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정치화}}}'''[br]'''鄭致化'''}}}}}} || || '''창씨명''' ||다이손 치카(乃尊致化)[* 원래 성씨인 '''[[鄭]]'''을 [[파자]]해 [[奠]]과 ⻏로 보고, ⻏을 [[乃]], 奠을 [[尊]]으로 정해서 [[창씨개명]]한 듯하다.] || || '''초명''' ||정치열(鄭致烈) || || '''자''' ||예중(禮重) || || '''본관''' ||[[연일 정씨]][* 생원공파(生員公派)-호군공계(護軍公系) 26대 '''치(致)''' 환(煥) 항렬.] || ||<|2> '''출생''' ||[[1867년]][* 영일정씨세보 권9 883쪽에는 1868년생으로 등재돼 있다.] [[7월 8일]] || ||[[경상도]] [[영천시|영천군]] [[자양면]] 월연동[br](현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용산리[* 인근의 삼귀리와 함께 [[연일 정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정치석]]·[[정치우]]도 이 마을 출신이다.] 월연마을 947번지) || || '''사망''' ||[[1942년]] [[9월 24일]][* [[음력]] [[8월 14일]].] (향년 75세) || || '''묘소'''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보현리 기룡산 || || '''상훈''' ||대통령표창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16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독립유공자]] [[정치석]]·[[정치우]] 형제는 8촌 삼종제(三從弟)이다. == 생애 == 1867년 7월 8일 경상도 영천군 자양면 월연동(현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 용산리 월연마을 947번지)에서 아버지 정유보(鄭裕保, 1828. 10. 5 ~ 1875. 6. 21)[* 자는 치성(置成).]와 어머니 [[이(성씨)|순천 이씨]](順天 李氏, 1844. 9. 20 ~ ?)[* 이호인(李浩仁)의 딸이다.] 사이에서 4남 1녀 중 셋째 아들로 [[https://m.cafe.daum.net/samhj2/83CI/105?|태어났다]]. 1905년 일제에 의해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된 후 1906년 경상북도 영천군에서 12촌 지간의 족형(族兄)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9548|정환직]](鄭煥直), 13촌 지간의 족질(族姪)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9321|정용기]](鄭鏞基) 부자가 산남의진(山南義陣)을 조직할 때 여러 차례 왕래하며 협조하였다. 정치화는 영천군 지방의 통모자(通謀者)로서 활약했으며, 특히 거사 초기에 의진과 영천군 지역을 여러 차례 왕래하면서 계획을 전달하였고, 군수물자 모집 및 모병에 공헌을 했다. 이후 산남의진이 해산되자 은거하다가 1942년 9월 24일 별세하였다. 2016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유해는 영천시 자양면 보현리 기룡산 아래에 안장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연일 정씨]][[분류:영천시 출신 인물]][[분류:1867년 출생]][[분류:1942년 사망]][[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