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약용)] [목차] == ㄱ == * [[경세유표]](경세학[* 현대의 개념으로 보면 국가경영, 사회과학(그 중에서 정치학)에 가깝다.])(1808~1817) == ㄴ == * [[논어고금주]](경학)(1813) == ㄷ == * [[대동수경]](지리)(1814) * [[대학공의]](사서/경학)(1814) * [[다산시문집]](문학) == ㅁ == * [[마과회통]](의학)(1797) * [[모시강의]](경학) *'''[[목민심서]]'''(행정)(1818[* 초고], 1821[* 개정]) * [[민보의]](국방)(1812) * [[매씨서평]](경학)(1810[* 1판], 1834[* 개정판]) * [[맹자요의]](경학)(1814) * [[문헌비고간오]](문헌고증)(1800) == ㅂ == * [[비어고]](국방) == ㅅ == * [[상례사전]](예학)(1811) * [[상례외편]](예학) * [[상서고훈]](경학)(1834) * [[소학주관]](교육)(1810) * [[시경강의보]](경학)(1810) == ㅇ == * [[아방강역고]](역사지리학)(1811) * [[아언각비]](언어학-어원)[* 어원 연구서이다.](1819) * [[아학편훈의]](교육)(1804) * [[악서고존]](음악)(1816) * [[여유당집]](모음집) * [[역삭서언]](의학)(1821) * [[이담속찬]](언어학-속담)[* 정약용의 저서 중 유일하게 조선시대에 간행되었었다.](1820) == ㅈ == * [[주역사전]](경학, 기호학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7466106|이 저서와 관련된 연구서]])(1808) * [[중용강의보]](경학)(1814) * [[중용자잠]](경학)(1814) == ㅊ == * [[춘추고징]](예학)(1812) == ㅎ == * [[흠흠신서]](형법)(1819) == 기타 == * [[열수전서]][* 정약용의 사후 자손들이 저술의 정리를 시도한 것] * [[여유당전서]][* 신조선사에서 정약용의 저서를 수집후 발간하였다.] * [[여유당전서보유]][* 여유당전서에 미처 포함되지 못한 저술들을 모아 엮은 책] * [[정본 여유당전서]][* 다산학술문화재단에서 만든 전집] * [[정약용 간찰]] *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 정약용이 유배지에서 가족과 친지, 제자들에게 보낸 편지를 모아 엮은 책] * [[다산의 제자교육법]] [* 정약용이 자식과 제자,친구들에게 준 증언(贈言)을 엮어낸 책] * [[자찬묘지명]] [[분류:조선의 도서]][[분류:정약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