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정진원}}}'''[br]'''丁進源'''}}}}}} || ||<|2> '''출생''' ||[[1868년]] [[2월 1일]] || ||[[평안도]] [[덕천군]] 금성면 연당리[* 구한말 덕천군 금성면 연당리 →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덕천군 성양면 연당리 → 1952년 [[군면리 대폐합]], 덕천군 연당리 → 1982년 평안남도 덕천시 남양리.][br](현 [[평안남도]] [[덕천시]] 남양리) || || '''사망''' ||[[1943년]] [[1월 17일]] || || '''본관''' ||[[나주 정씨(丁)|나주 정씨]] (羅州 丁氏)[* 덕천파(德川派) 29세 '''○원(源)''' 항렬] ||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정진원은 1868년 2월 1일 평안도 덕천군 금성면 연당리(현 평안남도 덕천시 남양리)에서 태어났다. 이후 [[경상북도]] [[영주시|영주군]] [[풍기읍|풍기면]](현 [[영주시]] [[풍기읍]]) 금계리로 이주하여 본적을 두었다. 1904년 말에 한학자였던 그는 덕천군 지역에 유학자들을 중심으로 하는 일종의 의병 공동체인 종유계(宗儒契)를 조직하여 항일투쟁에 호응하고, 당시 평안도 지방의 종유계가 일제의 앞잡이 [[일진회]]를 타파하려는 계획에 동참하였다. 이후 의병장 [[유인석]] 휘하에 들어가 활동하기도 하였으며, [[경술국치]] 후 1919년 [[3.1 운동]] 일어나자 덕천군에서 만세운동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1920년에는 이윤실(李潤實)·[[정계록]]·[[정붕익]](丁鵬翼) 등과 함께 다수 청년들을 규합하여 [[중화민국]] [[봉천성]] 동변도(東邊道) [[퉁화시|통화현]](通化縣) 삼원보(三源堡)[* 현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퉁화시]] 류허현(柳河縣) 싼위앤푸조선족진(三源浦朝鮮族鎭).]에 본부를 둔 대한독립단 단장 [[조맹선]]과 연락을 통해 덕천지단(德川支團)을 조직하고 총무에 취임하여 군자금 모집 및 독립사상 고취에 주력하였다. 한편, 그는 진명단(盡命團)이라는 단체를 조직하고 덕천면 덕주령(德州嶺)에서 우편차를 습격, 우편차를 호송하던 일본 경찰을 사살하고 군자금을 확보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인근 각 지단과 연락하여 덕천을 비롯한 [[맹산군]]·[[영원군]]의 일본 경찰주재소를 일시에 폭파하고자 하다가 1921년 6월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으며, 1921년 10월 26일 평양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및 은닉 혐의로 징역 4년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이에 공소하여 1922년 2월 23일 평양복심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및 [[다이쇼]] 8년(1919) 제령 제7호 위반·강도 등의 혐의로 징역 3년 23일형을 [[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855&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07932&actionType=det&flag=2&search_region=|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에는 조용히 지내다가 1943년 1월 17일 별세하였다. 1977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이 추서되었으며,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덕천시 출신 인물]][[분류:나주 정씨(丁)]][[분류:1868년 출생]][[분류:1943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