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정창원 신라 유기그릇1.jpg]] [목차] == 개요 == 8세기 [[통일신라]]에서 [[일본]]으로 수출한 [[유기(금속)|유기그릇]] 86세트 총 436점. 현재 모두가 일본 [[정창원]]에 소장되었다. == 내용 == [[파일:정창원 신라 유기그릇2.jpg]] [[파일:정창원 신라 유기그릇3.jpg]] 8세기에 [[통일신라]]에서 만들어 일본으로 건너간 유기그릇 총 86세트 436점으로, 좌파리가반(佐波理加盤)이라 부른다. '좌파리(佐波理)'의 일본 독음은 '사하리'인데, 이는 [[유기(금속)|유기]]를 의미하는 신라어 'ᄉᆞᆸ라'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즉 'ᄉᆞᆸ라 → 사푸라 -(와전)→ [[순음퇴화|사파리 > 사화리 > 사하리]]'. [[http://db.history.go.kr/item/level.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pre_page=1&setId=-1&prevPage=0&prevLimit=&itemId=kn&types=&synonym=off&chinessChar=on&brokerPagingInfo=&levelId=kn_074_0070_0020&position=-1|#]] 당시 [[일본]]이 수입해간 본 유기그릇을 비롯한 [[정창원 신라 숟가락]], [[정창원 신라 유기접시]] 등의 신라 물품들은 일본 상류층 [[귀족]] 문화의 상징이었다. [[파일:정창원 신라 유기그릇8.jpg]] [[파일:정창원 신라 유기그릇9.jpg]] 정창원에 소장된 신라산 유기 그릇 86세트, 총 436점은 크게 주발(대접)과 가반, 두 형태로 나뉜다. 주발, 즉 대접 형태는 일반 그릇처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게 디자인되었다. 가반 형태는 현대의 등산용 코펠이나 승려들이 사용하는 [[발우공양|발우]]처럼 크기가 조금씩 다른 그릇 여러 개를 포개어 집어넣고 뚜껑을 덮어놓은 것으로, 식사할 때 펼쳐놓고 사용한 후 간단히 다시 하나의 합으로 포개어 들고 다니기 편하게 만든 기능성 식기이다. 그릇의 바닥에는 사용자의 복을 바라는 당시 신라인들의 덕담이 있다. [[파일:신라 유기그릇.jpg]] 1933년 총 436점에 이르는 신라 유기그릇 중 하나에서 [[제2신라문서]]가 발견되었다. [[파일:정창원 신라 유기그릇4.jpg]] [[파일:정창원 신라 유기그릇5.jpg]] [[파일:정창원 신라 유기그릇6.jpg]] [[파일:정창원 신라 유기그릇7.jpg]] 8세기 신라는 유기 제작을 전담하는 관서인 철유전(鐵鍮典)을 설치하여 합금 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오게 되었고 [[동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최고품질의 유기 제품을 양산하며 [[중동]]과 [[아시아]] 지역 국제 시장을 석권했다. 이 436점의 신라산 유기그릇은 당시 고도로 발달했던 신라 유기제작 기술을 보여준다. [[파일:정창원 신라 숟가락7.jpg]] [[안압지]]에서도 신라 유기그릇 약 100여 점이 발굴되었는데, 정창원에 소장된 이 유기그릇들과 형태 및 양식이 동일하여 8세기 신라와 일본의 활발한 교류를 증명한다 [[파일:정창원 신라 유기그릇10.jpg]] [[파일:정창원 신라 유기그릇11.jpg]] [[파일:정창원 신라 유기그릇12.jpg]] [[https://ehddu.tistory.com/2127|사진 출처 : 나라국립박물관奈良国立博物館1 : 정창원전正倉院展]] == 외부 링크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40367&cid=60295&categoryId=60295|전통 속에 살아 숨 쉬는 첨단 과학 이야기: 우리 민족의 신기술 '유기']] * [[https://blog.naver.com/knightblack/10096777568|메이드 인 신라(Made In Shila)에 매료된 일본]] [[분류:신라의 공예]][[분류:해외 소재 문화재]][[분류:쇼소인 소장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