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정당/외국)] [목차] == [[그리스]] == [include(틀:그리스 의회의 원내 구성)] == [[네덜란드]] == [include(틀:네덜란드 상원의 원내 구성)] [include(틀:네덜란드 하원의 원내 구성)] == [[노르웨이]] == [include(틀:노르웨이 의회의 원내 구성)] == [[덴마크]] == [include(틀:덴마크 의회의 원내 구성)] === [[그린란드]] === [include(틀:그린란드 이나치사르투트의 원내 구성)] === [[페로 제도]] === [include(틀:페로 제도 뢱팅의 원내 구성)] == [[독일]] == [include(틀:독일의 연방상원의원)] [include(틀:독일 연방의회의 원내 구성)] ||<-4>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독일|[[파일:독일 국장.svg|height=45]]]]||[[독일|{{{#fff '''독일연방공화국'''}}}]][br]{{{#fff {{{+1 '''주의회 목록'''}}}}}} ||}}}|| || [[틀: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회의 원내 구성|[[파일:NRW 주의회 로고.png|height=35]][br]{{{#!wiki style="padding: 2px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136 50%, #dd0000 50%); border-radius: 2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fff '''NRW'''}}}}}}]] || [[틀:니더작센 주의회의 원내 구성|[[파일:니더작센 주의회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padding: 2px 3px; background: #dd0000; border-radius: 2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fff '''NI'''}}}}}}]] || [[틀:라인란트팔츠 주의회의 원내 구성|[[파일:RP 주의회 로고.png|height=40]][br]{{{#!wiki style="padding: 2px 3px; background: #000; border-radius: 2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fff '''RLP'''}}}}}}]] || [[틀: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의회의 원내 구성|[[파일:MV 주의회 로고.png|height=35]][br]{{{#!wiki style="padding: 2px 3px; background: #2b58a3; border-radius: 2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fff '''MV'''}}}}}}]] || || [[틀: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회의 원내 구성|[[파일:BW 주의회 로고.png|height=35]][br]{{{#!wiki style="padding: 2px 3px; background: #fcd116; border-radius: 2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000 '''BW'''}}}}}}]] || [[틀:바이에른 주의회의 원내 구성|[[파일:바이에른 주의회 로고.svg|height=30]][br]{{{#!wiki style="padding: 2px 3px; background: #0098d4; border-radius: 2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fff '''BY'''}}}}}}]] || [[틀:베를린 주의회의 원내 구성|[[파일:베를린 주의회 로고.png|height=10]][br]{{{#!wiki style="padding: 2px 3px; background: #e2382a; border-radius: 2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fff '''BE'''}}}}}}]] || [[틀:브란덴부르크 주의회의 원내 구성|[[파일:브란덴부르크 주의회 로고.png|height=30]][br]{{{#!wiki style="padding: 2px 3px; background: #e60000; border-radius: 2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fff '''BB'''}}}}}}]] || || [[틀:브레멘 주의회의 원내 구성|[[파일:브레멘 주의회 로고.png|height=30]][br]{{{#!wiki style="padding: 2px 3px; background: #dd0000; border-radius: 2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fff '''HB'''}}}}}}]] || [[틀: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의회의 원내 구성|[[파일: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의회 로고.png|height=45]][br]{{{#!wiki style="padding: 2px 3px; background: #0039ad; border-radius: 2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fff '''SH'''}}}}}}]] || [[틀:자를란트 주의회의 원내 구성|[[파일:자를란트 주의회 로고.svg|height=40]][br]{{{#!wiki style="padding: 2px 3px; background: #000; border-radius: 2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fff '''SL'''}}}}}}]] || [[틀:작센 주의회의 원내 구성|[[파일:작센 주의회 로고.png|height=30]][br]{{{#!wiki style="padding: 2px 3px; background: #166c23; border-radius: 2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fff '''SN'''}}}}}}]] || || [[틀:작센안할트 주의회의 원내 구성|[[파일:작센안할트 주의회 로고.png|height=30]][br]{{{#!wiki style="padding: 2px 3px; background: #fcd116; border-radius: 2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000 '''ST'''}}}}}}]] || [[틀:튀링겐 주의회의 원내 구성|[[파일:Landtag of Thuringia logo.png|height=30]][br]{{{#!wiki style="padding: 2px 3px; background: #0094cb; border-radius: 2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fff '''TH'''}}}}}}]] || [[틀:함부르크 주의회의 원내 구성|[[파일:함부르크 주의회 로고.png|height=20]][br]{{{#!wiki style="padding: 2px 3px; background: #dd0000; border-radius: 2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fff '''HH'''}}}}}}]] || [[틀:헤센 주의회의 원내 구성|[[파일:헤센 주의회 로고.png|height=30]][br]{{{#!wiki style="padding: 2px 3px; background: #00529f; border-radius: 2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fff '''HE'''}}}}}}]] || * [[독일 해적당]](Piraten) * [[자유 유권자]] * [[남슐레스비히 유권자 연합]] * [[독일 중앙당]] * [[당(독일)]] * [[자유보수개혁당]] * [[생태주의 민주당]] == [[라트비아]] == [include(틀:라트비아 사에이마의 원내 구성)] == [[러시아]] == [include(틀:러시아 연방평의회의 원내 구성)] [include(틀:러시아 국가두마의 원내 구성)] * [[러시아 사회정의연금당]] * [[러시아의 공산주의자들]] * --[[러시아의 애국자들]]-- : [[2021년]] 해체 * [[미래의 러시아]] * --[[민족 볼셰비키당]]-- : [[2007년]] 해체 * --[[소련 공산당]]-- : [[1991년]] 해체 * [[소련 공산당(동음이의어)]] : 소련 공산당 해체 이후 설립된 동명의 정당 * --[[소련 자유민주당]]-- : [[1992년]] [[러시아 자유민주당]]으로 당명 변경 * [[야블로코당]] * [[유라시아당]] == [[룩셈부르크]] == [include(틀:룩셈부르크 의회의 원내 구성)] == [[루마니아]] == [include(틀:루마니아 의회의 원내 구성)] == [[리투아니아]] == [include(틀:리투아니아 세이마스의 원내 구성)] == [[리히텐슈타인]] == [include(틀:리히텐슈타인 의회의 원내 구성)] == [[모나코]] == [include(틀:모나코 의회의 원내 구성)] [[http://parties-and-elections.eu/monaco.html|유럽의 정당과 선거/모나코]] * 모나코 우선!(PRIMO): [[자유주의]], [[유럽회의주의]] * 모나코 비전(HM): 보수주의 * 모나코 연합(UM): 중도주의 == [[몬테네그로]] == [include(틀:몬테네그로 의회의 원내 구성)] == [[몰도바]] == [include(틀:몰도바 공화국 의회의 원내 구성)] === [[트란스니스트리아]] === [include(틀:트란스니스트리아 최고 소비에트의 원내 구성)] * [[트란스니스트리아 공산당]] == [[몰타]] == [include(틀:몰타 의회의 원내 구성)] == [[벨기에]] == [include(틀:벨기에 상원의 원내 구성)] [include(틀:벨기에 연방하원의 원내 구성)] [include(틀:플란데런 의회의 원내 구성)] [include(틀:브뤼셀 의회의 원내 구성)] [include(틀:왈롱 의회의 원내 구성)] [include(틀: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 의회의 원내 구성)] [include(틀:벨기에 독일어 공동체 의회의 원내 구성)] 벨기에의 정당은 연방제 개헌 이후 네덜란드어권 아니면 프랑스어권으로 찢어져 있는 상태다. 그나마 브뤼셀 거주자가 두 진영 중 하나를 선택해서 투표를 할 수 있지만, 나머지 지역에서는 불가능 하다. PVDA/PTB가 양쪽 진영에 있어서 전국 정당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현 체제가 [[흑백논리|A아니면 B]]인 연방제이기 때문에 (창당자와 현 대표 모두 플란데런 사람인 점을 들어) [[https://www.rtbf.be/info/article/detail_et-si-bart-de-wever-et-theo-francken-avaient-presque-raison-philippe-walkowiak?id=10436257|플란데런]]의 정당으로 봐야한다는 견해도 있다. 아래에 있는 정당들은 원내 주요 정당들이며, 벨기에에는 많은 원외 정당들이 있다. * 네덜란드어권 정당 * 극좌: PVDA(벨기에 노동당) * 우파(중도우파 포함): Open VLD(열린 플람스 자민당), CD&V(기독교 민주당과 플람스) * 좌파(중도좌파 포함): Vooruit(앞으로), Groen(녹색당) * 민족주의 정당(중도우파~극우): N-VA(신 플람스 연대), 플람스의 이익 * 프랑스어권 정당 * 극좌: PTB(벨기에 노동당) * 중도: cdh(인문 민주 중도당) * 우파(중도우파 포함): MR(개혁운동) * 좌파(중도좌파 포함): PS(사회당), ecolo(생태당) * 지역주의 정당: DéFI == [[벨라루스]] == [include(틀:벨라루스 국민의회의 원내 구성)]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include(틀: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의회의 원내 구성)] == [[북마케도니아]] == [include(틀:북마케도니아 소브라니에의 원내 구성)] == [[불가리아]] == [include(틀:불가리아 국민의회의 원내 구성)] == [[산마리노]] == [include(틀:산마리노 대평의회의 원내 구성)] == [[세르비아]] == [include(틀:세르비아 국민의회의 원내 구성)] * [[세르비아 급진당]] == [[스웨덴]] == [include(틀:스웨덴 의회의 원내 구성)] == [[스위스]] == [include(틀:스위스 의회의 원내 구성)] == [[스페인]] == [include(틀:스페인 의회의 원내 구성)] == [[슬로바키아]] == [include(틀:슬로바키아 국민의회의 원내 구성)] == [[슬로베니아]] == [include(틀:슬로베니아 국민의회의 원내 구성)] == [[아르메니아]] == [include(틀:아르메니아 국민의회의 원내 구성)] == [[아이슬란드]] == [include(틀:아이슬란드 알팅그의 원내 구성)] == [[아일랜드]] == [include(틀:아일랜드 의회의 원내 구성)] == [[아제르바이잔]] == [Include(틀:아제르바이잔 국민의회의 원내 구성)] == [[안도라]] == [include(틀:안도라 의회의 원내 구성)] == [[알바니아]] == [include(틀:알바니아 의회의 원내 구성)] == [[에스토니아]] == [include(틀:에스토니아 리기코구의 원내 구성)] == [[영국]] ==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영국/정치, top2=스코틀랜드, top3=웨일스)] [include(틀:영국 서민원의 원내 구성)] [include(틀:영국 귀족원의 원내 구성)] [include(틀:스코틀랜드 자치의회의 원내 구성)] [include(틀:웨일스 자치의회의 원내 구성)] * [[자유당(영국)]] * [[자유당(영국, 1989년)]] * [[영국독립당]] === [[북아일랜드]] ===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북아일랜드/정치)] [include(틀:북아일랜드 자치의회의 원내 구성)] 현재 북아일랜드 정부는 아일랜드, 영국, 북아일랜드 정당이 협의하여 만든 [[벨파스트 협정]]에 의해 다시 만들어졌으며 아일랜드와 영국의 공동통치 비슷한 성격을 갖고 있다. 북아일랜드의 정당은 [[벨파스트 협정]]에 따라 연합주의자(U), 민족주의자(N), 기타(O) 중 하나에 속해야 한다. 리더도 벨파스트 협정에 따라 총리(First Minister)와 부총리(Deputy First Minister)로 두 명이다. 연합주의자가 다수이고 민족주의자가 소수이기 때문에 총리는 연합주의자진영에서 부총리는 민족주의자 진영에서 나온다. 이러한 체제는 벨기에의 연방정부 구성과 비슷하긴 하지만 벨기에는 리더가 1명이고 북아일랜드는 두명이라는 큰 차이점이 있다. 두명의 리더를 둔 이유는 [[북아일랜드 분쟁]]의 원인 중 하나인 특정세력의 권력집중과 그로 인해 나오는 차별과 갈등 때문이다. 그래서 벨기에 연방정부보다 무정부 기간이 훨씬 길다. === [[지브롤터]] === [include(틀:지브롤터 의회의 원내 구성)] == [[영국 왕실령]] == === [[건지 섬]] === [Include(틀:건지 행정관 관할구 의회의 원내 구성)] === [[맨 섬]] === [Include(틀:맨 섬 틴월드의 원내 구성)] === [[저지 섬]] === [Include(틀:저지 행정관 관할구 의회의 원내 구성)] == [[오스트리아]] == [include(틀:오스트리아 의회의 원내 구성)] == [[우크라이나]] == [include(틀:우크라이나 최고 라다의 원내 구성)] == [[이탈리아]] == [include(틀:이탈리아 의회의 원내 구성)] == [[조지아]] == [include(틀:조지아 의회의 원내 구성)] === [[남오세티야]] === [Include(틀:남오세티야 의회의 원내 구성)] == [[체코]] == [include(틀:체코 의회의 원내 구성)] == [[코소보]] == [include(틀:코소보 의회의 원내 구성)] == [[크로아티아]] == [include(틀:크로아티아 사보르의 원내 구성)] == [[키프로스]] == [include(틀:키프로스 의회의 원내 구성)] === [[북키프로스]] === [include(틀:북키프로스 공화국의회의 원내 구성)] == [[튀르키예]] == [include(틀:튀르키예 대국민의회의 원내 구성)] == [[포르투갈]] == [include(틀:포르투갈 공화국의회의 원내 구성)] == [[폴란드]] == [include(틀:폴란드 의회의 원내 구성)] == [[프랑스]] == [include(틀:프랑스 의회의 원내 구성)] [include(틀:프랑스의 정당 목록)] 원내에 정당이 많은 편이다. 현 프랑스 의회인 15대 제5공화국 국민의회에는 11개의 정당이 원내에 있다. 정당은 아니지만 성향분류라는 것도 존재하는데 5개의 분류가 원내에 존재한다. 5 분류와 11개의 정당을 합치면 16개의 진영이 원내에 있는 셈이다. 그래서 유럽의회 처럼 뜻이 비슷한 의원들이 모여 교섭단체를 구성한다. 교섭단체는 하원의 경우 정당이나 정당이나 성향과 관계없이 15석 이상을 가지면 구성할 수 있다. == [[핀란드]] == [include(틀:핀란드 의회의 원내 구성)] === [[올란드 제도]] === [include(틀:올란드 의회의 원내 구성)] == [[헝가리]] == [include(틀:헝가리 국민의회의 원내 구성)] == [[유럽의회]] == [include(틀:유럽의회의 원내 구성)]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정당/외국, version=314)] [[분류:유럽의 정당]][[분류:나무위키 정당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