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의열단)]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C001B, #BC0021 20%, #BC0021 80%, #9C001B)" {{{#ffffff '''{{{+1 정률성}}}[br]鄭律成 | Zheng Lüche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blogimg.ohmynews.com/1153408197.jpg|width=100%]]}}}|| ||<|2> {{{#ffffff '''출생'''}}} ||[[1914년]] [[8월 13일]][* 음력 7월 7일]|| ||[[전라남도]] [[광주군]] [br](현 [[광주광역시]]) || ||<|2> {{{#ffffff '''사망'''}}} ||[[1976년]] [[12월 7일]] (향년 62세)||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 || {{{#ffffff '''국적'''}}} ||[[파일:북한 국기.svg|width=2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1948 ~ 1950)}}}[br]→ [[파일:중국 국기.svg|width=28]] [[중화인민공화국]] {{{-2 (1950~1976)}}}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태어난 항일운동가로, [[중국]]에서 [[중국공산당]]에 입당한 후 활동하다가 [[8.15 광복|광복]] 후 [[월북]]했으나 [[6.25 전쟁]] 기간 중에 [[중국]]으로 귀화한 [[조선족]] [[작곡가]]다. == 생애 == 본명은 '정부은(鄭富恩)'으로, [[광주광역시]] 출신이다. 1928년 광주 숭일소학교를 졸업하고 이듬해(1929년) [[전주신흥고등학교|전주신흥학교]]에 입학했는데 1933년 신흥학교를 중퇴하고 [[중화민국|중국]] [[난징시|난징]]으로 건너갔다. 중국으로 건너가 조선혁명간부학교에서 공부하던 중 [[의열단]]에 가입했다. 중국에 머물면서 [[피아노]], [[바이올린]], [[성악]] 등을 공부했다. 이 때 의열단장이자 조선혁명간부학교장이던 [[김원봉]]이 '음악으로 성공하라'는 뜻으로 '율성(律成)'이라는 이름을 지어줬다. 1936년 그는 첫 작품 '오월의 노래'(五月之歌)를 작곡했으며 [[중일전쟁]] 발발 후 난징을 떠나 1937년 10월 [[중국공산당]]의 본부가 있는 [[옌안]]에 도착했다. 1939년 중국 공산당에 가입하고 '[[팔로군 행진곡]]'(현 [[중국인민해방군진행곡]])을 작곡했다. 작곡 활동과 함께 1941년 7월부터 화북조선청년연합회를 비롯해 이듬해(1942년) 12월부터 [[타이항산]]의 화북조선혁명청년학교 등에 소속되어 [[한국독립운동|항일 운동]]을 전개했다는 설이 알려져 있으나, 항일 운동 사실은 객관적으로 증명되지 않았다.[* 2018년, 정뤼청 유족은 정뤼청을 [[대한민국]] [[국가유공자]]로 등록해달라고 신청했다. 당초 유공자 등록을 추진했던 [[문재인 정부]]의 [[국가보훈처]]는 검증 결과 끝내 "활동 내용의 독립운동 성격이 불분명하다"는 사유로 서훈을 부결시켰다. [[https://www.news1.kr/amp/articles/%3f5150205|기사]]] 1944년 4월 다시 옌안으로 돌아온 뒤, 1945년 [[8.15 광복|해방]]을 맞이했다. 해방 후 [[북한]]으로 귀국, [[황해도]] [[해주시|해주]]에서 황해도 도당위원회 선전부장으로 활동했다. 이 때 음악전문학교를 창설하고 인재를 양성했다. 1947년 [[평양시|평양]]으로 들어와 [[조선인민군]] 구락부장을 지냈고, [[조선인민군협주단|인민군 협주단]]을 창단하여 단장이 됐다. [[6.25 전쟁]] 중인 1950년 9월 [[중국]]으로 갔다가, 동년 12월 [[중국 인민지원군]]의 일원으로 북한에 돌아와 전선 위문활동을 했다. 1951년 4월 [[저우언라이]]의 요청으로 다시 중국으로 간 뒤, 1956년 북한에서 [[8월 종파사건]]으로 [[연안파]]가 숙청되는 것을 보고 [[귀화|중국 국적을 얻어]] 정착했다.[* [[중국인]]으로 귀화했기 때문에 [[영어 위키백과]]는 정율성의 [[표준중국어]] 발음의 [[한어병음]] 표기인 Zheng Lücheng으로 그의 이름을 표기한다.] 이후 중국에서 작곡가로 많은 작품을 남겼다. 한편 1966년부터 시작된 [[문화대혁명]] 기간에 [[홍위병]]들의 수많은 협박과 함께 친구들에게서 받은 원고가 모두 수색당해 많은 악보 등이 유실되는 등 시련을 겪었다. 마오쩌둥이 죽고 문화대혁명이 끝난 1976년에 [[베이징시|베이징]] 근교의 한 [[운하]]에서 [[낚시]]를 하던 도중 심장병으로 돌연 쓰러져 62세로 사망했다.[* 1918년생으로 간주할 경우에는 58세.] 사후 1988년에 [[덩샤오핑]]의 명령으로 그가 작곡한 ‘[[팔로군 행진곡]]’이 ‘[[군가/해외#s-2.2.2|중국 인민해방군가]]’로 정식 지정되면서 [[복권]]됐다. 2009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60주년 기념으로 선정된 [[신중국]] 창건 영웅 100인에 이름을 올렸다.[[https://www.yna.co.kr/view/AKR20090917099800069|#]] == 작품 == '[[팔로군 행진곡]](중국 인민해방군 군가)'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옌안|연안]]송' 등 여러 곡들을 작곡했다. * [[팔로군 행진곡]](중국 인민해방군 군가) * 연안송(延安颂) * [[흥안령]]조가(兴安岭组歌) * [[흥안령]]에 [[눈(날씨)|눈]]내리네(兴安岭上雪花飘) * 중조우의(中朝友誼) * [[조선인민군]] 행진곡[* [[조선인민군가]]와는 다른 노래다. 이 쪽은 리범수 작사, 라국 작곡의 노래다. 제목이 비슷해서 그런지 '조선인민군가'도 정률성 작곡으로 잘못 알려져 있는 경우가 많다.] * [[중국인민지원군]] 행진곡 == 정율성 기념 사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yucheng001.jpg|width=100%]]}}}|| ||<:>{{{-1 [[광주광역시]] 남구 정율성로 입구에 있는 정율성 동상}}} || * 생가가 [[광주광역시]] [[남구(광주)|남구]] [[양림동]]에 있다. 그의 이름을 딴 도로명인 '정율성로'가 있다. 양림동 휴먼시아2차 아파트 정문 부근 일대인 이곳에는 정율성을 기념하고 소개하는 표지와 작품 등으로 '정율성거리'가 조성되어 있다.[[https://naver.me/5aqEub10|네이버 지도 거리뷰 - 정율성로]] [[3.1 운동|3.1 만세운동길]]과 붙어있다. [[https://naver.me/Gkkzwqcm|네이버 지도 거리뷰 - 3.1 만세운동길]] * 정율성거리에는 연안송 악보 동판 및 정율성 흉상, 사진, 이력, 키오스크 등 다양한 야외 전시물이 있다. ‘연수요’, ‘평화의 비둘기’, ‘3.1행진곡’, ‘우리는 행복해요’, ‘중국인민해방군 군가’ 등 6곡의 음악을 버튼을 눌러 들을 수도 있다고 한다. [[http://www.grandculture.net/gwangju/gwangsangu/toc/GC60000589#|디지털광주문화대전 - 정율성 거리]]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yucheng002.jpg|width=100%]] [[파일:lyucheng003.jpg|width=100%]]}}}|| ||<:>{{{-1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초등학교의 정율성 대형 벽화 및 정율성 흉상}}} || * [[전라남도]] [[화순군]]에선 정율성이 다녔던 능주초등학교에 건물 한쪽 벽면을 전부 채운 대형 벽화를 그려놓았다. 학교 후문에는 정율성 흉상과 조형물도 설치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3/0003783224?sid=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yucheng004.jpg|width=100%]]}}}|| ||<:>{{{-1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초등학교에 설치된 '정율성 교실'}}} ||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초등학교는 교실 하나를 할애해 정율성 한 사람을 기념하는 "정율성 교실"을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화순군은 2015년 9월 "[[전라남도교육청]]과 함께 정율성 선생이 다녔던 능주초등학교에 그의 어린 시절을 담은 ‘기념 교실’을 이달 말까지 설치키로 했다"고 했다.[[https://m.khan.co.kr/local/Jeonnam/article/201509092135195/amp|#]] 그러나 2022년에도 [[호남대학교]] [[공자학원|공자아카데미]]에서 정율성 교실을 탐방했다는 기사와 사진이 있어[[https://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80874|#]], 수년이 지난 현재도 계속 운영 중임을 알 수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yucheng005.jpg|width=100%]]}}}|| ||<:>{{{-1 화순군이 복원해 건설한 정율성 고향집 }}} || * [[전라남도]] [[화순군]]은 정율성 고향집도 복원해 전시하고 있다. [[https://g.co/kgs/wPwrXv|구글 맵스 - 정율성 선생 고향집]] === [[정율성 역사공원 조성 논란|국내 기념 사업 진행 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율성 역사공원 조성 논란)] == 기타 == * 귀화한 중국인이기 때문에 공식적인 명칭은 [[郑]]律成(zhèng lǜ chéng)이다. 한국어로 읽으면 '''[[정뤼청]]'''. 중국 [[바이두백과]]는 그를 "근대 중국 작곡가"로 소개하고 있다. [[https://baike.baidu.com/item/%E9%83%91%E5%BE%8B%E6%88%90|바이두백과 郑律成]] * [[정두언]] 국회의원의 [[친척]](큰삼촌 뻘)이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038&aid=0000372902|기사]] * 가족으로는 훗날 외교관으로 활동한 딩쉐쑹(丁雪松, 1918~2011)[* 한국명 정설송]과 1941년 결혼하여 딸 정샤오티[* 한국명 정소제.](郑小提, 1943~)를 두었다. * 1989년에 [[김정일]]의 지시로 조선 2·8영화예술촬영소[*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소속의 예술영화촬영소로서, 주로 북한군의 공적을 찬양하는 영화를 제작하고 있다. 1995년에 [[조선인민군]] 창건일이 4월 25일로 변경됨에 따라 '조선 4·25영화촬영소'로 이름이 바뀌었다.]에서 정율성의 생애를 그린 장편영화 《음악가 정률성》 제작에 착수하였다. 1988년 '인민상'을 수상한 오혜영 작가가 시나리오 집필을 맡아 중국에 파견되어 자료를 수집하는 등 3년에 걸쳐 공들여 제작되었으며, 1992년에 개봉되었다. * 2019년, 정율성의 생애를 다룬 [[만화]]가 발간되었다. 제목은 [[https://www.yes24.com/Product/Goods/74028042|《옌안송: 정율성 이야기》]]. [[민중미술|민중미술가]]이자 좌파 성향 [[시사 만화가]]인 [[박건웅]]이 제작했다. 정율성의 딸인 정샤오티가 감사의 인사를 친필로 남겼다. * [[문재인 정부]]가 정율성을 [[국가유공자]]로 [[서훈]]할 것을 추진했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문재인 정부/2017년/12월#s-3.4|2017년 문재인 정부의 중국 국빈방문]] 직후 [[국가보훈처]]가 정율성 유족의 신청을 받고 국가유공자 서훈 절차에 착수했다.[* 문재인은 당시 [[북경대학교|베이징대학교]]에서 연설을 하면서 "광주시에는 중국 인민해방군가를 작곡한 한국의 음악가 정율성을 기념하는 ‘정율성로’가 있다. 지금도 많은 중국인이 ‘정율성로’에 있는 그의 생가를 찾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보훈처 내부에서도 북한에서 지역 선동부장을 맡고 인민군가를 작곡한 정율성을 대한민국 유공자로 추서하는 것은 법에 어긋난다며 난색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율성이 해방 전 중국에서 [[한국 독립운동|항일 운동]]을 했다는 주장도 객관적으로 입증이 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2018년 제3회 독립유공자 제1공적심사위원회 제3분과 위원 회의에서 "활동 내용의 독립운동 성격이 불분명하다"는 사유로 서훈은 부결됐다. [[https://n.news.naver.com/mnews/ranking/article/023/0003783526|#]] [[분류:1914년 출생]][[분류:1976년 사망]][[분류:광주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돌연사한 인물]][[분류:하동 정씨]][[분류:월북한 인물]][[분류:중국으로 귀화한 인물]][[분류:조선족]][[분류:광주숭일고등학교 출신]][[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의열단/단원]][[분류:북한의 군인]][[분류:중국군/군인]][[분류:6.25 전쟁/군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