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삼성 라이온즈 1차 지명선수)] ---- ||
'''정현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7.svg|width=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2013년 한국시리즈|{{{#ffffff 2013}}}]]''' || ---- ||
[[파일:asia_probaseball_champion_ship_2017.png|width=auto&height=70]][br]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8c8c8c 은메달}}}''' || || '''[[선동렬호/2017년|{{{#FFFFFF 2017}}}]]''' || ---- ||<-5>
'''{{{#fff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50번}}}''' || || [[우병걸]][br](2012) || {{{+1 →}}} || '''{{{#074ca1 정현[br](2013~2014)}}}''' || {{{+1 →}}} || [[우병걸]][br](2015~2016) || ||<-5> '''{{{#fff [[kt wiz|{{{#ffffff kt wiz}}}]] 등번호 7번}}}''' || || [[문상철]][br](2014~2016) || {{{+1 →}}} || '''정현[br](2017~2018)''' || {{{+1 →}}} || [[강민국]][br](2019~2021) || ||<-5> '''{{{#fff [[kt wiz|{{{#ffffff kt wiz}}}]] 등번호 16번}}}''' || || [[박기혁]][br](2015~2018) || {{{+1 →}}} || '''정현[br](2019~2019.5.19.)''' || {{{+1 →}}} || [[박승욱]][br](2019.5.20.~2021) || ||<-5> '''{{{#fff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7번}}}''' || || [[박승욱]][br](2018~2019.5.19.) || {{{+1 →}}} || '''정현[br](2019.5.20.~2020)''' || {{{+1 →}}} || [[유서준]][br](2021~2022) || ||<-5> '''{{{#fff [[SSG 랜더스|{{{#ffffff SSG 랜더스}}}]] 등번호 6번}}}''' || || [[최준우]][br](2020) || {{{+1 →}}} || '''정현[br](2021~2021.5.20.)''' || {{{+1 →}}} || [[김찬형]][br](2021.5.21.~2021)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6번}}}''' || || [[김찬형]][br](2021~2021.5.20.) || {{{+1 →}}} || '''{{{#00275a 정현[br](2021.5.21.~2022.4.28.)}}}''' || {{{+1 →}}} || [[웨스 파슨스|파슨스]][br](2022.4.29.~2022) || ||<-5> '''{{{#fff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등번호 67번}}}''' || || [[웨스 파슨스|파슨스]][br](2021~2022.4.28.) || {{{+1 →}}} || '''{{{#00275a 정현[br](2022.4.29~2022)}}}''' || {{{+1 →}}} || [[이준혁(야구선수)|이준혁]][br](2023~2023.5.22.) || }}} || ---- || '''{{{#FFFFFF A대표팀 참가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선동열호/2017 APBC 엔트리)]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현2022프로필.png|width=100%]]}}} || ||<-2> '''{{{+2 정현}}}[br]鄭炫 | Jung Hyun''' || ||<|2> '''출생''' ||[[1994년]] [[6월 1일]] ([age(1994-06-01)]세) || ||[[부산광역시]] [[수영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수영초등학교(부산)|부산수영초]] - [[대천중학교(부산)|대천중]] -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 || || '''신체''' ||181cm, 80kg || || '''포지션''' ||[[내야수]][* [[유격수]], [[2루수]], [[3루수]]를 주로 담당하며, [[kt wiz]] 시절 군 제대 시점에는 대부분을 유격수로 출장했다. 하지만 내야 유틸리티로 1루수도 소화 가능하다.] →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13년/신인드래프트#s-3|2013년 1라운드]] (전체 8번, [[삼성 라이온즈|삼성]]) || ||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2013~2014)[br] '''[[kt wiz]] (2015~2019)'''[br][[SK 와이번스]]-[[SSG 랜더스]] (2019~2021) [br] [[NC 다이노스]] (2021~2022) || ||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병장]] 만기전역[br]{{{-2 (2014년 12월 22일 ~ 2016년 9월 21일)}}} || || '''등장곡''' ||kt 시절: [[터보트로닉]] - 달려 베이비 || || '''응원가''' ||삼성 시절: [[달샤벳]] 《있기 없기》[* 정현 정현 날려라 정현 정현 날려라 정현 정현 날려라 안타 날려라~][br]kt 시절: [[버스커 버스커]] 《[[서울사람들]]》[* 나아아아아~ 우우우우우~ kt wiz 정현 안타~ 나아아아아~ 우우우우우~ kt wiz 정현 안타~ '''아아아아아아아~ 아아아아아아아~ ([[3단고음]]이다. 또한 kt의 팬들은 4단고음으로 부른다!)''' 날려버려 정현 안타~ 날려버려 정현 안타~ 날려버려 정현 안타~ 안타를~ 홈런을~ 오 날려주세요 (누구?) 정현!][* 2018 시즌부터 저작권 문제로 인해 폐기되었으며 음의 높낮이를 바꿔 살짝 개사했다. '''kt 위즈 승리를 위해 정현아 x2 아아아아아아아~ 아아아아아아아~ 날려버려 정현 안타~ 날려버려 정현 안타~ 날려버려 정현 안타~ 안타를~ 홈런을~ 오 날려주세요 (누구?) 정현'''][br]SK-SSG 시절: CCM 《치킨보다 주님》[* '''랜더스의 정현~ 날려버려 정현~ 외쳐보자 정현 오오오오오~ x2'''][* 원래는 '''치킨보다 정현~ 와이번스 정현~ 날려버려 정현 오오오오오~''' 였으나 공개 직후 팬들의 반응이 매우 좋지 않았고 여러 논란끝에 결국 20시즌 개막전부터 바뀐 가사의 응원가로 부르게 되었다. 허나 정현 본인은 치킨보다 정현을 매우 맘에 들어했다고...][* 멜로디 자체는 신나는 편이고 무엇보다 선수 본인이 굉장히 마음에 들어하는 응원가이다.][br]NC 시절: [[요리용디]] - [[https://ncdinos-homepage.s3.ap-northeast-2.amazonaws.com/v1/music/player/2021%20_%EC%A0%95%ED%98%84%20%20%28AR%29%20-%2045%EC%B4%88.wav|초간단 토스트]][* 다이노스 정현! 안타한방 날려라~ 다이노스 정현! 승리를 위해 함께 외치자~ 정현! 안타! 정현! (x2) 안타!] || || '''종교''' ||[[불교]][*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209705|참조]].]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삼성 라이온즈]] - [[kt wiz]] - [[SK 와이번스]]/[[SSG 랜더스]] - [[NC 다이노스]] 소속의 야구선수. 내야 전 포지션을 볼 수 있었던 선수로, 2루수, 유격수, 3루수로 주로 출전했었다. 그러나 '전정 신경염'이라는 어지러움증을 동반한 지병으로 인해 선수 생활에 어려움을 겪었고 투수 전향까지 도전했지만 2022년 8월 웨이버 공시되면서 야구계를 떠나게 되었다. == [[정현(야구선수)/선수 경력|선수 경력]] == ||
<-3> '''통합 선수 경력 : [[정현(야구선수)/선수 경력]]''' || ||<-3>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10]]]] || || [[정현(야구선수)/선수 경력#s-2.1.1|'''{{{#fff 2013년}}}''']] || [[정현(야구선수)/선수 경력#s-2.1.2|'''{{{#fff 2014년}}}''']] || [[정현(야구선수)/선수 경력#s-2.2.1|'''{{{#2c292a 상무 야구단}}}''']] || || [[정현(야구선수)/선수 경력#s-2.2.2|'''{{{#ffffff 2017년}}}''']] || [[정현(야구선수)/선수 경력#s-2.2.3|'''{{{#ffffff 2018년}}}''']] || [[정현(야구선수)/선수 경력#s-2.3.1|'''{{{#ffffff 2019년}}}''']] || || [[정현(야구선수)/선수 경력#s-2.3.2|'''{{{#ffffff 2020년}}}''']] || [[정현(야구선수)/선수 경력#s-2.4.1|'''{{{#ffffff 2021년}}}''']] || [[정현(야구선수)/선수 경력#s-2.4.2|'''{{{#ffffff 2022년}}}''']] ||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현21타격폼.gif|width=100%]]}}} || || 정현의 타격폼[* 2021년 6월 25일 SSG전 3루타.] || kt의 주전 유격수로 발돋움했던 2017 시즌 타율 0.300, OPS 0.795, wRC+ 102.4를 기록하며 시즌 후 APBC에도 국가대표로 출전하는 등 포텐을 터뜨리나 싶었지만 이후 선수 생활에서 부침을 겪으면서 한 시즌도 wRC+ 100을 넘지 못한, 전체적인 생산력이 낮아진 타자.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현21호수비.gif|width=100%]]}}} || || 정현의 호수비[* 2021년 6월 20일 키움전.] || 허나 정현의 가치는 수비에서 드러난다. 2루수, 3루수, 유격수가 모두 가능한 내야 유틸리티로 NC 팬들에게는 마치 [[지석훈]]과 [[이상호(1989)|이상호]]가 떠오르게 하는 선수이다. 필딩율은 평범한 편이며, 3루수/유격수보다는 2루수 자리에서 더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삼진 || 출루율 || 장타율 || wRC+ || || 2013 ||<|2> [[삼성 라이온즈|삼성]] || 8 || 21 || .190 || 4 || 1 || 0 || 1 || 2 || 3 || 0 || 0 || 5 || .190 || .381 || 31.2 || || 2014 || 5 || 3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2 || .000 || .000 || -134.8 || || 연도 || 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삼진 || 출루율 || 장타율 || wRC+ || || 2015 ||<|4> [[kt wiz|kt]] ||<-13><|2> 군복무([[상무 피닉스 야구단]]) || || 2016 || || 2017 || 124 || 350 || .300 || 105 || 20 || 3 || 6 || 42 || 45 || 4 || 40[* 볼넷 18개, 사구 22개로 사구가 더 많다(...)] || 69 || .368 || .425 || 102.4 || || 2018 || 65 || 117 || .265 || 31 || 7 || 0 || 2 || 9 || 16 || 3 || 9 || 28 || .318 || .376 || 63.2 || || 연도 || 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삼진 || 출루율 || 장타율 || wRC+ || || 2019 || [[kt wiz|kt]] / [[SK 와이번스|SK]] || 27 || 38 || .079 || 3 || 0 || 0 || 0 || 2 || 3 || 1 || 6 || 17 || .200 || .079 || -15.9 || || 2020 || [[SK 와이번스|SK]] || 89 || 112 || .152 || 17 || 4 || 0 || 2 || 4 || 14 || 0 || 13 || 34 || .240 || .241 || 21.9 || || 연도 || 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삼진 || 출루율 || 장타율 || wRC+ || || 2021 || [[SSG 랜더스|SSG]] / [[NC 다이노스|NC]] || 68 || 117 || .222 || 26 || 5 || 1 || 0 || 7 || 14 || 0 || 24 || 24 || .355 || .282 || 76.1 || || 2022 || [[NC 다이노스|NC]] ||<-15> 1군 기록 없음 || ||<-2> '''[[KBO 리그|KBO]] 통산''' [br] (7시즌) || 386 || 758 || .245 || 186 || 37 || 4 || 11 || 66 || 95 || 8 || 92 || 179 || .348 || .326 || 73.9 || == 여담 == * 한국시리즈 우승반지를 갖고 있다. [[2013년 한국시리즈]]에 삼성 소속으로 엔트리에 이름을 올렸고, 삼성이 우승하면서 정현도 우승반지를 획득한다. 심지어 4차전에는 희생플라이로 타점도 기록했다! 당시에 고졸 1년차의 어린 선수였다는 걸 생각하면 상당히 준수한 성과다. 한국시리즈 총 성적은 3타수 0안타 0출루 1타점. * 프로 데뷔한 지 10년도 안된 시점에서 벌써 네 번째 팀을 옮겨다니고 있는 [[저니맨]]이다. * NC 이적 이후 팬들에 의해서 '''엔린이''' 였던 것이 밝혀져 충격을 주었다. 출처는 부산고 시절 2012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청룡기]] 선수 프로필이며 지금도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http://www.hsbaseball.kr/player/busan7|#]] NC 이적 후 [[http://naver.me/xpPFK3eY|인터뷰]]에서 정현은 “신생팀이 생겼다는 것만으로도 좋았다. 고향인 부산 근처 지역에 구단이 생긴 것 아닌가”라며 “이제 그 팀 유니폼을 입었다. 운명에 몸을 맡겨보겠다. 새로운 시작이자 마지막이라는 느낌”이라고 말했다.[br][br] [[파일:정현엔린이.png]] * 동명이인인 테니스 선수 [[정현(테니스)|정현]]이 있다. 호주 오픈 8강 진출 직후 응원메시지를 보낸 적이 있다.[[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382&aid=0000621544|#]] 본인은 같은 운동선수인 입장에서 서로 잘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SK 와이번스 소속 시절 땡큐 페스티벌에서 발군의 노래 실력을 뽐낸 바 있다. NC 다이노스 타운홀 온라인 팬미팅 때 이 영상을 보여주자 부끄러워하는 모습을 보였다. [[https://youtu.be/1MydrTlsNgA|정현이 부른 The One의 '내 여자']]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94년 출생]][[분류:2013년 데뷔]][[분류:2022년 은퇴]][[분류:수영구 출신 인물]][[분류:부산고등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삼성 라이온즈/은퇴, 이적]][[분류:상무 피닉스 야구단/전역]][[분류:kt wiz/은퇴, 이적]][[분류:SK 와이번스-SSG 랜더스/은퇴, 이적]][[분류:NC 다이노스/은퇴, 이적]][[분류:투수로 전향한 야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