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강서구(서울)의 버스회사)] [include(틀:강남구의 버스회사)] ||<-2><:> '''{{{+2 주식회사 정평운수}}}'''[br]株式會社 定平運輸[br]Jeongpyeong Transportation Co., Ltd. || || '''설립일''' ||[[2004년]] [[6월 18일]] || ||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 || '''대표자''' ||고배흥, 이호빈, 김효찬, 이현주 || || '''주요 주주''' ||'''고배흥: 14.51%'''[br]이호빈: 13.83%[br]김효찬: 10.00%[br]김기찬: 8.51%[br]{{{-2 (2022년 12월 31일 기준)}}} || || '''기업구분''' ||[[중소기업]] || ||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 || '''직원 수''' ||141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 || '''자본금''' ||3억원^^(2022년 기준)^^ || || '''매출액''' ||115억 2,927만 5,237원^^(2022년 기준)^^ || || '''영업이익''' ||1억 4,418만 8,719원^^(2022년 기준)^^ || || '''순이익''' ||1억 4,958만 4,408원^^(2022년 기준)^^ || || '''자산총액''' ||25억 1,028만 3,999원^^(2022년 기준)^^ || || '''부채총액''' ||14억 2,548만 2,421원^^(2022년 기준)^^ || || '''부채비율''' ||'''131.40%'''^^(2022년 기준)^^ || || '''소재지''' ||'''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개화동로]]8길 17 ([[개화동]] 663, [[강서공영차고지(서울)|강서공영차고지]])[br]'''구룡영업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헌릉로]] 870 ([[장지동(서울)|장지동]] 915, [[송파공영차고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정평8111.jpg|width=100%]] || [[파일:정평_2263.jpg|width=100%]] || || [[서울 버스 6642|'''{{{#fff 6642번}}}''']] || [[서울 버스 6645|'''{{{#fff 6645번}}}''']] || || [[파일:정평8117.jpg|width=100%]] || [[파일:정평4433번_그린시티개선형.png|width=100%]] || || [[서울 버스 6647|'''{{{#fff 6647번}}}''']] || [[서울 버스 4433|'''{{{#fff 4433번}}}''']] || 4권역과 6권역에서 [[지선버스(서울)|지선버스]]를 운행하는 전환 시내버스 회사. == 상세 ==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마을버스]] 업체인 구암교통, 마곡마을버스, 설경운수와 [[강남구]] 마을버스 업체인 구룡교통 이렇게 총 4개 업체가 연합해 2004년 6월에 설립됐다.[* 사실 강서구의 3개 마을버스 회사들은 [[김포교통]] 마을버스 사업부에서 분리된 업체였다. 김포교통이 마을버스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현재의 6642번인 구 강서구 2, 2-1번(가양마을버스 2번)은 구암교통(現.구암영업소), 현재의 6645번인 구 강서구 1, 1-1번(가양마을버스 1번)은 구암교통과 마곡마을버스(現.마곡영업소) 공동배차, 현재의 6647번인 구 강서구 7, 7-1번(방화마을버스)은 설경운수(現.설경(부일)영업소)로 분리되어 출범한 마을버스 회사들이다. 이래서인지 [[강서공영차고지(서울)|강서공영차고지]] 개장 이전에는 정평운수의 강서구 노선들이 김포교통 노선들과 인사하거나 김포교통의 본사인 방화동차고지 공동 사용과 공동 배차를 하는 등. 김포교통과도 교류를 계속 했다. 물론 강서공영차고지가 생기고, 개편전부터 근무한 기사들 대다수가 은퇴한 지금은 김포교통과의 접점이 사라지고 같은 차고지를 사용하는 [[공항버스(버스회사)|공항버스]]나 [[영인운수]], [[다모아자동차]], 강서구 지역 마을버스 회사들과 인사를 하며 다닌다. 특히 다모아자동차의 경우에는 옛 모기업인 김포교통의 출자와 더불어서 개편전 마을버스 시절도 그렇고 정평운수가 서울특별시 우수 시내버스 회사로 손꼽히게 되기까지 많은 도움을 줬으며, 지금도 졍평운수에서 잠시 근무하고 다모아자동차로 넘어가거나 반대로 다모아자동차에서 정평운수로 이직하는 기사들이 많기 때문에 매우 친하게 지내는 편.] 본사에는 구암영업소, 마곡영업소, 부일영업소가 있으며 구룡영업소[* [[광일운수]], [[포이운수]], [[개포운수]], [[새롬교통]]과 계열 관계에 있다.]는 [[송파공영차고지]]에 있다. 구암영업소가 6642번, 마곡영업소가 6645번, 부일영업소가 6647번, 구룡영업소가 4433번을 관리하는 방식인지라 '''사실상 서로 다른 시내버스 업체나 마찬가지다.'''[* 비슷한 사례로 인천 [[신동아교통]], [[성원운수]], [[성산여객]] 등 일부 [[지선버스(인천)|지선버스]] 컨소시엄 업체들과 [[주간선업체]]의 [[한국brt]]가 있다. 여기는 출자한 업체들이 한곳에서만 모여서 출자하지 않고 여기저기에서 관계도 어색한 다양한 업체들이 몰려와서 마구잡이로 출자해서 생긴 상황이다. 진관영업소, 도봉영업소, 송파영업소 다 남남으로 느끼는 것은 한국brt 또한 마찬가지이다. 그래도 정평운수에 비하면 각 영업소 간의 이질감은 덜한 편.] 하지만 단 한 곳만 독립해도 시내버스 조건인 차량 40대가 깨져버려서 전부 마을버스 업체로 돌아가야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한지붕 네가족(...) 체제를 유지하는 중. 마을버스 업체로 독립해서 자율성을 갖는 것보다는 차라리 서울시의 간섭을 받아도 상대적으로 더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데[* 마을버스는 환승할인 보조금 등의 정해진 지원금만 받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승객 수가 많아야 수익을 낼 수 있는 반면, 시내버스는 서울시에서 대개편 뒤, '''표준운송원가'''를 지급한다. 2017년 기준으로 '''1대당 1일 68만원'''을 받기 때문에, 대놓고 [[돈지랄]]을 하는게 아닌 이상 웬만해선 시내버스 업체가 망할 일이 없는 것. 마을버스 업체들이 다 폐선하겠다며 시위하는 이유도 결국 마을버스도 표준운송원가를 보장하라는 이유이고, 경기도의 일부 시내버스 업체들이 도에다가 준공영제를 요구하는 이유도 이 표준운송원가 때문이다. 참고로 이 표준운송원가 등의 수익 보장은 [[경기도 공공버스]]가 벤치마킹해 갔다.] 모든 영업소의 의견이 일치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일부 전환 시내버스 업체의 경우, 영업소 일부가 마을버스 업체로 독립해나가는 바람에 결국엔 공중분해되기도 했다. [[대운교통(서울)|대운교통]], [[금진교통]]이 그 사례로, 일부 영업소가 탈퇴하는 바람에 시내버스 인가 대수 40대 밑으로 떨어져 결국 마을버스 업체가 되어버린 것. 하지만 보유 대수가 40대를 넘는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자진해서 마을버스 업체로 전환해버린''' 경우도 당연히 존재하며 [[번창교통]]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태진운수]]도 여의도 순환노선들을 마을버스화시킨 후 [[태진마을버스]]라는 별도의 회사로 분리시켰다. 마을버스는 대개 단거리 위주인데 승객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수익이 크기 때문에, 서울시의 시내버스 표준운송원가 보다 오히려 더 남는 장사일 수도 있고 서울시의 간섭에서 상대적으로 더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 --다만 대형업체 같은 경우는 예외이다-- 실제로 [[서울 버스 강동01|강동01번]] 1개 노선만 운영하는 [[신명운수]]의 경우에도 2004년 개편 당시 타 지역 마을버스 업체와 연합해서 시내버스 전환업체 지위를 갖는걸 고려했지만, 강동구 관내에서 독점 구간이 많아 수익도 좋은데다 서울시의 간섭을 많이 받는게 영 내키지 않아서 그냥 마을버스 업체로 남았다고 회사 대표가 언급한 바 있다.] 저상버스는 물론 대형 차량 자체를 아예 출고하지 않던 회사였으나 2017년 6월 29일에 '''전환시내버스 업체 최초'''로 [[저상버스]]를 첫 도입했다. 초기에는 [[서울 버스 6642|6642번]]에 시범 투입해 [[http://m.dcinside.com/view.php?id=bus&no=1273354|운행]]하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6643번의 폐선과 동시에[* 이 과정에서 6642번과 6645번의 노선 및 인가댓수 변경이 있었다.] [[서울 버스 6645|6645번]]으로 이동하며 정식 운행을 개시했다. 이후 6645번에 2019년식 개선형 저상을 투입한 뒤 한동안 저상버스 출고소식이 없었지만, 2022년에 '''전환 시내버스 업체 최초'''로 일렉시티 FCEV를 1대 출고하면서 다시 6642번에 저상버스를 투입했다. 또 상사마을 도로폭 문제로 저상버스는 물론 대형차량 자체가 투입 불가능했던 6647번에도 2023년 6월 중형 전기 저상버스인 E-STAR 8이 도입됐다. 2023년 9월, 6645번에도 일렉시티 FCEV가 투입됐다.[* 여담이지만 전환 시내버스 업체 중 최초로 대형차를 도입한 회사는 [[원버스]]이며 저상버스는 정평운수가 도입한 이후 [[보광운수]]도 얼마 안가 도입했다. 물론 아예 일반업체로 승격한 [[양천운수]]까지 포함하면 2번째가 된다. 이제는 대형차가 아예 없던 [[성원여객(서울)|성원여객]]까지 도입했기 때문에 모든 전환업체들이 대형차를 보유한다. 단, 대형 고상버스는 정평운수만이 유일하게 보유하고 있지 않다.] 아무래도 마을버스 시절부터 오늘날까지 열악한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가 여전히 잦은 다른 전환업체에 비해 평평하고 포장이 잘 된 큰길을 달리는 노선이 많다보니 대형차나 저상버스 도입이 수월한 정평운수 노선의 특성 때문인듯. 정평운수의 첫 저상버스는 6642번에 투입되었으나 6643번 폐선 및 6645번 변경의 영향으로 6645번으로 이동하였다.[* 정평운수의 마지막 고상 신차는 2021년식이며, 6642번과 6647번에 각각 1대씩 존재한다. 6645번은 2010년대 중후반, 저상버스를 진작에 투입했지만, 2019년 다시 고상 차량을 뽑기도 했다. 이후 한동안 신차소식이 없었다가 2023년부터 대형 일렉시티를 출고한다.] 해당 업체에서 4433번만이 저상버스 의무화 예외 노선으로 인정받았다. 강남구 마을버스의 영향을 받은 4433번은 4권역 마을버스처럼 중문 뒤 1인석 위주로 되어 있으며, 강서공영차고지를 이용하는 6642번, 6645번, 6647번은 중문 뒤 2인석 위주로 되어 있다. 그린시티는 2017년 이후에도 스펀지 시트가 기본이나, 6645번에 로우백 시트가 장착된 그린시티가 1대 있다. 취소분인 듯. 서울 시내버스에서 마지막으로 BS090 F/L를 굴렸으며 2023년 11월 말에 서울 시내버스에서의 팬더 차량과 이 회사의 자일대우버스는 전멸했다. 2023년 6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최초의 [[범한자동차 E-STAR|E-STAR 8]]을 2대 출고했다. 여담으로, 공용 예비차량이 없다. 평소에는 차량점검, 관리를 잘하는 편이지만, 예비차가 없어서인지 [[https://blog.naver.com/owen0418/223269952089|사고 차량을 땜빵해서 운행]]하다가 주말에 감차때 수리하거나, 타 노선 차량으로 돌려막기를 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다. 4433번을 담당하는 구룡영업소는 마을버스 회사와 계열 관계이다보니 이 노선도 마을버스 체제로 노선이 운영되기 때문에 차량 관리 실력이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니며 승무원 처우도 영 좋지가 않아 점심시간에는 마을버스 기사처럼 외부 식당을 방문하거나 노상에서 도시락을 포장해서 식사를 해결하는 경우가 많다. 이래서인지 시내버스 노선치고는 구룡영업소 소속 승무원의 근속연수가 상당히 짧아 기사모집 포스터를 상시 부착할 정도로 마을버스 분위기를 제대로 풍긴다. 반대로 강서구 노선들은 강서공영차고지를 이용하는데다가 모든 노선이 공차회송없이 강서공영차고지([[개화역광역환승센터]] 정류장)에서 발착하고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마을버스 시절에 달리던 굴곡이 심하고 불량한 선형을 대부분 직선화시켰기 때문에 큰길을 달리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웬만한 지선버스나 선형이 별로인 몇몇 간선버스 노선보다도 선형이 훨씬 좋다. 차량 관리 또한, 강서공영차고지를 총괄하는 중심업체이자, 차량관리를 매우 잘하기로 유명한 업체인 [[다모아자동차]]에 차량 정비를 위탁하기 때문에 차량 상태가 매우 우수하다.[* 강서공영차고지에 입주한 회사들은 소속된 자사 차량을 웬만해선 다모아자동차에게 정비를 위탁한다. 이 회사 외에도 [[공항리무진(버스회사)|공항리무진]]이나 [[공항버스(버스회사)|공항버스]], 기타 강서구 및 양천구 마을버스 업체들 나머지의 차량도 각각의 대표가 다모아자동차에게 정비를 위탁했기 때문에 강서공영차고지의 모든 소속 차량들은 공항버스나 시내버스, 마을버스 모두 다 다모아자동차에게 차량 정비를 위탁해서 다모아자동차 측 정비사들이 대신 정비해주고 있다. 그 밖에도 [[영인운수]]나 [[김포교통]]도 차량의 문제가 심각할 경우, 가끔씩 다모아자동차에게 정비를 도움받고 있다. 특히 영인운수의 경우에는 [[외발산동 버스 차고지 방화사건]] 때문에 당분간 신세를 지곤 했다.] 또한 다모아자동차의 영향을 받아 친절한 기사가 꽤 있다.[* 강서공영차고지로 이전하기 전인 2010년 이전에는 다모아자동차와 전혀 인연이 없었기 때문에 마을버스 성격이 그대로 남아있어 차량 관리 상태도 엉망인데다, 난폭운전이나 불친절까지 겹치며 한때 서울특별시에서 가장 악명높은 시내버스 회사중 하나였다. 강서공영차고지로 이전한 뒤에는 다모아자동차의 영향을 받으며 현재는 서울특별시 우수 시내버스 업체중 하나로 손꼽힐 정도로 엄청나게 성장했다.]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까지는 코스모스를 주로 출고했으나, 2003년경 코스모스가 단종되자 대우 BS090으로 전향했고, 2010~11년에 뽑은 대우 신차가 결함등 문제를 일으키자 그 이후 대우와의 인연을 접고 현대로 전향하며 이후 현대차의 3대 도시형버스[* 그린시티, 뉴슈퍼에어로시티(저상), 일렉시티 등] 차종을 모두 보유하게 되었다. 2023년 6647번의 저상버스로 중국산 중형 전기버스 4대를 출고했지만[* 6647번 4대 모두 앞서 언급한 10~11년식 대우버스 대차분이다. 나머지 9대는 당연히 현대차량인 그린시티이다.][* 원래 정평운수는 저상버스도 현대차량인 NSAC나 일렉시티를 뽑았으나, 6647번은 대형버스 투입이 불가능하므로 부득이하게 중국산 중형 전기버스를 투입하게 되었다. 다만 현대에도 중형 전기버스인 일렉시티 타운이 있는데 왜 품질이 좋지 않은 중국산 차량을 투입하는지에 대한 의혹도 있다.]이들을 제외하면 여전히 모든 차량이 현대차량이다. 여러가지 최초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2017년 전환시내버스 업체 최초 저상버스 투입, 2022년 전환시내버스 업체 최초 수소버스 투입 등등] == 면허 체계 == * 서울 70 사 '''8103 ~ 8160'''호 * [[강서구(서울)|강서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 증차 면허. * 서울 71 사 '''2211 ~ 2213, 2262 ~ 2263, 2265 ~ 2266, 2292'''호 * [[강서구(서울)|강서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 증차 면허. * 서울 75 사 '''5330 ~ 5331'''호 * 정평운수 증차 면허. * 서울 75 사 '''8101 ~ 8102, 8104, 8106 ~ 8107, 8111 ~ 8124'''호 * [[강서구(서울)|강서구]] 소재 마을버스 회사 증차 면허. === 타 회사 출신 면허 === * 서울 70 사 9372, 9421 ~ 9424호 * 강남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 증차 면허. 정확히는 구룡교통 면허다. * 서울 75 사 3284, 3286, 3353호 * 구룡교통 면허. == 운행 노선 == >__밑줄__ 표기 구간은 '''양방향이 동시에 경유하는 구간'''이다. 이 구간에서는 버스 행선판으로 목적지를 확인한 후 이용해야 한다. === 개화본사 소속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 '''[[서울 버스 6642|{{{#5bb025 6642}}}]]''' ||<|3> [[개화역광역환승센터|개화역 환승센터]] || (→ 방화중학교 →/ ← 롯데몰.[[김포공항역]] ← ) - 강서면허시험장 - [[마곡나루역]] - [[양천향교역]] → 등촌주공4단지 → 서울서진학교 → __가양2단지__ → [[양천향교역]] → [[발산역]] → [[우장산역]] → 강서구청 → [[가양역]] → 가양9단지 → [[증미역]] → 가양2동강변아파트 → __가양2단지__ → [[양천향교역]] ||<|2> 가양주공 || 10 ~ 15 || || '''[[서울 버스 6645|{{{#5bb025 6645}}}]]''' || (→ 방화중학교 →/ ← 롯데몰.[[김포공항역]] ← ) - [[송정역(서울)|송정역]] - [[마곡나루역]] - [[발산역]] → 등촌6단지 → 가양5단지 → [[증미역]] → 가양9단지 → [[가양역]] → 강서구청 → [[우장산역]] → [[발산역]] → [[양천향교역]] → 가양2단지 → 가양4단지 → 등촌6단지 → 등촌5단지 → [[발산역]] || 9 ~ 20 || || '''[[서울 버스 6647|{{{#5bb025 6647}}}]]''' || __상사마을__ - (→ 방화초등학교 →) [[개화산역]] - [[공항시장역]] - (← [[신방화역]] ← 서남환경공원 ← [[신방화역]] ←) - [[송정역(서울)|송정역]] - 공항동송정중학교 - (← 강서농산물시장 ←) || 강서면허시험장 || 8 ~ 15 || === 구룡영업소 소속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 '''[[서울 버스 4433|{{{#5bb025 4433}}}]]''' || [[대치역]] || [[개포동역]] - 개포도서관 - [[개포고등학교]] - 포이사거리 - [[매봉역]] || [[양재역]] || 6~11 || == 과거 보유 노선 == * [[서울 버스 4426]](개포동 - 양재역): 구 10-1. 이 노선에서 4433이 파생되기 전 까지는 나름 가축수송을 했으나, 2대가 4433으로 나간 후 6대로는 수요가 좋지 않았는지 나중에는 '''35분''' 간격으로 운행하다가--물론 신설 당시의 4433번은 55분이었다.-- 결국 2013년 3월 19일에 4433번으로 흡수. * [[서울 버스 6643]](증미역 - 증미역): 2017년 8월 5일부로 6642번으로 통합. * 서울 버스 6644(가양9단지 - 가양9단지): 2008년 7월 5일부로 6642번으로 통합. * 서울 버스 6646(경남/길훈아파트 - 방화역): 6647번으로 통합. == 보유 차량 == === 현재 보유 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일렉시티|현대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 ==== [[범한자동차]] ==== * [[범한자동차 E-STAR|범한자동차 E-STAR 8 전기버스]] === 과거 보유 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에어로타운|현대 에어로타운 디젤]] * [[현대 그린시티|현대 글로벌900 천연가스버스]] * [[현대 그린시티|현대 글로벌900 F/L 천연가스버스]] ==== [[기아]] ==== * [[기아 코스모스|기아 AM818 코스모스 디젤]] * [[기아 코스모스|기아 AM828 뉴 코스모스 디젤]] * [[기아 코스모스|기아 KM828 뉴 코스모스 디젤]] ==== [[자일대우버스]] ==== * [[대우버스 BM090|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F/L 천연가스버스]] == 지배구조 == 2022년 12월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김진만 || 17.66%|| 사내이사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고배흥 || 14.51%|| 각자대표이사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이호빈 || 13.83%|| 각자대표이사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성시영 || 13.83%|| 사내이사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오영길 || 13.15%|| 사외이사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김효찬 || 10.00%|| 각자대표이사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김기찬 || 8.51%|| [* 전 각자대표이사]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변서연 || 8.51%|| ||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include(틀:정평운수 구룡영업소 계열사)] [[분류: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회사]] [[분류:서울 강서구의 교통]] [[분류:서울 강남구의 교통]] [[분류:2004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