X를 시작하며 [[록히드]]의 기체와 제너럴 일렉트릭 (이하 GE)의 엔진 설계안을 채택했는데, 여기서 개발된 TF39는 기존의 [[터보제트]] 엔진대비 무려 25% 이상의 연비향상과 최대추력 43,000 파운드를 달성해서 당시 기술수준으로는 혁명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최초의 고바이패스 엔진이나 다름없던 [[JT9D]]와 비교했을 때 그 어느 구석에서도 꿀리는 부분이 없었고, 출시당시 어느 엔진보다 월등히 좋은 연비를 구현해 냈으며, TCCS[* Turbine Case Cooling System. 재료마다 열팽창계수가 다른점에 감안하여 터빈의 블레이드와 케이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터빈과 연결된 축동력의 효율을 높이는 기술. [[XB-70]] 발키리 폭격기의 엔진 J93에 적용된 기술이다.][* 초기형 [[프랫&휘트니 JT9D]]의 경우 이 기술이 부족해 이륙 풀 트로틀 시 엔진한계설계온도보다 높게 올라가 물을 뿌려 냉각했다]와 캐스케이드 베인을 통한 역추진 방식을 도입하는 등의 선진적인 기술이 녹아있었는데, 이런 훌륭한 물건을 꼴랑 군용기에만 박아 썩혀둘 수 없다고 판단하여 민수용으로 개조한 것이 CF6의 시초가 된다. 1970년대 초반에 개발되던 [[L-1011]]과 [[DC-10]]에 채택제안을 했으나 DC-10만의 선택을 받았지만 상업적으로는 L-1011보다 더 큰 성공을 거두게 된다. 이어서 개발된 초대박 히트상품 [[보잉 747]]의 엔진으로도 선택되어 그 품질과 신뢰성을 입증받은 후 [[보잉 767]], [[A300]], [[A310]], [[A330]] 등의 여객기와 이런 민수용 항공기의 군용 버전에도 여기저기 채택됐으며, 2002년에는 C-5 수송기의 엔진 개량사업에 군용버전인 F138-GE-100 엔진이 탑재되기에 이른다. 그 전의 모델들은 F103이라는 미 공군의 제식 명칭도 부여받았고 그 파생형이 [[KC-10]] [[공중급유기]]와 [[보잉 747-200]]을 기반으로 한 [[에어 포스 원]] [[VC-25]]A에도 적용됐다. == 결함 == CF6-6의 경우 JT9D의 개발을 지연시킨, 급히 추력을 가할 때 발생하는 공명 현상에 의해 터빈 블레이드와 엔진 하우징에 간섭이 일어나며 블레이드가 손상되고 하우징을 뚫고 나오는 일이 발생했으며 이로 인한 [[DC-10#s-7.1|사고]]가 발생했다. CF6-80모델의 경우 고압 압축기에 금이 가는 현상이 발생해 5건의 [[보잉 767]][* 같은 엔진이라도 부하률이 낮은 4발기 [[보잉 747]]에서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쌍발기 [[보잉 767]]에서만 사고가 발생했다.]사고를 냈으며 후에 [[US 에어웨이즈]]의 [[보잉 767]]이 완파되는 사고[* N654US, B767-2B7ER로 정비중 엔진출력을 최대로 올렸다가 좌측 날개 하단에서 발생한 사고로 소실되었다. [[https://aviation-safety.net/database/record.php?id=20000922-0|##]]]를 유발하여 2000년 이후 점검 주기를 단축시켰지만 이후에도 사고는 발생하고 있다. CF6-45/50의 경우 저압 터빈의 로터에 금이 가며 엔진 하우징을 뚫고 나오는 현상이 2009, 2010년 4건 발생하여 점검 절차를 강화했다. == 파생형 == === CF6-6 === ||<#CD3861> {{{#FFFFFF '''명칭''' }}} ||<#CD3861> {{{#FFFFFF '''길이[br](m)''' }}} ||<#CD3861> {{{#FFFFFF '''지름[br](m)''' }}} ||<#CD3861> {{{#FFFFFF '''자체중량[br](kg)''' }}} ||<#CD3861> {{{#FFFFFF '''최대추력[br](lbf)''' }}} ||<#CD3861> {{{#FFFFFF '''압축기[br](LPC-HPC)''' }}} ||<#CD3861> {{{#FFFFFF '''터빈[br](HPT-LPT)''' }}} ||<#CD3861> {{{#FFFFFF '''압축비''' }}} ||<#CD3861> {{{#FFFFFF '''바이패스비''' }}} ||<#CD3861> {{{#FFFFFF '''적용 기종''' }}} || || '''CF6-6D''' ||<|2> 4.78 ||<|2> 2.67 ||<|2> 3,710 ||<|2> 39,300 ||<|2> 1-16 ||<|2> 2-5 ||<|2> 24.3~25.0 ||<|2> 5.7~5.9 ||<|2> [[DC-10]]-10 || || '''CF6-6K''' || [[C-5]] 수송기를 위해 개발했던 [[TF39]]를 여기저기 개량한 최초의 파생형이다. TF39는 팬이 저압의 압축을 겸하는 구조였으나 저압 터빈 (LPT)과 연동되는 저압압축기 (LPC)를 새로 설치하고 배기를 분할시킨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 된다. [[맥도넬 더글라스]]의 [[DC-10]]에 장착되어 비교적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DC-10#s-7.1|1973년에는 비행 중인 DC-10의 팬 블레이드가 파손되어 그 파편이 객실을 덮쳐 승객 1명이 공중으로 빨려나가는 끔찍한 일]]이 있었으며, 1989년에는 팬 블레이드의 피로 누적이 원인이 되어 [[유나이티드 항공 232편 사고|승객 111명이 사망하는 큰 사고가 있었다.]] === CF6-45/50 === ||
<#CD3861> {{{#FFFFFF '''명칭''' }}} ||<#CD3861> {{{#FFFFFF '''길이[br](m)''' }}} ||<#CD3861> {{{#FFFFFF '''지름[br](m)''' }}} ||<#CD3861> {{{#FFFFFF '''자체중량[br](kg)''' }}} ||<#CD3861> {{{#FFFFFF '''최대추력[br](lbf)''' }}} ||<#CD3861> {{{#FFFFFF '''압축기[br](LPC-HPC)''' }}} ||<#CD3861> {{{#FFFFFF '''터빈[br](HPT-LPT)''' }}} ||<#CD3861> {{{#FFFFFF '''압축비''' }}} ||<#CD3861> {{{#FFFFFF '''바이패스비''' }}} ||<#CD3861> {{{#FFFFFF '''적용 기종''' }}} || || '''CF6-45A''' ||<|6> 4.65 ||<|6> 2.67 || 4,100 || 45,600 ||<|6> 3-14 ||<|6> 2-4 ||<|6> 28.6~31.1 ||<|6> 4.3~4.4 || [[보잉 747-100|747SR]] || || '''CF6-50A''' || 4,000 || 48,400 || [[A300]]B1/B2[br][[DC-10]]-30/-30F || || '''CF6-50C''' ||<|2> 4,070 || 50,400 || A300B1/B2/B4[br]DC-10-30/-30F || || '''CF6-50C2[br](F103-GE-101)''' ||<|3> 51,800 || A300B2/B4[br]DC-10-30/-30F/[[KC-10]]A || || '''CF6-50E''' ||<|2> 4,100 || [[보잉 747-200]] || || '''CF6-50E2[br](F103-GE-100)''' || 747-200/[[보잉 747-300|-300]]/[[E-4]]B[* [[보잉 747-200|747-200]]을 개조한 지휘 통제 항공기이며 Night Watch라는 이름을 지니고 있다. 주 임무는 [[핵전쟁]] 같은 [[미국]]이 끝장날 만한 상황이 오면 대통령과 각료들을 태우고 공중에서 지령을 내리는 역할이다. 1974년 최초로 도입된 이후 총 4대를 운용하고 있는데, [[냉전]] 시절에는 하루도 빠짐없이 매일 출격해 임무를 수행하다 다른 기체와 교대하는 일을 반복했다. 지금은 그런 위협이 사라졌기에 그냥 국방 장관과 같은 [[VIP]] 전용 여객기로 둔갑하여 사용 중에 있다. 예정으로는 2015년에 모조리 퇴역시킬 예정이었으나 당분간 계속 운용할 계획으로 보인다.] || 최초 [[DC-10]]의 항속거리 연장형에 사용되기 위해 개발됐다. CF6-6가 출력이 좀 딸린다는 민원이 들어오자 추력을 높일 방법을 고민하던 중 연소실 주변의 온도 때문에 고압 터빈의 확장이 어렵다는 것을 깨닫고, 그냥 무식하게 코어의 크기를 키워서 목적을 달성해냈다. 또한 압축계통을 좀 손봐서 압축 비가 살짝 높아졌지만 낮아진 바이패스비로 인해 연비가 약간 떨어졌다. 1971년에는 [[에어 프랑스]]가 CF6-50을 장착한 [[A300]]의 첫 번째 고객이 되었고, 1975년 11월에는 [[KLM 네덜란드 항공|KLM]]이 [[보잉 747-200|747-200]]의 첫 번째 계약을 맺음으로써 GE의 든든한 ~~[[호구(유행어)|호구]]~~ 파트너로서 멋진 출발을 한다. 한편 CF6-45라는 추력 45,600 파운드짜리 파생형도 있는데, 일본의 [[전일본공수]]는 1978년 단거리 대량 수송에 특화된 [[보잉 747-100|747SR]] 기종에 이 엔진을 장착하고 좌석 450석 가량을 설치해서 2006년에 퇴역 할 때 까지 오로지 일본 국내선으로만 운항했다. 다른 항공사에 채택된 실적은 전혀 없다. === CF6-80 === ==== CF6-80A ==== ||
<#CD3861> {{{#FFFFFF '''명칭''' }}} ||<#CD3861> {{{#FFFFFF '''길이[br](m)''' }}} ||<#CD3861> {{{#FFFFFF '''지름[br](m)''' }}} ||<#CD3861> {{{#FFFFFF '''자체중량[br](kg)''' }}} ||<#CD3861> {{{#FFFFFF '''최대추력[br](lbf)''' }}} ||<#CD3861> {{{#FFFFFF '''압축기[br](LPC-HPC)''' }}} ||<#CD3861> {{{#FFFFFF '''터빈[br](HPT-LPT)''' }}} ||<#CD3861> {{{#FFFFFF '''압축비''' }}} ||<#CD3861> {{{#FFFFFF '''바이패스비''' }}} ||<#CD3861> {{{#FFFFFF '''적용 기종''' }}} || || '''CF6-80A2''' ||<|2> 4.24 || 2.42 ||<|2> 3,980 || 48,700 ||<|2> 3-14 ||<|2> 2-4 ||<|2> 28.3~28.5 ||<|2> 4.6~5.0 || [[보잉 767|767]]-200/-200ER/-300 || || '''CF6-80A3''' || 2.68 || 49,000 || [[A310]]-200/-200F || 새롭게 등장한 기종에 적용 시키기 위해 약간 급조하다시피 한 제품이라 자잘한 스펙을 제외한 기계적인 구성은 CF6-50 계열과 거의 차이가 없다. 1982년과 그 다음해에 [[델타 항공]]의 [[보잉 767|767]]과 [[루프트한자]]의 [[A310]]이 운항을 시작했다. ==== CF6-80C2 ==== ||
<#CD3861> {{{#FFFFFF '''명칭''' }}} ||<#CD3861> {{{#FFFFFF '''길이[br](m)''' }}} ||<#CD3861> {{{#FFFFFF '''지름[br](m)''' }}} ||<#CD3861> {{{#FFFFFF '''자체중량[br](kg)''' }}} ||<#CD3861> {{{#FFFFFF '''최대추력[br](lbf)''' }}} ||<#CD3861> {{{#FFFFFF '''압축기[br](LPC-HPC)''' }}} ||<#CD3861> {{{#FFFFFF '''터빈[br](HPT-LPT)''' }}} ||<#CD3861> {{{#FFFFFF '''압축비''' }}} ||<#CD3861> {{{#FFFFFF '''바이패스비''' }}} ||<#CD3861> {{{#FFFFFF '''적용 기종''' }}} || || '''CF6-80C2A1''' ||<|19> 4.27 ||<|9> 2.69 ||<|5> 4,300 || 57,800 ||<|19> 4-14 ||<|19> 2-5 ||<|5> 30.4~31.5 ||<|5> 5.0~5.2 || [[A300]]-600 || || '''CF6-80C2A2''' || 52,500 || [[A310]]-200/-300 || || '''CF6-80C2A3''' || 59,000 ||<|2> A300-600 || || '''CF6-80C2A5''' || 60,100 || || '''CF6-80C2A8''' || 57,800 || A300-600[br]A310-300 || || '''CF6-80C2B1[br](F103-GE-102)''' ||<|4> 4,390 || 56,000 ||<|4> 29.9~31.1 ||<|4> 5.1~5.3 || [[보잉 747-200|747-200]]/[[보잉 747-300|-300]]/[[VC-25]]A || || '''CF6-80C2B2''' || 52,000 ||<|2> [[보잉 767|B767]]-200ER/-300/-300ER || || '''CF6-80C2B4''' || 57,200 || || '''CF6-80C2B6''' || 60,100 || 767-300/-300ER || || '''CF6-80C2B1F''' ||<|10> 2.83 ||<|7> 4,440 || 57,200 ||<|10> 29.9~31.8 ||<|10> 5.0~5.1 || [[보잉 747-400|747-400]]/-400F || || '''CF6-80C2B2F''' || 52,000 || 767-200/-200ER/-300 || || '''CF6-80C2B4F''' || 57,300 || 767-200ER/-300/-300ER || || '''CF6-80C2B5F''' ||<|4> 60,000 || 747-400/-400F || || '''CF6-80C2B6F[br](F103-GE-103)''' || 767-300ER/-300F/[[E-767]]/[[KC-767]] || || '''CF6-80C2B7F''' || 767-300ER/-300F || || '''CF6-80C2B8F''' || 767-400ER || || '''CF6-80C2D1F''' || 4,470 || 60,700 || [[MD-11]]/-11F || || '''CF6-80C2L1F[br](F138-GE-100)''' ||<|2> 4,460 || 51,200 || [[C-5]]M || || '''CF6-80C2K1F''' || 59,700 || [[가와사키 C-2|C-2]] || 가장 많은 파생형을 지닌 형식이며 엄청나게 많은 수량이 판매되었고 과거에서 현재의 엔진으로 진화하는 데 있어 과도기의 위치에 놓여있다고 볼 수 있다.[* 명칭 제일 끝자리에 문자 F가 붙은 모델은 전자식 엔진제어 (FADEC) 방식이 적용됐음을 의미한다. [[보잉]]이 [[보잉 747-400]]을 개발하면서 [[항공기관사]]를 실업자로 만드는 2인 승무의 글라스 칵핏으로의 전환을 암시했고 이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따른 결과물이긴 한데, 최초 개발부터 FADEC을 적용시킨 [[PW4000]]과의 경쟁에서 대부분 승리했을 뿐만 아니라 [[A330]]과 [[보잉 767]]의 최종 파생형에까지 적용되어 CF6의 생명을 연장시키는 효자노릇을 했다.] 이 엔진이 장착된 쌍발기들은 모두 [[ETOPS]]-180 인증을 받았고, [[보잉 767]]을 개조한 군용기들은 [[항공자위대]]와 이탈리아 공군에 수출되기도 했다. 또한 [[미 공군]]에서 운용하던 [[C-5]] 갤럭시 수송기는 2006년에 시작된 RERP (Reliability Enhancement and Re-engining Program) 프로그램에 따라 기존의 [[TF39]] 엔진을 갖다버리고 추력 51,200 파운드짜리 CF6-80C2L1F 엔진에 F138-GE-100이라는 제식명칭을 붙여다가 엔진을 교체하는 프로젝트를 시행했는데, 이 무식하게 거대한 [[수송기]]를 엔진뿐만 아니라 기골, 날개의 형상과 각종 배선, 랜딩 기어와 조종석 등 건드릴 만한 것들을 [[재개발|모조리 뜯어고치는]] 엄청난 ~~미친~~ 난이도의 작업이었다. 그러나 그 결과 이륙활주거리가 약 30% 가량 짧아졌고 페이로드의 증가와 함께 [[항속거리]]도 꽤나 늘어나는 등 세계 최고의 전략수송기로서 전혀 흔들리지 않고 군림할 수 있었다. 한편 CF6-80C2K1F은 2006년에 발표된 CF6 계열의 가장 마지막 개량형으로서 [[항공자위대]]의 [[C-130]]H를 대체하기 위한 차세대 [[수송기]]인 [[가와사키 C-2]]의 개발을 위해 특별히 기획된 모델이다. 2001년에 개념 연구를 시작해서 16년이 경과된 2017년 3월 27일에서야 개발 완료 및 배치가 시작됐는데 총 40대 가량을 생산할 계획으로 알려져 있다. ==== CF6-80E1 ==== ||
<#CD3861> {{{#FFFFFF '''명칭''' }}} ||<#CD3861> {{{#FFFFFF '''길이[br](m)''' }}} ||<#CD3861> {{{#FFFFFF '''지름[br](m)''' }}} ||<#CD3861> {{{#FFFFFF '''자체중량[br](kg)''' }}} ||<#CD3861> {{{#FFFFFF '''최대추력[br](lbf)''' }}} ||<#CD3861> {{{#FFFFFF '''압축기[br](LPC-HPC)''' }}} ||<#CD3861> {{{#FFFFFF '''터빈[br](HPT-LPT)''' }}} ||<#CD3861> {{{#FFFFFF '''압축비''' }}} ||<#CD3861> {{{#FFFFFF '''바이패스비''' }}} ||<#CD3861> {{{#FFFFFF '''적용 기종''' }}} || || '''CF6-80E1A2''' ||<|3> 4.28 ||<|3> 2.90 ||<|3> 5,090 || 64,500 ||<|3> 4-14 ||<|3> 2-5 ||<|3> 32.6~33.7 ||<|3> 5.0~5.3 ||<|2> [[A330]]-200/-300 || || '''CF6-80E1A3''' || 68,500 || || '''CF6-80E1A4''' || 66,900 || A330-200/-300/[[A330 MRTT]][* 호주 공군과 사우디 공군만 CF6를 채택했다.] || A330을 위해 개발된 형식. 변화가 없다는 비판이 있지만 기본 설계가 워낙 훌륭했기에 최초의 파생형 CF6-6에 비해 거의 갑절에 가까운 추력을 달성하는 게 가능했다. [[KLM 네덜란드 항공]]과 [[에어 프랑스]], [[콴타스]], [[핀에어]], [[이베리아 항공]] 등의 A330이 CF6를 채택해서 운항하고 있지만 시장 점유율은 [[롤스로이스 plc]]의 [[롤스로이스 Trent|Trent 700]] 계열이 압도적인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프랫&휘트니]]의 [[프랫&휘트니 PW4000|PW4000]]과 꼴찌를 다투고 있는 암울한 상황이다. 그래도 GE는 아직까지도 세일즈를 계속하고 있지만 이제는 너무 연식이 오래되어 연탄불이 거의 꺼졌다고 보는 의견들이 많은데,[* 그러나 [[델타 항공]]이 2015년에 인도받은 신품 [[A330]]-300 물량에는 CF6가 장착되어 있다.] 그래도 PW4000이 빌빌대다가 난데없이 [[KC-46]] 사업으로 대박을 맞은 것처럼 과연 팔자가 다시 고쳐질는지는 두고 볼 일.. === LM250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US_Navy_110215-N-9793B-015_Sailors_check_a_gas_turbine_engine_aboard_the_guided-missile_cruiser_USS_Anzio_%28CG_68%29.jpg|width=960]] ||
<#CD3861><|2> {{{#FFFFFF '''명칭''' }}} ||<|2><#CD3861> {{{#FFFFFF '''길이[br](m)''' }}} ||<|2><#CD3861> {{{#FFFFFF '''폭[br](m)''' }}} ||<-2><#CD3861> {{{#FFFFFF '''최대출력''' }}} ||<|2><#CD3861> {{{#FFFFFF '''터빈속도[br](rpm)''' }}} ||<|2><#CD3861> {{{#FFFFFF '''발전용량[br](kW)''' }}} ||<|2><#CD3861> {{{#FFFFFF '''효율[br](%)''' }}} ||<|2><#CD3861> {{{#FFFFFF '''적용함정''' }}} || ||<#CD3861> {{{#FFFFFF '''(shp)''' }}} ||<#CD3861> {{{#FFFFFF '''(kW)''' }}} || || '''LM2500''' || 13.94 || 2.64 || 33,600 || 25,060 ||<|3> 3,600 || 24,050 || 36 || [[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br][[알레이버크급]] 구축함[br][[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br]~~너무 많아서 생략~~ || || '''LM2500+''' ||<|2> 14.38 || 3.12 || 40,500 || 30,200 || 29,000 || 38 || [[와스프급]] 강습상륙함[* LHD-8 USS Makin Island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증기 터빈]]을 동력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 || '''LM2500+G4''' || 3.81 || 47,370 || 35,320 || 34,700 || 39 || [[FREMM급]] 호위함 || CF6의 파생형으로 해군 함정용 가스 터빈 엔진인 LM2500이 있다. 오리지널 LM2500은 최대 약 33,600 마력의 힘을 발생시킬 수 있고 대략 36%의 열효율을 지니는데, 2기를 묶어서 [[선박/추진방식#s-3.1.2|COGAG]]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최초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을 시작으로 [[미 해군]]의 각종 전투함정에 탑재된다. [[대한민국 해군]]도 [[울산급]]부터 시작해서 [[포항급]], [[광개토대왕급]], [[충무공이순신급]], [[세종대왕급]], [[인천급]]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주요 전투함에 LM2500을 탑재했는데, COGAG를 채택한 세종대왕급을 제외하면 대개 별도 [[디젤 엔진]]과 함께 [[선박/추진방식#s-3.2.3|CODOG]]으로 추진한다. 이 외에도 [[해상자위대]]나 기타 여러 우방국 해군의 함정에 널리 퍼져있고, 심지어는 '''[[중국 해군]]'''의 [[루후급]] 구축함에도 탑재되어 있다.[* 당연히 미국이 멀쩡하게 판매했을 리는 없고.. 대중국 무기 금수조치 이전에 잽싸게 구입해서 방치해 뒀다가 건조시켰다.] 국내에서는 지금까지는 [[한화테크윈|삼성테크윈]]이 [[라이선스|면허생산]]으로 제작해서 해군에 납품해왔으나, [[한화그룹]]으로 인수된 후 어찌될지는 미지수... == 관련 문서 == [[https://en.wikipedia.org/wiki/General_Electric_CF6|(영문 위키백과) General Electric CF6]] [[https://en.wikipedia.org/wiki/General_Electric_LM2500|(영문 위키백과) General Electric LM2500]] == 관련 항목 == * [[제트 엔진]] * [[터보팬]] * [[제너럴 일렉트릭]] [[분류:제너럴 일렉트릭]] [[분류:제트 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