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957, #003876, #003876, #002957);" '''[[조선대학교|{{{#fff 조선대학교 총장}}}]][br]{{{#fff {{{+1 정병휴}}}[br]丁炳烋|jeong byung-hy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정병휴.jpg|width=100%]]}}} || ||<|2> '''출생''' ||[[1923년]] [[3월 3일]][* 아들 [[윤석열]]과 생일이 하루차, 즉 아들을 생일 전날 보았다. [[이명박]] [[전직 대통령|전 대통령]]과 정확하게 10년 차이가 난다. 아들이 태어난 다음 날 29세(세는나이 30살) 생일을 맞이했다. 다만 [[음력]] 생일일 경우 [[양력]]으로는 [[1932년]] [[1월 26일]] 생이고, 족보상에는 [[음력]] [[5월 29일]]([[양력]] [[1931년]] [[7월 14일]])[[https://archive.ph/wMDt2|#]]으로 올라가 있다.][* 음력 [[1931년]] [[11월 11일]]] || ||[[전라남도]] [[영광군]] || ||<|2> '''사망''' ||[[2005년]] [[7월 21일]] (향년 75세) || ||- || || '''본관''' ||[[영광 정씨]] (靈光 丁氏)[* 훈련공파(勳練公派)-선양정공계(선양정公系) 23세 '''병(炳)○''' '''형(炯)○''' 항렬이다.]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정군수, 어머니 정필수[* [[1903년]] [[3월 19일]]~ [[1992년]] [[8월 17일]]. (향년 90세)] || || '''형제자매''' ||4남 4녀 중 장남[* 동생] || || '''배우자''' ||[[최성자]] || || '''자녀''' ||장남 || || '''학력''' ||[[경기중학교]] {{{-2 (졸업)}}}[br][[연세대학교 상경대학]] {{{-2 ([[경제학]] / [[학사]])}}}[br][[연세대학교/대학원|연세대학교 대학원]] {{{-2 ([[경제학]] / [[석사]])}}}[br][[히토쓰바시대학]] 대학원 {{{-2 ([[경제학]] / [[박사]][[수료]])}}} || || '''신체''' ||176cm[* 1994년에 윤석열이 사법연수원을 수료했을 때 기준으로 사진을 보면 178cm인 아들보다 약간 작게 나와 있다. 당시 62세였다는 것을 감안하면 젊었을 때는 170대 후반 내지 180cm였을 것으로 보인다. 아들도 동년배 기준 장신이지만 본인은 동년배 평균보다 상대적으로 더욱 큰 체격이었던 것.], [[B형]] || || '''종교''' ||[[불교]][* 아들 [[윤석열]]은 불교 신자가 아니다.] || || '''경력''' ||[[한양대학교]] [[경제학과]] 조교수[br][[연세대학교 상경대학]] 교수[br][[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 [br][[조선대학교]] [[총장]][br]한국경제학회장[br][[연세대학교]] 응용통계학과 명예교수[br]한국연구원 이사 [br][[윤봉길]]기념사업회 상임이사 ||}}}}}}}}} || 丁炳烋 [[1923년]] [[3월 3일]] ~ [[2005년]] [[7월 21일]]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본관은 [[영광 정씨|영광]](靈光)[* 훈련공파(勳練公派)-선양정공계(善養亭公系) 23세 '''○병(炳)''' 항렬.], 호는 춘당(春堂). 1세대 경제학자로 [[산업조직론]], 특히 [[독과점]]과 공정거래, 공정경쟁 관련 연구의 기틀을 다졌다.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이기도 하다. == 생애 == 1923년 3월 3일 [[전라남도]] [[영광군]]에서 아버지 정군수(丁郡秀, 1903. 10. 5 ~ 1989. 3. 3)와 어머니 [[동래 정씨]] 정필수(鄭筆秀, 1903. 3. 19 ~ 1992. 8. 17)[* 정경조(鄭經朝)의 딸이다.] 사이의 4남 4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42년]] [[경기고등학교|경기중]] 졸업 후 도일, 일본 [[구제고등학교|제8고등학교]] 재학 중 해방을 맞았다. 광복 후 [[경성제국대학|경성대학]] 예과에 편입하였으며, 예과 졸업[* 예과 21회. 예과 동기로 정치학과 동기이기도 한 [[김상하]] 전 삼양 회장 및 법학과로 진학한 김흥한 변호사 등이 있다.] 후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정치외교학부|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였다. [[6.25 전쟁]] 후 [[전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재직 중 유학,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위스콘신 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60년]]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를 거쳐, [[1961년]]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경제학부|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로 옮긴 후 퇴임 시까지 재직하였다. 경제학자로 활동하며 아직 [[일제강점기]] 당시의 기초적인 [[경제학]] 교육에 그쳤던 초기 한국 경제학계에 미국의 최신 [[미시경제학]] 이론을 도입, 교수하였으며, 한국의 [[산업조직론]] 연구 발전에 기여하였다. 특히 경제발전으로 한국 경제가 재벌 중심으로 재편됨에 따라 독과점에 관심을 기울였는데, [[1979년]]에는『한국산업의 독과점구조와 그 규제방안에 관한 연구』를 발표, 이듬해인 [[1980년]]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공정거래법]] 제정의 기반을 제공하였다. [[1981년]]에는 [[기획재정부|경제기획원]] 공정거래위원으로 현실 경제에 참여하였으며, [[1985년]]부터 [[1987년]]까지 [[KDI]] 이사장, [[1988]]년 한국경제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1988년]] 서울대학교 퇴임 이후, [[1992년]]에는 4년 간 [[조선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2005년]] 별세. == 연구 == 전술한 바와 같이, 한국에 현대적인 [[미시경제학]] 연구 흐름을 유입시켰을 뿐 아니라, 경제발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던 [[1960년대]]에 일찍이 독과점, 경쟁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아직 시장경제가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렀던 [[1960년대]] 중반 『독점의 생성과 독점가격』(1965년), 『독점의 이론』(1966년) 등의 저서를 출간하였으며, 1969년에는 재직 중인 [[서울대학교]]에서 [[산업조직론]] 강의를 처음으로 개강하여 2022년 현재로 동명의 강의가 열리고 있다. 아울러, 강단뿐 아니라 현실의 규제정책 설계 및 집행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한국산업의 독과점구조와 규제방안에 관한 연구』(1979년), 『한국산업의 독과점구조와 그 규제방안에 관한 연구』(1979년) 등을 통해 한국 공정거래 관련 법제의 이론적 기틀 제공 및 법제화 이후인 [[1980년대]]에는 직접 정부에 들어가 공정거래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분류:영광군 출신 인물]][[분류:영광 정씨]][[분류:1923년 출생]][[분류:2005년 사망]][[분류:한국의 경제학자]][[분류:상경계 교수]][[분류:대한민국의 교수]][[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전남대학교 재직]][[분류:성균관대학교 재직]][[분류:서울대학교 재직]][[분류:사립대학 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