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승일(1992))] [목차] == 개인리그 == === [[Sony Ericsson GSL 오픈 시즌 3]] === 64강 첫 데뷔전에서 시즌1 준우승자에다가 시즌2 4강리거인 [[김성제(프로게이머)|김성제]] 선수를 꺾으며 파란을 일으키나 32강에서 [[김남규]] 선수의 변칙적인 [[치즈 러쉬]]에 패배하고만다. === [[Sony Ericsson GSL Jan.]] === 코드 A 32강에서 [[김수호]] 선수를 이기나, 16강에서 [[박성준]] 선수에게 패배한다. === [[2세대 인텔 코어 GSL Mar.]] === 코드 A 32강에서 [[이동녕(프로게이머)|이동녕]] 선수에게 패배하고 예선으로 떨어진다. === [[LG 시네마 3D GSL May.]] === 코드 A 32강에서 [[김샘]] 선수를 이기나, 16강에서 [[김동환(프로게이머)|김동환]] 선수에게 패배한다. === [[LG 시네마 3D 슈퍼 토너먼트]] === 64강에서 [[서기수]] 선수에게 패배하고 탈락한다. === [[펩시 GSL July.]] === 코드 A 32강에서 [[이원표]] 선수를 이기나, 16강에서 [[안호진]] 선수에게 패배한다. === [[펩시 GSL Aug.]] === 코드 A 32강에서 [[마르커스 이클로프]] 선수를 이기나, 16강에서 [[이정훈(프로게이머)|이정훈]] 선수에게 패배한다. 이렇게 1월 리그부터 10월리그 이전까지 쭈욱 [[코드 A]] 근처를 유지했다.(...) 이 정도로 [[코드 A]]에서 오래 살아남으면서 [[코드 S]]로 올라가지 못한 선수는 정승일이 유일무이하다. 이동녕과 다른 점은 이동녕은 언제나 승강전에서 물을 먹었지만 정승일은 그 승강전을 한 번도 겪어보지 못했다는 것. --그런데 정작 승강전은 올라가자마자 뚫었다.-- === [[Sony Ericsson GSL Oct.]] === 그러던 것이 드디어 10월 리그에서 [[송현덕]]을 꺾고 승강전 시드를 확보했다. 이 때 얼마나 기쁜지 [[홍승표(1984)|홍승표]] 감독을 얼싸안고 울기까지 했다. 승격 강등전에서 아무도 승격을 예상하지 않았으나 [[김학수]], [[안홍욱]], [[박진영(게임 해설가)|박진영]] 등의 프로토스 선수들을 잡아내며 [[코드 S]]를 획득했다. === [[Sony Ericsson GSL Nov.]] === 하지만 [[Sony Ericsson GSL Nov.]]에서 [[문성원]]에게 같은 팀킬 조 지명을 당했다. 결국 그 경기는 패배했고, 2경기 역시 같은 팀원인 [[김동원(프로게이머)|김동원]]. 김동원에게도 패하며 같은 팀에게 2연속 팀킬을 당하며 [[코드 A]]로 떨어졌다. 하지만 코드 A 1라운드에서 무소속 선수 김민석을 쉽게 이기고 승격 강등전을 확보한 뒤 2라운드에서 [[황규석]] 선수에게 패배한다. == 팀리그 == [[분류:프로게이머/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