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대한민국의 교수''' [br] '''{{{+1 정원모}}}[br]鄭元謨'''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정원모 교수.jpg|width=100%]]}}} || || '''출생''' ||[[1931년]] [[7월 31일]] || || '''사망''' ||[[2023년]] [[7월 7일]] (향년 91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연세대학교]] {{{-2 ([[물리학|물리기상학과]] / 학사)}}}[br][[서울대학교]] {{{-2 (물리학 / 박사)}}} || || '''경력''' ||한국물리학회 이사[br]한국물리학회 부회장[br]한국물리학회 편집위원장[br]연세대학교 학생처장[br]한국물리학회 감사[br]한국물리학회 재무이사[br]한국물리학회 평의원[br]연세대학교 물리학과 교수[br]한국물리학회 간사장 || || '''가족''' ||배우자 이영희, 2남2녀 정연숙·정희숙·정진혁·정진용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교수. == 생애 == 부산 기장에서 태어난 고인은 1955년 연세대 물리기상학과(現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1958년부터 연세대 물리학과 강단에 섰다. 그 기간 동안 베타선 검출기(스펙트로메타)를 만들어 핵종을 검출하는 핵물리실험에 몰구했다. 베타선·감마선 검출기를 만드는 쾌거를 달성하기도 했다. 이러한 검출기는 삼중수소를 포착하는 데 필요한 핵심 기술인데 이는 삼중수소가 순수하게 베타선을 방출하기 때문이다. 또한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많이 거론된 삼중수소 등 베타선을 방출하는 물질을 주로 연구했으며,[*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내에 삼중수소가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마선 스펙트로메타 역시 만들어냈다. 이외 '지로코늄-95의 붕괴에 관한 연구'(1973) 등 논문 수십편을 썼고, '현대물리학'(1983), '과학의 개척자들: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1992), '입자와 복사선 검출기'(1993) 등을 번역했다. 그리고 1997년 퇴직할 때까지 핵물리실험 분야에서 많은 제자를 양성했다. == 사망 == [[2023년]] [[7월 7일]] 오전 1시11분께 노환으로 세상을 떠났다. 향년 91세. [[분류:대한민국의 교수]][[분류:1931년 출생]][[분류:2023년 사망]][[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