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정행돈}}}'''[br]'''鄭行敦'''}}}}}}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정행돈2.jpg|width=100%]]}}} || || '''호''' ||공원(共園) || || '''본관''' ||[[경주 정씨]][* 양경공파-판윤공파-문천공파 65세 행(行) 항렬.][[http://chilgok.grandculture.net/Contents?local=chilgok&dataType=99&contents_id=GC02300787|#]] || ||<|2> '''출생''' ||[[1912년]] [[8월 22일]] || ||[[경상북도]] [[칠곡군]] 파미면 하포리[br](현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5리 하포마을)[* 왜관리 210-19번지에 그를 기리는 [[http://naver.me/x4cbKKk7|정행돈기념관]]이 세워져 있다.] || ||<|2> '''사망''' ||[[2003년]] [[8월 19일]] || ||[[서울특별시]] || || '''종교''' ||[[가톨릭]] {{{-2 (세례명: 미카엘)}}}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2호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 || '''링크''' ||[[https://hdon.kr|[[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2]]]][* 정행돈기념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다. 독립유공자 [[정행국]]은 그의 맏형이다. == 생애 == 정행돈은 1912년 8월 22일 경상북도 칠곡군 파미면 하포리(현 칠곡군 왜관읍 왜관5리 하포마을)에서 정미업에 종사하던 아버지 정재문(鄭在文, 1876. 10. 2 ~ 1954. 6. 10)과 어머니 [[최(성씨)|태원 최씨]](太原 崔氏) 최질라(崔秩羅, 1872. 4. 21 ~ 1959. 10. 2)[* 최익장(崔翼章)의 딸이다.] 사이의 6형제 중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경북고등학교|대구고등보통학교]]에 재학 중이던 1931년 11월에 항일정신을 고취하며 친일 [[교사|교유]](敎諭)에 대한 배척투쟁을 주도, 재학생 수백명이 단식투쟁으로 항거하자 주동자로서 강제로 퇴교당했다. 그후 1932년에 고향인 왜관면에서 [[이창기(1913)|이창기]]·[[이두석(1912년 5월)|이두석]]·[[박몽득]]과 함께 청년동지회(靑年同志會)를 조직하였고 이와 함께 독서회 명목으로 비밀결사한 성진회(惺進會)를 통하여 농촌계몽 및 한글강습 등의 항일활동을 전개했다. 그러던 중 이러한 활동이 일본 경찰에 발각됨으로써 그는 1938년 2월 19일 체포되었으며, 1939년 10월 25일 대구지방법원 검사국으로 이송되어 대구형무소에 구금되었다가[* 1940년 1월 20일부터 11월 18일까지 6차례에 걸쳐 구류갱신결정이 내려졌다.[[http://theme.archives.go.kr/next/indy/listkeywordSearch.do?page=1&listSize=10&flag=3&actionFlag=det&keyword=%ec%a0%95%ed%96%89%eb%8f%88&reKeyword=&owner=&organ=&sdate=19040101&edate=19451231&oldAddress=&momentDates=&sort=0&names=&crime=&depth11=&depth12=&ivl_cases=&retIvlRegion=&search_region=|#]]] 1941년 3월 7일 대구지방법원 검사국에서의 예심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면소]] [[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702&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1000&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판결을 받고]] 곧 석방되었다. [[8.15 광복]] 후 1947년 6월 재단법인 순심교육재단이 설립되었을 때 아버지 정재문과 함께 재정지원을 했고, 1950년 제5대 순심중학교 교장에 취임하였으며, 1952년 3월 순심고등학교가 설립되었을 때 순심고등학교 교장을 겸임하면서 이후 11년간 근무하였다. 1953년에는 인근 삼청리에 [[한센병]] 환자 복지시설을 건립하였고, 1964년에는 [[결손가정]] 및 빈곤 가정 청소년 교육을 위하여 왜관리에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51940&docId=2648027&categoryId=54709|명성고등공민학교]]를 설립하는 등 교육사업 및 복지사업에 헌신하였다.[[http://hansick.com/bbs/view.php?id=board&page=19&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name&desc=asc&no=498&PHPSESSID=a9530c7208201a7d89e9f7fe7a736df5|#]] 1977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이 수여되었으며,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수여되었다. 이후 2003년 8월 19일 서울특별시에서 별세하였다. 그의 유해는 2003년 8월 22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3묘역에 안장되었다. 그리고 고향 왜관읍 왜관리에 그의 사적을 기념하는 정행돈기념관[[https://naver.me/FWfYTUIP|네이버 지도]][[https://hdon.kr|네이버 블로그]]이 2016년 8월 개관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왜관읍 아곡리에 추모공원[[https://aejiri.tistory.com/entry/%EC%95%A0%EA%B5%AD%EC%A7%80%EC%82%AC-%EC%A0%95%ED%96%89%EB%8F%88%E9%84%AD%E8%A1%8C%E6%95%A6-%EA%B0%80%EC%A1%B1-%EC%B6%94%EB%AA%A8%EB%B9%84%EA%B2%BD%EB%B6%81%EC%99%9C%EA%B4%80|블로그 리뷰]]이 위치하고 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분류:경주 정씨]][[분류:칠곡군 출신 인물]][[분류:1912년 출생]][[분류:2003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