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사)] ---- [목차] [clearfix] 鄭沆 (1080 ~ 1136) == 개요 == 고려의 인물. [[동래|동래군]] 출신으로 자는 자림(子臨), 시호는 문안(文安)이다. == 생애 == 어려서부터 총명해 부친 정목의 사랑을 받는다. [[숙종(고려)|숙종]] 7년(1102) 4월 23세의 나이에 왕이 문덕전에서 본 복시에 2등으로 급제한다. 숙종 시기에 잠시 내시에 속했던 정항은 상주목의 사록, 장서기에 임명돼 외직으로 나간다. 상주 사람들은 처음에는 젊은 정항을 경시했는데 업무에서 판단을 잘 하니 모두가 탄복한다. 상주 사람들은 정항을 마찬가지로 사록을 지냈던 정극영, 한충에 견주며 2정1한(二鄭一韓)이라고 구분한다. 임기를 마친 정항은 [[예종(고려)|예종]]의 부름에 응해 내시로 돌아가며 한림원을 겸하면서 직사관, 직한림원, 신호위녹사 군기주부 등을 역임한다. 예종 11년(1116) 집주로 주사(奏事)를 관장하는데 정직하고 공평했다. 장작(주부), 대부주부, 권지합문지후를 역임한다. 한편 이 해에 [[북송]]에 보내는 표장을 짓고 [[이자량]] 등을 따라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한다. 북송에서 돌아온 뒤 예종 12년(1117) 우정언 지제고에 임명된다. 간관으로서 곧은 마음으로 논해 [[문벌귀족]]이라 할지라도 거리낌이 없었으니 전주통판의 외직으로 쫓겨나게 된다. 곧 다시 소환된 정항은 좌정언 지제고를 거쳐 우사간에 임명된다. 예종 재위 중 [[양광도]]와 [[충청도]]의 관찰사를 역임한다. [[인종(고려)|인종]]이 즉위한 뒤 외척 [[이자겸]]이 권세를 얻는다. 정항은 이자겸에게 아첨하지 않았고 전중내급사로 좌천된다. 좌천 뒤에 예부원외랑을 거쳐 지제고로 돌아오며, 인종 4년(1126) 여름 이자겸이 실각한 뒤에는 형부원외랑 권지승선, 예부낭중을 거쳐 승선에 오른다. 이후 승선[* 정항묘지명에 따르면 '우승선 예부시랑 한림시독학사 태자좌유덕'에 오른다.]으로서 인종 앞에서 여러 번 강론한다. 인종 10년(1132) 지공거 [[최자성]]의 선발로 사위 [[김이영(고려)|김이영]]이 진사로 급제하는데, 출제된 시제(試題)의 오류로 시험을 취소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게 된다. 정항은 환관에게 가서 과거가 취소되지 않게 힘써주기를 간청했고 결국 인종이 나서서 합격자들이 급제자 신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이듬해 인종 11년(1133)에는 본인이 지공거가 되어 성균시를 맡았고 그 다음해인 인종 12년(1134)에는 동지공거가 된다. 정항의 관직은 조산대부 좌승선 이부시랑, 국자좨주 한림학사 지제고 겸 태자좌유덕, 비서감 추밀원지주사 겸 태자좌서자로 올라갔으며 임시직이지만 국자감대사성에 오르기도 한다. 인종 14년(1136) 정항은 병에 걸려 어의관 2명에게 진찰을 받는다. 곧 위독해졌고 인종은 지추밀원사 예부상서 한림학사승지의 벼슬을 내렸는데 그 다음날인 11월 27일(음력) 57세의 나이로 죽는다. 인종은 조회를 중지하고 조문했으며, 정항의 집안에 모아둔 돈이 없었음을 듣고는 쌀 1백석, 포 2백필을 부의(賻儀)로 내리면서 문안의 시호도 함께 하사한다. 정항의 관은 [[개경]] 남쪽의 창신사(彰信寺) 남산 기슭에서 화장됐으며 남은 유해는 이듬해 송림산 남서쪽 언덕에 매장됐다. == 가족관계 == 정지원, 정문도, 섭대부경 정목은 모두 동래(東萊)에서 [[호장]](戶長)을 역임했다. 정항의 모친 고씨는 검교장작감(檢校將作監) 고익공(高益恭)의 딸로 상당군부인(上黨郡夫人)에 봉해진다. 큰형인 정제(鄭濟)는 입조(立朝)[* 벼슬에 오름]하기 전에 사망했고, 정점(鄭漸), 정택(鄭澤)은 문장(文章)과 재간(材幹)으로 조정에 명성이 자자했다 한다. 정점과 정택은 정항과 마찬가지로 57세로 죽었기에 정항의 묘지명에는 이를 기이하다라며 기록하고 있다. * 증조부: 정지원(鄭之遠) * 조부: 정문도(鄭文道) * 부: 정목(鄭穆) - 섭대부경(攝大府卿) * 모: 상당군부인(上黨郡夫人) 고씨[* 고익공(高益恭)의 딸] * 장남: 정제(鄭濟) * 차남: 정점(鄭漸) * 삼남: 정택(鄭澤) * '''본인: 정항''' 강릉 왕씨(江陵 王氏) [[왕국모]]의 딸과 혼인해 4남 3녀를 둔다. 세 아들은 모두 [[요절]]했고 막내 정사문(鄭嗣文)만이 남았다. 정사문은 후에 정서로 이름을 바꾼다. 장녀는 [[동주 최씨]] [[최유청]](崔惟淸)과 혼인해 동래군부인(東萊郡夫人)에 봉해지고 슬하에 7남 1녀를 두었다. 삼녀는 [[선평왕후]]의 동생 [[김이영(고려)|김이영]]과 혼인해 슬하에 1녀를 두었다. * '''본인: 정항''' * 부인: 강릉군부인(江陵郡夫人) 왕씨[* 강릉 왕씨(江陵 王氏) [[왕국모]]의 딸] * 아들: [[정서(고려)|정사문]] → 정서(鄭敍) * 며느리: 정안 임씨(定安 任氏)[* 현재는 장흥 임씨(長興 任氏). [[임원후]]의 딸] * 장녀: 동래군부인(東萊郡夫人) 정씨 * 사위: [[최유청]][* [[동주 최씨]]] * 차녀: 동래 정씨 * 사위: 이작승(李綽昇) - 내궁전고판관(內弓箭庫判官) * 삼녀: 동래 정씨 * 사위: [[김이영(고려)|김이영]][* 경주 또는 강릉 김씨로 추정] [[분류:고려의 인물]][[분류:동래 정씨]][[분류:1080년 출생]][[분류:1136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