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드라마))] ||<-3> '''[[넷플릭스|{{{#ffffff NETFLIX}}}]]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s-2|{{{#ffffff 시리즈}}}]]'''[br]{{{+1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2023)[br]Daily Dose of Sunshine || ||<-3>{{{#!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드라마) 메인 포스터.jpg|width=100%]]}}}|| ||<-2> '''언어별 제목'''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한국어|{{{#!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4abcbb; font-size: .7em" {{{#ffffff 한국어}}}}}}]]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영어|{{{#!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4abcbb; font-size: .7em" {{{#ffffff 영어}}}}}}]] Daily Dose of Sunshine [[일본어|{{{#!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4abcbb; font-size: .7em" {{{#ffffff 일본어}}}}}}]] 今日もあなたに太陽を ~精神科ナースのダイアリー~[* 오늘도 당신에게 태양을 ~정신과 간호사의 다이어리~] [[중국어|{{{#!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4abcbb; font-size: .7em" {{{#ffffff 중국어}}}}}}]] 精神病房也会迎来清晨 [[태국어|{{{#!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4abcbb; font-size: .7em" {{{#ffffff 태국어}}}}}}]] รับแดดอุ่น กรุ่นไอรัก}}} || ||<-2> '''장르''' ||[[드라마]], [[일상물|일상]], [[인본주의|휴먼]], [[의학 드라마|의학]] || ||<-2> '''공개일''' ||[[2023년]] [[11월 3일]] || ||<-2> '''공개 회차''' ||12부작 || ||<-2> '''러닝 타임''' ||773분 (12시간 53분) || ||<-2> '''제작사''' ||[[SLL#자회사|필름몬스터]] || ||<|3> '''제작진''' || '''연출''' ||[[이재규(영화감독)|이재규]], 김남수 || ||<-1> '''극본''' ||[[이남규(각본가)|이남규]], 오보현, 김다희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작''' ||박철수 || || '''PD''' ||이원희 || || '''촬영''' ||이태오 || || '''미술''' ||[[조화성]] || || '''음악''' ||[[Mowg]], 이은주 || || '''편집''' ||신민경 || || '''의상''' ||고희정 ||}}} }}} }}} || ||<-2> '''원작''' ||[[네이버 시리즈]] - 이라하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 ||<-2> '''출연''' ||[[박보영]], [[연우진]], [[장동윤]], [[이정은(1970)|이정은]] 外 || ||<-2> '''촬영 기간''' ||[[2022년]] [[7월 8일]] ~ [[2023년]] [[1월 11일]] || ||<-2> '''독점 스트리밍''' ||[include(틀:넷플릭스 표시)] [[https://www.netflix.com/kr/title/81572595|▶]] || ||<-2> [[영상물 등급 제도|{{{#fff '''시청 등급'''}}}]]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 15세 이상 관람가}}}]]'''[* (내용정보 표시항목: [[파일:영등위_주제_2021.svg|width=40]][[파일:영등위_약물_2021.svg|width=40]][[파일:영등위_모방위험_2021.svg|width=40]])] || ||<-2> '''링크'''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L1qZqiuec_Sn_GbseIseS407hPOAN3j7|[[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https://instagram.com/netflixk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tflixkr, 크기=22)] ----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pqr-se75wgtCDJysl9OVO0LR4XYXkus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https://instagram.com/netflixkcontent|[[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etflixkcontent, 크기=22)] {{{-3 Netflix K-Content}}} || [목차] [clearfix] == 개요 == || '''안녕하세요! '다시' 좋은 아침입니다!''' ---- [[정신건강의학과]]로 처음 오게 된 [[간호사]] '다은'이 정신병동 안에서 만나는 세상과 마음 시린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휴먼 드라마 || [[2023년]] [[11월 3일]] 공개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동명의 웹툰]]이 원작이다. == 공개 정보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MaeNxPsDm8)]}}}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8vlU3VRuTs)]}}} || || '''▲ 티저 예고편''' || '''▲ 공식 예고편''' ||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드라마) 티저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드라마) 메인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드라마) 스페셜 포스터.jpg|width=100%]]}}} || || '''▲ 티저 포스터''' || '''▲ 메인 포스터''' || '''▲ 스페셜 포스터''' || === 메이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m3NqRDPj85s)]}}}|| || '''▲ 제작기 영상''' || === 콘텐츠 === ||
'''[[파일: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로고.png|height=25]] 콘텐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날짜''' || '''제목''' || '''링크''' || || {{{-1 2023. 11. 03.}}} || {{{-1 당신의 마음을 고쳐드릴게요..💓 정신아 15초 안에 설명하기}}} || [[https://youtu.be/p2BQiwKJcU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1 2023. 11. 07.}}} || {{{-1 이모지 챌린지마저도 힐링인 정신아즈☀️💛}}} || [[https://youtu.be/3mcFTonEil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1 2023. 11. 10.}}} || {{{-1 박보영은 ○○한 사람에게 약하다?👀}}} || [[https://youtu.be/xi-oDfJfbP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1 2023. 11. 11.}}} || {{{-1 이런 것까진 몰랐죠?! TMI 대방출! 정신아즈의 비하인드 코멘터리}}} || [[https://youtu.be/RrHg8Cfp8I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1 2023. 11. 15.}}} || {{{-1 우당탕탕 가족사진 찍는 정신아즈 넷컷 비하인드💛☀️}}} || [[https://youtu.be/dlWPQMpr9l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 }}} || == 시놉시스 == ||
정신건강의학과에 근무하게 된 간호사, 정다은. 정신병동 안의 세상에서 다채로운 이야기를 경험하며 마음 시린 사람들에게 한줄기 빛을 선사한다. || == [[/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드라마)/등장인물)] == 에피소드 목록 == ||
'''[[파일: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로고.png|height=25]] 에피소드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회차''' || '''내용''' || '''러닝 타임''' || || '''1화''' ||'''{{{#4abcbb 아침이 오기 전 새벽이 가장 어두운 법}}}''' ---- {{{-2 정신건강의학과에서 근무를 새로 시작한 간호사 정다은은 아무런 증상이 없어 보이는 오리나를 첫 환자로 맞이하게 된다.}}} || 68분 || || '''2화''' ||'''{{{#4abcbb 회사 가기 싫은 날}}}''' ---- {{{-2 우연히 들은 충격적인 이야기에 다은은 상처를 받는다. 바쁜 업무 중에 갈등이 깊어진 의사팀과 간호사팀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승부를 가린다.}}} || 70분 || || '''3화''' ||'''{{{#4abcbb 숨 쉴 구멍}}}''' ---- {{{-2 정신병동을 방문한 간호 실습생들. 그런데 그중 한 명이 이상한 행동을 보인다. 다은은 뜻하지 않게 절친 송유찬의 비밀을 알게 된다.}}} || 62분 || || '''4화''' ||'''{{{#4abcbb 그 뻔한 희망을 찾기 위해서}}}''' ---- {{{-2 다은이 돈을 훔쳐 갔다며 노발대발하는 환자. 한편, 민들레는 황여환에게 자신이 사는 현실을 보여주기로 한다.}}} || 72분 || || '''5화''' ||'''{{{#4abcbb 인생에서 노란색 경고등이 깜박거릴 때}}}''' ---- {{{-2 다은은 위급한 상황에서 의사 동고윤의 새로운 면을 알게 된다. 선배 간호사 박수연은 육아와 일을 병행하느라 애쓰는 환자에게서 자신의 모습을 본다.}}} || 68분 || || '''6화''' ||'''{{{#4abcbb 어떤 마법사의 하루}}}''' ---- {{{-2 금전 문제로 힘겨워진 들레는 여환과 거리를 둔다. 다은은 퇴원 후 일상으로 복귀해야 하는 환자가 걱정스럽기만 하다.}}} || 69분 || || '''7화''' ||'''{{{#4abcbb 그리고, 우리는 여전히 남겨졌다}}}''' ---- {{{-2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한 후, 동료와 친구들 모두 다은을 걱정한다. 한편, 환자들을 포함한 병원 식구들은 PTSD 치료에 관해 배운다.}}} || 58분 || || '''8화''' ||'''{{{#4abcbb 슬픔의 유통기한}}}''' ---- {{{-2 바쁜 일상 속에서 자신을 돌볼 여유가 없었던 다은. 잠시 쉬면서 마음을 추스리기로 한다. 연애 문제로 고민하는 여환과 고윤은 서로를 이해하게 된다.}}} || 64분 || || '''9화''' ||'''{{{#4abcbb 나는 아픈 간호사입니다}}}''' ---- {{{-2 다시 나타난 엄마를 상대해야 하는 들레. 진단을 받은 후 환자의 입장이 되어 버린 다은은 자신의 상황을 인정하는 게 쉽지 않다.}}} || 52분 || || '''10화''' ||'''{{{#4abcbb 다시 걸어갈 수 있을까?}}}''' ---- {{{-2 다은은 자기 마음을 먼저 챙기는 법을 배워 나가지만 아직은 복직이 두렵다. 그런 다은에게 수간호사가 건네는 진심 어린 말은 병동으로 돌아갈 용기와 깨달음을 준다.}}} || 59분 || || '''11화''' ||'''{{{#4abcbb 아직도 가야 할 길, 그리고 저 너머엔}}}''' ---- {{{-2 업무에 복귀한 다은. 병동에는 다은에 대한 악의적인 소문이 돌고 있다. 들레는 친구들과 시간을 보내면서 자신이 좋아하는 일이 무엇인지 처음으로 깨닫게 된다.}}} || 64분 || || '''12화''' ||'''{{{#4abcbb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 ---- {{{-2 다은의 색다른 아이디어 덕분에 환자 상태가 나아지기 시작한다. 들레는 마음속 열정을 따르고, 유찬은 당당하게 소신을 밝힌다.}}} || 67분 || }}} }}} }}} || == 평가 == [include(틀:평가/TV 프로그램 평점, 로튼토마토=daily_dose_of_sunshine, 로튼토마토_tomato=100, 로튼토마토_popcorn=96,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IMDb=tt26258202, IMDb_user=8.3, IMDb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daily-dose-of-sunshine, 레터박스_user=4.0,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알로시네=33799, 알로시네_presse=, 알로시네_spectateurs=3.3,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키노포이스크=5055773, 키노포이스크_user=8.4, ## 키노포이스크_highlight=display, Filmarks=13112/18052, Filmarks_user=4.2,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35765484, 도우반_user=8.9,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tlGNV67, 왓챠_user=4.1,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17297, 키노라이츠_light=97.41, 키노라이츠_star=4.1,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TMDB=205319, TMDB_user=76, ## TMDB_highlight=display, ## 무비파일럿=daily-dose-of-sunshine, 무비파일럿_user=,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MyDramaList=720737-morning-comes-to-the-mental-ward, MyDramaList_user=8.8, ## MyDramaList_highlight=display, JustWatch=jeongsinbyeongdongedo-acimi-wayo, JustWatch_user=88, ## JustWatch_highlight=display)] == 흥행 == ||<-5> '''{{{#fff 넷플릭스 공식 순위}}}''' || || '''날짜''' || '''전체 순위''' || '''비영어 순위''' || '''시청 시간''' || '''시청수''' || || 2023-10-30(월) ~ 2023-11-05(일) || - || - || - || - || || 2023-11-06(월) ~ 2023-11-12(일) || 10위 || 4위 || 36,400,000시간 || 2,800,000회 || || 2023-11-13(월) ~ 2023-11-19(일) || 16위 || 6위 || 23,500,000시간 || 1,800,000회 || || '''{{{#fff 누적 시청 시간}}}''' ||<-4> '''59,900,000시간''' || || '''{{{#fff 누적 시청수}}}''' ||<-4> '''4,600,000회''' || ||<-5> [[https://www.netflix.com/tudum/top10|{{{#fff Netflix Top 10 집계 기준 }}}]] || || '''[[플릭스패트롤|{{{#fff 플릭스{{{#60a5fa 패트롤}}}}}}]] {{{#fff 순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날짜''' || '''점수''' || '''순위''' || '''1위 국가수''' || || 2023-11-04(토) - 1일 차 || 11점 || 35위 || 0개국 || || 2023-11-05(일) - 2일 차 || 98점 || 17위 || 2개국 || || 2023-11-06(월) - 3일 차 || 80점 || 18위 || 1개국 || || 2023-11-07(화) - 4일 차 || 120점 || 16위 || 1개국 || || 2023-11-08(수) - 5일 차 || 160점 || 13위 || 1개국 || || 2023-11-09(목) - 6일 차 || 170점 || 10위 || 1개국 || || 2023-11-10(금) - 7일 차 || 180점 || 8위 || 1개국 || || 2023-11-11(토) - 8일 차 || 177점 || 8위 || 1개국 || || 2023-11-12(일) - 9일 차 || 121점 || 13위 || 1개국 || || 2023-11-13(월) - 10일 차 || 92점 || 16위 || 1개국 || || 2023-11-14(화) - 11일 차 || 94점 || 15위 || 0개국 || || 2023-11-15(수) - 12일 차 || 94점 || 15위 || 0개국 || || 2023-11-16(목) - 13일 차 || 99점 || 14위 || 1개국 || || 2023-11-17(금) - 14일 차 || 90점 || 13위 || 1개국 || ||<-4> 출처: [[https://flixpatrol.com/|FlixPatrol]] || }}}}}}}}} || == 원작과의 차이점 == * 주인공의 이름이 [[존시나|정시나]]에서 정다은으로 바뀌었다. * 주인공을 포함한 몇몇 등장인물들의 이름이 바뀌었으며, 드라마 오리지널 캐릭터의 비중이 높아졌다. * 주 배경이 명신대학교병원---[[명신대학교|???]]--- 으로 바뀌었다. 또한 9화에서 원작의 배경이었던 하얀병원은 '하얀병원'[* 더 정확한 명칭은 9화에서 등장하는데 의료법인 하얀의료재단 하얀병원(HAYAN GENERAL HOSPITAL)이다.][* 병원 이름이 공백이 잘 없는 걸 생각하면 원작의 병원이 등장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으로 이름이 그대로 나왔는데, 명신대병원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며, 본작의 주 배경인 병원에 비해 내부는 멀쩡하나 건물 외관이 낡았으며, 정신병동 내부마저도 일부 연한 아이보리 컬러를 빼면 병원 이름 그대로 '''모두 하얗다.'''[* 주 병원이 다르게 등장하되 하얀 병원이 따로 등장하며, 일부 환자 이름, 황여환을 빼면 모두 이름이 달라 원작의 스핀오프라 해도 믿을 정도이다.] * 환자였던 거북이의 작중 행적이 조금 달라진다. * 기존 간식을 가지고 몰래 먹던 황여환의 일부 특징은 다른 의사에게 옮겨졌다. == 기타 == * [[이재규(영화감독)|이재규 감독]]과 [[이상희(배우)|이상희]], [[임재혁(배우)|임재혁]], [[유인수]], [[전배수]], [[조달환]], [[김종태(배우)|김종태]], [[김주아(배우)|김주아]]는 《[[지금 우리 학교는(드라마 시즌 1)|지금 우리 학교는]]》 이후로 1년 만에 재회한다. * [[박보영]]과 [[유인수]]는 JTBC 드라마 《[[힘쎈여자 도봉순]]》 이후 6년 만에 재회한다.[* 유인수의 데뷔작이며 단역으로 출연했다.] * [[박보영]]과 [[이정은(1970)|이정은]]은 tvN 드라마 《[[오 나의 귀신님]]》 이후 8년 만에 재회한다. * [[연우진]]과 [[장동윤]]은 OCN 드라마 《[[써치]]》 이후 3년 만에 재회한다.[* 당시엔 부자관계였다] * [[이재규(영화감독)|이재규 감독]]은 촬영하면서 많이 울었다고 한다. 배우가 달래줄 정도였다고.[[https://www.news1.kr/articles/?5217555|기사]] * 드라마에서 송유찬의 부모가 일하는 치킨 가게는 경기도 [[안양시]] 소재의 벨라카우라는 와인바를 빌려 촬영한 곳이다. * 드라마의 배경이 되는 병원은 [[강북삼성병원]]이다. 병원의 특이한 구조와 아기자기한 모습을 드라마 내에서 잘 살려냈다. 보안상 문제가 되는 정신과 병동은 세트촬영으로 추정되고 구내식당은 [[가천대학교]] 학생식당이다. * 작중 설정상 명신대병원의 소재지는 [[경기도]] [[시흥시]] [[배곧신도시]] 일대로 추정된다. 환자 휴게실 창밖으로 [[서해]] 바다와 [[송도국제도시]]의 마천루가 보이는 것을 통해 유추할 수 있다. 들레의 집으로 온 우편물에 적힌 들레의 집 주소 또한 경기도 시흥시이다. * 드라마에서 틈틈히 나오는 학교의 배경은 성남시 분당구의 공립 중학교인 [[분당중학교]]로 추정된다. * 극중 박수연 차지 간호사 역으로 나오는 배우 [[이상희(배우)|이상희]]는 실제 간호사 출신이다. 그래서인지 간호사, 의사들의 리뷰에서 극중 연기가 현실감 있는 말투라는 호평이 많다.[* 이 작품 뿐만 아니라 다른 작품에서도 간호사 역을 많이 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2021~2025))] [[분류:2023년 드라마]][[분류: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분류:웹툰 원작 드라마]][[분류:휴먼 드라마]][[분류:의학 드라마]][[분류:12부작 드라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