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 토막글)] [include(틀:역대 고려 왕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고려 선종의 제1왕후[br]{{{+1 정신현비 | 貞信賢妃}}}'''}}} || ||<|2> '''출생''' ||미상 || ||[[이예(고려)|이예]]의 사저 || || '''사망''' ||1079년[* 딸인 경화왕후의 출생년] ~ 1083년[* [[선종(고려)|선종]] 즉위년] 사이로 추정 || || '''능묘''' ||미상 || ||<|4> '''재위기간''' ||'''{{{#670000 고려 국원공비}}}''' || ||? ~ [[1083년]] 이전으로 추정 || ||'''{{{#670000 고려 현비}}}''' || ||미상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부계 [[인천 이씨|인주 이씨]][* 현재는 [[인천 이씨]]. 예전에는 경원 이씨, 인주 이씨 라고도 불렀다. 인천의 과거 지명이 경원(慶源), 인주(仁州)였기 때문이다.][br]모계 [[사성정책|사성]] [[개성 왕씨]] || || '''부모''' ||부친 [[이예(고려)|평장사 이예]] (平章事 金良儉) 모친 상궁 왕씨[* [[왕가도]]의 손녀. [[선종(고려)|선종]]이 상궁(尙宮)의 내직(內職)을 주어 [[인예태후]]의 궁관(宮官)으로 삼고 녹봉을 지급했다.] (尙宮 王氏) || || '''형제자매''' ||{{{#!folding 1남 1녀 중 장녀 [ 펼치기 · 접기 ] [[이공수]](李公壽)[* 이복형제] 정신현비(貞信賢妃)}}} || || '''배우자''' ||[[선종(고려)|선종]] || || '''자녀''' ||{{{#!folding 1녀 [ 펼치기 · 접기 ] 경화왕후(敬和王后)[* [[예종(고려)|예종]]의 제1비]}}} || || '''종교''' ||미상 || || '''거처''' ||국원공부(國原公府) || || '''작호''' ||국원공비(國原公妃) → 현비(賢妃) || || '''시호''' ||'''정신현비(貞信賢妃)''' ||}}}}}}}}} || [목차] [clearfix] == 개요 == [[선종(고려)|선종]]의 제1비. 존호는 '현'(賢). 제11대 [[문종(고려)|문종]] 치세 때의 명신 [[이자연(고려)|이자연]]의 조카 [[이예(고려)|이예]]의 딸이다. == 생애 == 남편 [[선종(고려)|선종]]이 국원공(國原公)일 때, 혼인해 국원공비(國原公妃)라 불렸다. 딸인 [[예종(고려)|예종]]의 제1비 경화왕후(敬和王后)를 낳고 이내 사망해 시호를 '정신'(貞信)이라 했다. [[예종(고려)|예종]] 2년인 1107년 4월 왕이 선종의 제1비인 현비를 선종과 함께 부묘(祔廟)[* 임금의 조종(祖宗)을 모신 사당에 신주를 함께 모시는 일]하려 하였으나 간관(諫官)[* 임금의 잘못을 간(諫, 충고)하는 벼슬아치]이 현비는 선종과 같이 지내던 기간이 짧다고 반대하여 합사하지 못했다. 선종의 제1비이지만 선종 즉위전에 사망하여 서열에 비해 품계가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선종(고려), version=272, paragraph=3)] [[분류:고려의 왕비]][[분류:인천 이씨]][[분류:몰년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