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민우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삼성 라이온즈|{{{#fff 삼성 라이온즈}}}]] {{{#fff 등번호 54번}}}''' || || [[우동균]][br](2008~2009) || {{{+1 →}}} || '''정민우[br](2010~2011)''' || {{{+1 →}}} || [[정우양]][br](2012~2013) || ||<-5> '''[[삼성 라이온즈|{{{#fff 삼성 라이온즈}}}]] {{{#fff 등번호 43번}}}''' || || [[이우선]][br](2012~2013) || → || '''정민우[br](2014~2016)''' || → || [[장지훈(1997)|장지훈]][br](2017~2021.4.21.) || }}} || ||<-2>
[[파일:external/www.samsunglions.com/A0139_player_img_top(2).jpg|width=100%]] || ||<-2> '''{{{+2 정민우}}}[br]鄭敏佑 | Min-woo Jung''' || ||<|2> '''출생''' ||[[1991년]] [[9월 24일]] ([age(1991-09-24)]세) || ||[[부산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수영초등학교(부산)|수영초]] - [[부산중학교|부산중]] - [[개성고등학교 야구부|개성고]] || || '''신체''' ||177cm, 93kg || || '''포지션''' ||[[포수]] ||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10년/신인드래프트#s-3|2010년 3라운드]] (전체 21번, [[삼성 라이온즈|삼성]]) || ||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2010~2011, 2014~2016) [br] [[의정부 신한대학교 피닉스]] (2018~2019)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삼성 라이온즈]]의 [[포수]]. 삼성 라이온즈의 차세대 주전 포수로 기대되는 선수였으나 1군에 올라오지 못했다. 롤모델은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아베 신노스케]]. 포수에 좌타자는 점이 같다. ~~수비는 닮으면 안 돼~~ ~~이왕에 롤모델로 삼을 거면 포수에 좌타자니까 [[조 마우어|이 선수]]로 하지~~ ---근데 [[조 마우어|얘]]도 이제 1루수라서...[[쟈니 벤치|이 선수]]로 하지!---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대놓고 투수는 즉전감으로 적합한 대졸 선수를 뽑겠다고 공언한 ~~투수 덕후~~ [[선동열]] 감독이 말했던 2010 신인지명에서 3라운드에 지명되었다.[* 원래 스카우트진에서도 지명하려고 했으나 애초 계획보다 상위 라운드에서 지명한 모양. 아무래도 [[김응용]] 당시 삼성 사장의 입김이 있었지 않았나 싶다. 원래 정민우는 중학교 졸업 후 부산고로 진학할 예정이었으나 김응용이 중학교 유망주들의 스카우트에 나서자 개성고로 진학했다. [[길태곤]], [[김주원(1991)|김민식]]도 개성고 유니폼을 입었다. 서울에서 개최하는 4대 메이저 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청룡기, 황금사자기, 봉황대기) 2관왕은 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부산에서 열리는 화랑대기, 광주에서 열리는 무등기 우승에 그쳤다.] 타격 재능이 있어 고교 1학년 때부터 1루수나 지명타자로 출장했고(이 당시는 한 해 위인 [[박동원]]이 주전 포수였다.), 포수치고는 발도 빠른 편이고, 당시 삼성 스카우트진 평가에는 [[조인성(야구)|앉아서 송구가 가능]]할 정도의 강견이라는 평가가 있었지만 177cm라는 신장이 흠이라면 흠이겠다. ~~위의 사진처럼 노안인 것도 단점~~ 여담이지만 고교 시절 사진이 [[진갑용]]을 닮았다. 그래서 삼팬들이 '''리틀 진마미'''라 불렀다. === [[삼성 라이온즈]] === ==== 프로 입단~2014년 ==== 2011 시즌 개막을 앞두고 삼성 홈페이지 선수단 명단에서 이름이 빠졌는데, 개인사정으로 [[임의탈퇴]] 공시되었다고 한다. 이후 이 개인사정은 건강상의 문제로 밝혀졌는데, 건강문제를 해결한 후 군 복무를 마치고 2013년 시즌 후 삼성 라이온즈에 다시 복귀했다. 이로서 삼성 라이온즈는 포수 유망주를 하나 더 얻은 셈이 되었다. 2014년 1차 스프링 캠프 도중 어깨통증 탓에 중도 탈락했다. 그리고 14시즌 내내 재활하며 출장도 없고 언급도 되지 않다가 15년 1군 스프링캠프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 2015년 ==== 재활 끝에 1군 스프링캠프에 합류했으나 별 다른 이야기가 나오지 않았고 2군에서 시즌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이흥련-이정식이 2군 주전으로 뛰어 많은 기회를 얻지 못했고 3월 31일과 4월 1일에 나온 후 1달 가량 쉬다 4월 30일에 복귀했다. 이후 2군의 극심한 타고투저를 감안하면 인상적이지는 않으나, 임의탈퇴와 재활로 가진 공백을 감안하면 나쁘지 않은 성적을 내며 잘 적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시즌 최종 성적은 55경기 121타수 37안타(2루타 7개 3루타 1개 홈런 5개) 15삼진 2사구 13볼넷 .306-.377-.504 OPS .881. 다만 1할대로 저조한 도루저지를 보인 게 흠이지만, 상술했듯이 2011~2013 3년간의 임의탈퇴기간과, 2014년 한 해를 통으로 재활하면서 무려 4년간의 공백이 있었던 점은 참작해야 한다. ==== 2016년 ==== [[권정웅]]과 2군서 주전 포수 경쟁을 펼쳤다.시즌 성적은 68경기 181타수 54안타 3홈런 33타점 17득점 타율 0.298 == 이후 == 2018 시즌부터 독립리그 야구단인 [[의정부 신한대학교 피닉스]]에서 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0년]] [[8월]]부터 [[시흥시]] 소재 '홈그라운드베이스볼센터[[http://www.homegroundbaseball.com/]]' 내 아카데미에서 레슨파트를 담당하고 있으며, 라바유소년야구단 감독을 겸임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삼성 라이온즈/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91년 출생]][[분류:2010년 데뷔]][[분류:2016년 은퇴]][[분류:포수]][[분류:우투좌타]][[분류:삼성 라이온즈/은퇴, 이적]][[분류:개성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