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물푸레나무과 정향나무 == ||<-2> '''{{{#fff {{{+1 정향나무}}}(털개회나무)[br]Miss kim lilac}}}'''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schoolforest.or.kr/%EC%A0%95%ED%96%A5%EB%82%98%EB%AC%B4_1.gif|width=100%]]}}} || || '''학명''' || ''' ''Syringa pubescens subsp. patula'' ''' || ||<-2>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fff '''계'''}}}]] ||[[식물|식물계]](Plantae) || || [[생물 분류 단계#강|{{{#000,#fff '''문'''}}}]] ||현화식물문(Magnoliophy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fff '''강'''}}}]] ||목련강(Magnoliopsid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fff '''목'''}}}]] ||현삼목(Scrophularial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fff '''과'''}}}]] ||물푸레나무과(Oleace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fff '''속'''}}}]] ||수수꽃다리속 (''Syringa'') || || [[생물 분류 단계#종|{{{#000,#fff '''종'''}}}]] ||'''정향나무'''(''S.pabula'') || [clearfix] [[물푸레나무]]과의 정향나무는 우리나라 전 지역과 [[만주]]지역에서 자생하고 있다. 또한 산 깊은 곳(麓) 에서도 잘 보인다. 크기는 2m~3m 정도 하며 잎은 대생하고 장원형(長圓形)모양이면서 이나 [[달걀]]을 거꾸로 메달아놓은 모양이다. 꽃은 5월에 피는데 생김새와 [[향기]]가 좋아 사람들이 관상용으로도 많이 심는다. 개인 화단은 물론 아파트 화단이나 산책로, 공원 등에서도 종종 보인다.[* 단, 지금까지 보급된 것은 원종이 아니라 미스김라일락 등의 개량종이다.] 다만 이름 자체가 아주 잘 알려진 편은 아닌지라 봐도 [[라일락]] 닮은 꽃 / 라일락 향 나는데 생긴건 라일락이 아닌듯한 꽃(…) 정도로만 보고 지나치는 경우도 있다. --친척인 라일락이 너무 유명하다보니(…)-- 꽃 모양이 길쭉한 대롱 끝으로 넓게 퍼지는 모양인지라 앞에서 보면 열십자나 별 모양을 연상시키고,[* 이건 거의 대다수의 수수꽃다리속의 꽃나무들이 보이는 공통점이다.] 옆에서 보면 한자 정(丁)자와 닮았으면서 좋은 향기가 나기 때문에[* 라일락 하면 흔히 연상되는 달콤하고 향긋한 느낌의 향이 난다.] 정향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꽃말은 '''위엄'''이다. 열매는 갈색이며 겨울에 난다. 1947년 미군정기에 미군속 엘윈 M. 미더(Elwin M. Meader)가 반출하여 개량종을 만들고 '미스김라일락'이라 명명한 바 있다.[[http://leekihwan.khan.kr/entry/%EA%B0%9C%EB%B6%88%EC%95%8C%EA%BD%83-%EB%A9%B0%EB%8A%90%EB%A6%AC%EB%B0%91%EC%94%BB%EA%B0%9C-%EB%AF%B8%EC%8A%A4%EA%B9%80%EB%9D%BC%EC%9D%BC%EB%9D%BD|#]] 개량종 미스김라일락은 원예수목으로써 인기인 수목 중 하나이다. [* 단, 국내에는 실제 미스김라일락은 거의 보급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 미스김라일락으로 유통되는 것은 북경에서 발견되어 개량된 S. patula의 품종으로, 팔리빈라일락으로 불린다.] 최근 원종 정향나무의 증식에 성공하여 관상수로서의 보급이 기대된다.[[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5032220035&code=610103|#]] 중세 유럽에서는 열매하나가 부의 상징 중 하나였으며, 칫솔질을 할 때에 향을 위해 소금과 같이 빻은 후에 치약같이 발라서 사용했었다고 한다.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fcVwcvWePhU|#]]) == 도금양과 정향나무 == Clove. 이 정향나무는 [[인도네시아]]가 주 원산지인 열대 상록 교목으로, 1번 항목으로는 정향을 만들지 않는다. 나무 꽃봉오리를 따서, 이를 [[정향]]으로 가공한다. 정향에 대해서는 문서를 참조. [[분류:나무]][[분류:꿀풀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