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자유당 원내총무)] [[파일:external/rokps.or.kr/212.jpg|width=150]] 鄭文欽 [[1892년]][* [[http://www.bonghwanews.co.kr/default/article_print.htm?board_data=aWR4JTNEMTI3ODY=%7C%7C&search_items=cGFydF9pZHglM0QxMjQ=%7C%7C|1893년생]]이라는 설이 있고, [[http://db.history.go.kr/id/im_109_20279|대한민국인물연감]]에는 1896년생으로 등재되어 있다.] [[9월 1일]] ~ [[1976년]] [[3월 1일]] (향년 83세)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본관은 [[청주 정씨|청주]](淸州)[* [[http://www.bonghwanews.co.kr/default/article_print.htm?board_data=aWR4JTNEMTI3ODY=%7C%7C&search_items=cGFydF9pZHglM0QxMjQ=%7C%7C|#]]. 26세 '''흠(欽)''' 주(柱) 화(和) 항렬. 아버지 정환규(鄭煥逵)는 25세 '''규(逵)''' 락(洛) 영(永) 항렬.], 자는 윤명(允明), 호는 벽초(碧樵). == 생애 == 1892년 9월 1일 [[경상도]] [[안동시|안동대도호부]][[봉화군|춘양현]] 서벽리(현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봉화)|춘양면]] 서벽리)에서 농부 정환규(鄭煥逵)의 아들로 태어났다. 1908년 의병활동에 참여했다고 하나 확실치는 않으며,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중화민국]]으로 망명하여, 1923년 [[길림성]] [[용정시|연길현 육도구 용정촌]] 동흥중학교(東興中學校)[* 現 용정시제3중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만주 용정에서 독립군에 가담하여 [[시베리아]]에서 활동하기도 했고,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가담하여 연락원으로서 활동하기도 하는 등 독립운동에 가담하다가 [[일제강점기]] 말 귀국하여 [[함경북도]] [[경흥군]] [[금융]]조합장을 지냈다.[[http://db.history.go.kr/id/im_109_20279|#]] [[8.15 광복]] 직후에는 고향에서 [[동아일보]] 및 [[조선일보]] 지국을 얼마간 경영했으며, 청년운동에 가담했다가 곧 정계에 투신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농민총연맹]] 후보로 [[경상북도]] 봉화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대동청년단]] [[배중혁]]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대 국회에서 국회 징계자격위원장을 지냈으며, 1952년 [[자유당]]에 입당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12월 4일 [[이기붕]]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 대신 임시 국회의장직을 수행하였으며, 전원위원장 및 자유당 감찰실장을 지내기도 했다. 한편, 이 시기 [[6.25 전쟁]] 등으로 중단됐던 [[영주역]]-[[봉화역]] 구간에서 [[태백시]] [[철암역]] 구간을 연결하는 철도 공사가 재개되었는데, 철도 공사가 90% 이상 진전된 상황이었는데도 불구, 당시 국회의원 정문흠이 [[영암선]] 철도가 굳이 자신의 고향인 춘양면을 지나도록 설계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대한민국 철도청|교통부 철도국]]에 압력을 넣어 춘양면 면소재지인 의양리에 [[춘양역]]을 설치하여 이곳을 지나가도록 만들었다는 뒷이야기가 전한다. 이 일화는 속담 [[억지춘양]]의 한 유래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1955년 자유당 경상북도당 위원장이 되었으며,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대한농민회 최고위원이 되었다. 1959년에는 67세의 나이로 최고령 자유당 원내총무에 선출되었다. 1960년 [[4.19 혁명]] 이후 [[3.15 부정선거]]를 이유로 구속, 수감되었다. 그리고 1961년 반민주행위자공민권제한법에 의해 공민권을 상실하였다. [[5.16 군사정변]] 후인 1961년 말, 형 면제 조치로 석방되었다. 1966년 [[이재학(1904)|이재학]] 등과 자유당을 재건하여 정책심의회 회장 및 중앙위원회 의장이 되었다. 1976년 3월 1일 오후 3시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서벽리 자택에서 [[노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6030300329207014&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6-03-03&officeId=00032&pageNo=7&printNo=9363&publishType=00020|별세했다]]. == 관련 문서 == * [[정치인/목록]] == 둘러보기 == [include(틀:제3대 국회의원/경상북도)] [include(틀:제4대 국회의원/경상북도)]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2대 국회의원]][[분류:제3대 국회의원]][[분류:제4대 국회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분류:자유당 국회의원]][[분류:봉화군 출신 인물]][[분류:청주 정씨]][[분류:1892년 출생]][[분류:1976년 사망]][[분류:대한민국 국회의장]][[분류:동아일보 관련 인물]][[분류:조선일보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