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사)] ---- [목차] 鄭文 (? ~ 1105) == 개요 == 고려의 인물. 자는 의덕(懿德), 시호는 정간(貞簡). 초계현 출신이다. == 생애 == 아버지 [[정배걸]]이 노년에 본 자식으로, 태어나기도 전에 아버지가 죽어 [[유복자]]로 태어났다. 정문은 15세~16세 되던 해에 벌써 경험 많은 노인처럼 총명했다. 국자감시에 응시해서 「군위민천부(君爲民天賦)」를 지었는데, [[문종(고려)|문종]]이 이를 듣고 칭찬하고 감탄했다. >物如憔悴, 我則施雨露之恩, >만물이 초췌해지면, 나는 곧 비와 이슬 같은 은혜를 베풀 것이고, >俗若頑兇, 我則布雷霆之怒 >풍속이 사나우면, 나는 곧 천둥과 번개 같은 노여움을 보일 것이다. >---- >군위민천부(君爲民天賦). 과거에 급제하고 비서랑이 된 정문은 당시 국원공에 오른 [[선종(고려)|선종]]의 종친부에서 녹사를 지냈다. 1083년 [[순종(고려)|순종]]이 죽고 국원공이 왕으로 즉위하니 정문은 직한림원 겸사문조교로 발탁되고 또 우습유로 전임됐다. 그러나 대간의 간언으로 전중내급사 지제고로 고쳐 임명됐다. 정문이 대간으로 임명되지 못한 것은 정문의 외조부가 수주(水州) 처인부곡(處仁部曲)[*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출신이었기 때문인데, [[부곡]] 출신에 대한 차별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지개성부사로 외직에 나갔다가 개경에 돌아와서 형부원외랑을 지냈다. 숙종 7년(1102)에는 정당문학 관직에 있었는데, 남성시를 감독해 [[문공유]] 등을 급제시켰다. [[숙종(고려)|숙종]] 9년(1104)에는 비서감으로서 추밀원사 최홍사와 함께 [[북송]]에 가서 사은하고 조공했다. 당시 받은 사은품들은 따르던 이들에게 모두 나눠줬고 남은 것으로는 서적을 구입해 돌아가니 송나라 사람들의 칭찬을 들었다. 숙종 10년(1105) 6월 형부상서 정당문학 겸 태자빈객으로 임명되고 11월에 검교사공 예부상서가 더해졌다. 그런데 근무중 병으로 쓰러져 여러 사람에게 들려 집으로 옮겨지더니 곧 병으로 죽었다. 숙종은 내의(內醫)를 보내 진찰하도록 했으나 정문이 곧 죽자, 매우 슬퍼하며 특진 좌복야 참지정사에 추증하고 시호를 내린 뒤 관비로 장례를 치르도록 했다. == 평가 == >정문은 사람됨이 공손하고 검약하며 순박하고 과묵했다. 가계를 관리하지 않아 그 집은 가까스로 비바람을 피할 수 있을 정도였다. 관직에 이르렀을 때는 삼가고 조심했으며, 형조에서 10여년간 종사하며 일찍이 함부로 사람의 죄를 내고 들임이 없었다.[* 文爲人恭儉朴訥. 不事生産, 居室僅庇風雨. 莅官謹愼, 典刑曹十餘年, 未嘗妄出入人罪.] >---- >『고려사』 권95, 정문 열전. == 가족관계 == * 부: [[정배걸]] * 모: 최씨 * '''본인: 정문''' * 처: [[경주 김씨|김씨]] * 아들: 정복공 * 아들: 정복경 * 아들: 정복유 정문은 호부시랑을 지낸 김의선(金義先)의 딸[* 고려사에 의하면 정문의 부인이 아닌 어머니가 부곡 출신이라고 기록되어있고, 초계정씨족보에는 [[경주 김씨]] 벽상공신 김예겸(金禮謙)의 손자이자 태자태보 김주정(金周鼎)의 아들인 호부시랑 김의선(金義先)의 딸이 배우자로 기록되어 있으며, 김의선(金義先)의 손자 김유규(金惟珪, 1095~1158)의 묘지명으로 생몰년대를 어림잡아 보았을 때 일치하므로 바로잡는다.]과 결혼해 세 아들을 뒀다. == 여담 == * 정문은 일찍이 왕의 [[서경(고려)|서경]] 행차를 호종했는데, 서경에 [[기자(중국)|기자]]의 사당을 건립할 것을 요청한 일이 있다. 숙종 7년(1102) 예부에서 기자 사당을 짓고 제사를 지낼 것을 청하는데, 아마 이 즈음의 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사당은 도중에 실전됐는지 한참 뒤인 [[충숙왕]] 때와 [[공민왕]] 때 다시 평양부에 기자 사당을 짓고 제사를 지내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 [[분류:고려의 인물]][[분류:초계 정씨]][[분류:합천군 출신 인물]][[분류:1105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