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아나운서, other2=쇼트트랙 선수, other3=포드코리아 전 사장, rd1=정재희(아나운서), rd2=정재희(쇼트트랙), rd3=정재희(1960))] [include(틀:포항 스틸러스/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정재희의 수상 이력'''}}}}}} || || {{{#!folding ▼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K리그2|[[파일:K리그2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67ac; font-size: 0.9em" [[K리그 대상#s-4.2|{{{#ffffff '''2019 K리그2 도움왕'''}}}]]}}} || [[FA컵(대한민국)|[[파일:하나은행 FA컵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04297; font-size: 0.9em" [[FA컵(대한민국)#s-9.3|{{{#f7c626 '''2021 FA컵 MVP'''}}}]]}}}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재희포항24.png|width=100%]]}}} || ||<-3> '''포항 스틸러스 No. 27''' || ||<-3> '''{{{+1 정재희}}}[br]鄭在熙 | Jeong Jae-hee''' || ||<|2> '''출생''' ||[[1994년]] [[4월 28일]] ([age(1994-04-28)]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포지션''' ||[[윙어]], [[공격형 미드필더]] || || '''신체''' ||[[키(신체)|키]] 174cm / [[체중]] 70kg || || '''학력''' ||[[서울시흥초등학교]] (2001~2006)[br][[광명중학교]] (2007~2008)[br] [[신림중학교(서울)|신림중학교]] (2009) [br][[영등포공업고등학교]] (2010~2012)[br][[상지대학교]] (2013~2015, 중퇴) || || '''소속''' ||[[FC 안양]] (2016~2018) [br] '''[[전남 드래곤즈]] (2019~2021)'''[br]→ '''[[상주 상무|상주-김천 상무 FC]] (2020~2021 '''/ ^^군 복무^^) [br] '''[[포항 스틸러스]] (2022~)''' || || '''SNS''' ||[[https://instagram.com/jeong.jh_|[[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축구선수]]로 [[포항 스틸러스]] 소속이다. == 클럽 경력 == === 프로 데뷔 전 === [[영등포공고]]에서 [[노수진]] 감독의 지도 아래 동기 [[김동수(1995)|김동수]], 1년 후배 [[박인혁]]과 함께 두각을 나타냈다. [[상지대학교]] 재학 시절 [[U리그]]에서 데뷔전 데뷔골을 넣는 등 1학년 때부터 주전으로 활약하며 프로 팀들의 관심을 받았다. === [[FC 안양]] === ==== 2016 시즌 ==== 대학을 중퇴하고 신인 자유 계약으로 입단했다. 대표적인 장점인 빠른 스피드가 프로에서도 두각을 나타내며 데뷔 시즌부터 성공적으로 적응했고 14라운드 [[부산 아이파크]]전에서 프로 데뷔골을 넣었다. [[http://www.footballjournal.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16|#]] 신인인데도 거의 모든 경기에 출전하면서 주전으로 뛰었고 36경기 3골 1도움을 기록했다. ==== 2017 시즌 ==== 시즌 개막 후 4경기 연속 골을 기록하며 핵심 공격 자원으로 자리잡았다. 7월까지 6골을 넣으며 득점왕 경쟁에 뛰어들었으나 이후 계속 침묵했다. 9월에 멀티골을 넣으며 반등의 여지를 보여 줬으나 득점 선두인 [[말컹]]은 이미 20골 이상 득점한 후였기에 득점왕에서는 멀어졌다. 2017 시즌 35경기 8골 5도움을 기록했고 [[K리그 챌린지]] 베스트 11 후보에도 올랐지만 수상은 실패했다. ==== 2018 시즌 ==== 2018 시즌 부주장으로 선임되었고 윙어의 상징인 등번호 11번을 받았다. 하지만 슬럼프에 빠져 공격 포인트를 생산하지 못했고 26라운드 [[부천 FC 1995|부천]]전에서 시즌 첫 골을 기록했다. 2018 시즌 최종 기록은 30경기 1골 1도움. === [[전남 드래곤즈]] === [[파일:20160178.png|width=400]] 2019년, 안양과의 계약이 만료된 후 자유 계약으로 [[전남 드래곤즈]]에 입단했다. ==== [[전남 드래곤즈/2019년|2019 시즌]] ==== 시즌 초반에는 좋은 기록에도 불구하고 파비아노 감독의 이해할 수 없는 선수 기용에 외면받다가 [[전경준]] 감독 대행 체제에서 후 다시 중용받기 시작했다. 리그 도움 선두를 달리면서 전남의 후반기 상승세를 주도하고 있다. 2019 시즌 29경기 5골 10도움을 기록하며 도움왕을 수상했다. ==== [[전남 드래곤즈/2020년|2020 시즌]] ==== [[경남 FC]]와의 리그 개막전에서 후반 시작과 동시에 [[이후권]]과 교체 투입되어 시즌 첫 출전을 기록했다. 이후 2, 3라운드에서도 모두 후반전에 교체 출전했다. ==== [[김천 상무|상주 상무 / 김천 상무]] ==== [[파일:2021정재희.png]] 그러다가 2020년 5월 25일, [[상무 축구단]] 입대가 확정되었다. FA컵 16강 [[포항 스틸러스]]전에서 동기 [[허용준]]의 도움으로 동점골을 넣으며 상무 데뷔골을 넣었고, 이후 PK를 유도하며 허용준의 데뷔골에 기여했다. 팀은 2:2 무승부로 정규 시간을 마쳤으나, 연장전 [[박병현(1993)|박병현]]의 자책골로 아쉽게 탈락. 리그 18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전에서 [[문선민]]의 어시스트를 받아 골을 넣으며 3:1을 만들었다. 21라운드 광주전에서 이근호의 슈팅을 골문 앞에서 밀어넣어 극장 결승골을 터트렸다. 22라운드 포항전에서 오현규의 크로스를 머리로 밀어넣어 동점골을 기록했다.[* 이 골은 K리그1 데뷔골이었다.] 2021년 3월 28일자 [[대한축구협회 FA컵]] 2라운드 [[평택 시티즌 FC]]전에서 골을 기록하며 팀의 8-0 대승에 기여했다. [[K리그2]] 16라운드 [[경남 FC]] 원정에서는 90분에 [[허용준]]의 침투패스를 극적인 골로 연결지으며 팀의 1:2 마수걸이 승리를 완성시켰다. 여름 이적시장에서 [[이석현(축구선수)|이석현]]이 소집해제 후 포항에서 전남으로 이적하자, 정재희가 전역 후 이석현과 트레이드 되어 포항으로 합류한다는 루머가 돌았다. 2021년 7월 3일자 리그 19라운드 [[대전 하나 시티즌]] 원정경기에서 60분에 멋진 중거리슛으로 동점골을 넣으면서 1 : 4 역전승에 기여하였다. 리그 28라운드 [[서울 이랜드]] 전에서는 후반 13분에 오른쪽 측면에서 몸기술로 수비수 2명을 제치고 시도한 감아차기가 제대로 먹혀들어가며 팀의 추가골을 뽑아냈다. 같은해 9월 26일의 리그 31라운드 [[대전 하나 시티즌]]과의 리매치에서는 전반 6분만에 수비벽을 넘겨 크로스바 바로 아래를 꿰뚫는 프리킥으로 선제골을 챙겨왔다. 2021시즌 김천에서 리그와 FA컵을 합쳐 27경기 출전 5골 4도움의 준수한 활약을 펼쳐 팀의 우승을 공헌한 뒤 전역했으며, 정규시즌 종료 후 [[K리그 대상|K리그 어워드 2021]]의 [[K리그2]] BEST XI 미드필더 부문 후보로 선정되었다. ==== [[전남 드래곤즈/2021년|2021 시즌]] ==== [[파일:20160178124.png|width=400]] 2021년 11월 27일에 김천에서 전역했고, 루머와는 달리 포항이 아닌 전남으로 복귀하였으며, 등번호는 77번을 배정받았다. [[K리그2]]는 리그가 종료되었기에 리그에서는 출장을 하지 못하였고, 만일 경기에 출전하게 된다면 [[대구 FC]]와의 [[FA컵(대한민국)/2021년/결승|FA컵 결승 2차전]]이 전남에서의 시즌 처음이자 마지막 경기가 되겠지만, 팀에 합류한지 얼마 안된 터라 경기에 나설지는 불명이었다. [youtube(qNBYpXbqRKM)] 하지만 전경준 감독이 이날 경기에서 과감하게 정재희를 우측 윙백으로 선발 출장시켰고, 90분 동안 풀타임을 소화하면서 왕성한 활동량과 엄청난 경기력을 선보였고, 후반 37분에 극적인 결승골을 성공시켰으며, 이 골 덕에 전남은 3:4로 승리해 FA컵 우승과 차기시즌 [[AFC 챔피언스 리그]] 진출을 확정지었다. [[파일:2021121201000741900045391.jpg|width=500]] 이날 경기 엄청난 활약을 인정받아 FA컵 MVP에 선정되었다. 2021년 정재희는 김천에서 리그 우승을 경험하고 전남으로 돌아와 또다시 FA컵 우승을 하며, 2021년에 국내에서 유일하게 두 팀에서 더블을 한 선수가 되었으며, 그야말로 선수 인생에 있어서 최고의 한 해를 보냈다.[[https://n.news.naver.com/sports/kfootball/article/311/0001384080|#]] 그러나, 시즌이 끝나고 지난 여름 돌았던 포항 이적설이 진하게 돌고 있다. 기자들 이야기에 따르면 이미 여름에 이석현을 전남에 보내는 조건으로 포항과의 이적 협상은 마무리가 되어있었다고 한다. === [[포항 스틸러스]] === 2022년 1월 1일, [[K리그1]]의 [[포항 스틸러스]]는 정재희 영입을 공식발표했다. ==== [[포항 스틸러스/2022년|2022 시즌]] ==== 등번호 27번을 배정 받았다. 2월 20일,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원정 개막전에서 54분에 [[이광혁]]과 교체투입되며 포항 데뷔전을 가졌다. 역습 상황에서 장점을 발휘하며 도움 1개를 기록했고, 팀의 3:0 승리에 기여하였다. 3월 2일, 3라운드 [[전북 현대 모터스]] 원정에서 이적 후 처음으로 선발 출전했다. 강한 압박으로 상대 수비진을 견제하고 뛰어난 드리블 돌파를 연신 선보이며 포항 선수단에서 가장 눈에 띄는 활약을 보여줬고, 73분에 [[박승욱(축구선수)|박승욱]]의 롱패스를 멋진 퍼스트 터치로 받아 [[송범근]]의 태클을 여유롭게 피한 뒤 빈 골대에 그대로 꽂아넣으며 포항에서의 데뷔골이자 결승골을 만들어내는 미친 활약을 보여주었다. 정재희의 골로 팀은 1:0으로 승리했고, K리그1 3라운드 경기 MVP로 선정되었다. --이 정도면 무서운 기동매직-- 4월 27일, [[하나은행 FA컵]] 3R [[김해시청 축구단]]과의 경기에서 한 달 만에 골맛을 보았다. 그것도 멀티골을 만들어 내면서 팀의 5:0 승리에 기여하였다. 5월 21일, 14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홈경기에서 멀티골을 넣으면서 팀의 2:0 승리에 기여하였다. K리그1 14라운드 MVP로 선정되었다. 5월 29일, 15라운드 [[대구 FC]]와의 원정경기에서 후반전 시작이전 교체투입 하였고, 48분 [[임상협]]의 크로스를 받은 이후 왼발슛으로 역전골을 만들어냈다. 7월 16일, 22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홈경기에서 후반전 53분 [[허용준]]과 교체투입되어 77분 동점골을 만들어냈고, 팀은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8월 29일, [[AFC 챔피언스 리그]] 4강 진출로 연기되었던 23라운드 [[전북 현대]]와의 원정경기에서 후반전 49분 팀의 추가골을 만들어 냈으나, 팀은 아쉽게 2:2 무승부를 기록하였다. 9월 3일, 29라운드 [[대구 FC]]와의 홈경기에서 전반전 24분 멋진 중거리슛으로 팀의 4:1 대승에 기여했다. 2022시즌 포항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을 합쳐 40경기 출전, 9골 3도움 ==== [[포항 스틸러스/2023년|2023 시즌]] ==== 1라운드 [[대구 FC]]전에서 0:1로 끌려가던 전반 45분 [[제카(축구선수)|제카]]의 잘 찔러준 어시스트를 받아 크로스바를 찍고 골문 안 잔디에 떨어지는 골을 만들어냈다. 처음에는 주심이 골로 인정하지 않았으나, 이후 진행된 VAR에서 골로 인정받았다. 팀은 이후 페널티킥으로 한 골 더 실점해 1:2로 다시 지고 있다가 [[이호재(축구선수)|이호재]]의 하드캐리로 3:2 역전승. 2라운드 [[수원 FC]]와의 원정경기에서 전반전 32분 [[제카(축구선수)|제카]]의 패스를 받은이후 팀의 두번째골을 만들어내며 2경기 연속 골로 2 : 1 승리에 기여하는 등 5라운드까지 매 경기 선발 출전하며 포항의 초반 무패 행진에 기여했다. 4월 8일, 6라운드 [[광주 FC]]와의 홈경기에서 교체 투입됐다가 6분 만에 부상으로 재교체되었다. 이 부상으로 햄스트링 15cm 정도 찢어졌고, 복귀 시점은 8월 말에나 가능하다는 진단을 받고 회복에 전념해 7월 초에 러닝을 시작했으나 훈련 도중 또 다시 부상을 당해 복귀가 요원한 상태이다. 10월 20일, 34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와의 홈경기에서 선발명단에 이름이 올라와 6개월만에 복귀전을 가진다. 세컨볼을 선제골을 만들어내며 빅맨 세리머니를 펼쳤지만 오프사이드로 판정되었고 이후 위협적인 공격을 보여주었다. 하프타임에 [[김인성]]과 교체로 아웃 되었다. 10월 24일, [[AFC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3차전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와의 원정경기에서 전반전 22분 역습상황에서 [[김승대]]의 크로스를 그대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전반전 30분 햄스트링 부상으로 [[김인성]]하고 교체아웃 되었다. 이 부상으로 또 다시 시즌 아웃되고 말았다. 2023시즌 포항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 ACL을 합쳐 8경기 3골 0도움. ==== [[포항 스틸러스/2024년|2024 시즌]] ==== [youtube(1KXIW4Je6io)] 3라운드 [[광주 FC]]와의 홈경기에서 후반 28분 [[김인성]]과 교체투입되어 약 5개월 만에 부상 복귀전을 치뤘고, 후반 추가시간 [[이호재(축구선수)|이호재]]의 헤더 패스를 받아 극장골을 만들어 내며 팀의 1:0 승리에 기여했다. 이 득점으로 이날 경기 MOM과 3라운드 베스트11에 선정됐다. 4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원정경기에서 후반전 59분 교체투입 되었고, 후반전 92분 [[이호재(축구선수)|이호재]]의 헤딩 세컨볼을 그대로 극장골을 만들어내며 2경기 연속 결승골로 팀의 2:0 승리에 기여했다. 2경기 연속 경기 MOM과 라운드 베스트11에 선정됐다. 5라운드 [[수원 FC]] 와의 홈경기에서 선발 출전해 [[오베르단]]의 선제골을 어시스트했다. 하지만 팀은 이 선제골을 지키지 못하며 1:1 무승부를 거뒀다. 6라운드 [[대전 하나 시티즌]] 원정에서 후반 17분 교체 투입해 추가시간 2분 박스 안 [[이호재(축구선수)|이호재]]의 패스를 받고 터닝슛으로 역전골을 만들어내면서 팀의 2:1 역전승에 기여했다. 올 시즌 터뜨린 3골 모두 후반 추가시간에 결승골로 득점하며 포항의 선두 질주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활약으로 3월 이달의 선수 최종 4인 후보에 포함됐다. 7라운드 [[FC 서울]] 원정에서 후반 14분 [[김인성]]과 교체 투입했고 후반 추가시간 역습 상황에서 우측면에서 오른발 슛으로 추가골로 '''5경기 연속 공격 포인트'''를 기록, 4:2 대승에 기여했다. 올 시즌 4호골인데, '''모든 득점을 후반 추가시간에 기록'''하는 엄청난 클러치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10라운드 [[강원 FC]] 와의 원정경기에서 선발출장 하였고, 이 경기에서 전반 33분, 후반 7분, 후반 17분에 연속해서 왼발로만 득점하며 자신의 '''프로 데뷔 이후 첫 [[해트트릭]]'''을 기록[* 경기 후 중계 방송사와 한 인터뷰에서 축구하면서 공식경기에서 해트트릭 한 적이 한 번도 없었다고 했다.]했고, 종료 직전에는 4번째 골을 기록할 뻔도 했다. 골대를 맞추면서 골을 기록하진 못했으나 흘러나온 것을 [[이호재(축구선수)|이호재]]가 차넣었다. 팀은 4:2로 승리했다. 정재희는 K리그 1 2024 10라운드 베스트 11, 라운드 MVP에 선정되었다. 2년 만에 라운드 MVP에 선정됐고, 득점 공동 선두에 올랐다. == 우승 == * [[K리그2]] 우승 - 2021시즌, [[김천 상무 FC]] * [[대한축구협회 FA컵]] 우승 - 2021시즌, [[전남 드래곤즈]] * [[대한축구협회 FA컵]] 우승 - 2023시즌, [[포항 스틸러스]] == 개인기록 == * [[K리그2]] 도움왕 - 2019시즌, [[전남 드래곤즈]] * [[대한축구협회 FA컵]] MVP - 2021시즌, [[전남 드래곤즈]] == 플레이 스타일 == 빠른 스피드를 활용해 [[치달]]로 공격을 전개하거나 스루 패스를 받아 득점으로 연결하는 스타일이다. == 여담 == * [[FC 안양]] 최초로 안양 소속 K리그 통산 100경기 출장 기록을 달성한 선수이다. 정재희의 100번째 경기는 안양의 2018 시즌 마지막 홈 경기였는데, [[안양 LG]] 시절부터 사용하던 잔디를 갈아엎고 새 잔디를 깔기 전 마지막으로 치른 경기였다. 즉, 그 잔디에서 안양 소속으로 유일하게 100경기를 뛴 선수인 것. * 안양에서 주축 선수들이 타클럽으로 많이 떠나면서 정재희가 안양에서 에이스로 자리 잡고 있었을 때 안양 팬들은 이 선수를 지키려고 댓글로 못하는 선수다. 또는 유명해지면 안된다는 등 안간힘을 쓰기도 했지만 세 시즌을 치르고 결국 이적했다. * [[대구 FC]]를 상대로 유독 강한 모습을 보여줄 때가 많았다. 2021시즌 FA컵 결승전 2차전에서 1골 1도움을 기록하며 대구의 우승을 저지했었고 포항으로 이적한 다음에도 대구를 상대로 득점한 경우가 꽤나 자주 있어서 대구팬들은 왜 맨날 정재희한테 털리냐며 분노를 표출할 때가 있다. * 외모가 꽤나 귀여운 축(?)에 속해 여성 팬이 은근히 있는 편이다. [[분류:1994년 출생]][[분류:서울시흥초등학교 출신]][[분류:영등포공업고등학교 출신]][[분류:상지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윙어]][[분류:공격형 미드필더]][[분류:2016년 데뷔]][[분류:FC 안양/은퇴, 이적]][[분류:전남 드래곤즈/은퇴, 이적]][[분류:상무 축구단/전역]][[분류:포항 스틸러스/현역]][[분류:K리그2 도움왕]][[분류:코리아컵(축구)/MV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