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정이세}}}'''[br]'''鄭利世'''}}}}}} || ||<-2> [[파일:정이세.jpg|width=100%]] || ||<|2> '''출생''' ||[[1910년]] [[11월 8일]] || ||[[평안북도]] [[용천군]] 양하면 시남동[br](현 [[평안북도]] [[용천군]] 용천읍) || ||<|2> '''사망''' ||[[1997년]] [[7월 16일]] || ||[[서울특별시]] [[강동구]] [[둔촌동]] [[보훈병원|중앙보훈병원]]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654호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다. === 생애 === 정이세는 1910년 11월 8일 평안북도 용천군 양하면 시남동(현 용천군 용천읍)에서 태어났다. 그는 1944년경 일본군에 의해 강제 징집되어 중국 전선으로 보내졌다가 탈영한 뒤 1945년 1월 [[한국광복군]]에 입대하여 제3지대에서 복무하였다. 같은 해 3월 중국 화북지구(華北地區)에서 지하공작대원(地下工作隊員)으로 활약하였으며, 그해 7월 국내정진훈련반원(國內挺進訓練班員)이 되었다. 제3지대 한국광복군 시절, 그는 중국군 제10전구 사령장관부의 일본군의 무장해제 협조 요청에 의하여 변영근(邊榮根)·[[엄일우]]·김만식(金萬植)·김병익(金炳益)·김봉영(金鳳永)·김용희(金龍熙)·김철(金哲)·[[박동환#s-2]]·왕세일(王世一)·이원하(李元河)·이헌일(李憲一)·[[최광성]]·최응세(崔應歲) 등과 함께 파견되었고, 3개조로 편성되어 일본군의 후방을 교란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8.15 광복]] 후 귀국하여 서울에서 조용히 지내다 1997년 7월 16일 서울특별시 강동구 둔촌동 중앙보훈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7071700209138006&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7-07-17&officeId=00020&pageNo=38&printNo=23596&publishType=00010|#]] 대한민국 정부는 1963년 정이세에게 대통령표창을 수여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했다. 그리고 1997년 7월 18일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에 안장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한국광복군/군인]][[분류:용천군 출신 인물]][[분류:1910년 출생]][[분류:1997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