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정귀택}}}'''[br]'''鄭龜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정귀택.jpg|width=100%]]}}} || || '''호적명''' ||정홍택(鄭弘澤) || || '''이명''' ||정경택(鄭敬澤) || || '''본관''' ||[[연일 정씨]][* 문정공파-김제공파 25세 택(澤) 항렬.] || ||<|2> '''출생''' ||[[1921년]] [[2월 9일]] || ||[[충청남도]] [[당진시|당진군]] [[송악읍|송악면]] 오곡리 || ||<|2> '''사망''' ||[[2011년]] [[11월 16일]] (향년 90세) || ||[[서울특별시]]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450호 || || '''상훈''' ||대통령표창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06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921년 2월 9일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현 당진시 송악읍) 오곡리의 빈농가에서 아버지 정운채(鄭雲采)와 어머니 [[광주 안씨]][*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5007|안종화]](安鍾和)의 딸이다.] 사이의 4남 3녀 중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외조부 안종화는 1894년([[고종(조선)|고종]] 31) 식년 [[진사|진사시]]에 3등 390위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c_1894_040013|입격하고]] 같은 해 시행된 식년 [[문과]]에 병과 8위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c_1894_015108|급제한 뒤]] 1905년 비서감 승(秘書監丞)에까지 올랐다. 그러나 그해 체결된 [[을사조약]]의 폐기 및 [[을사오적]]의 주살을 주장하는 상소를 올렸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벼슬을 사직하고 귀향하였다. 이후에는 애국계몽운동 단체인 기호흥학회(畿湖興學會) 등에 가입하여 활동하는 한편, 《국조인물지(國朝人物誌)》 등의 역사서 및 다수의 교과서를 편찬하면서 여생을 보냈던 인물이다. 한편, 정귀택은 1938년 [[인천고등학교|인천공립상업학교]]에 입학하여, 재학 중 일본인 교장의 민족차별에 분노하여 학우들과 함께 오륜조(五輪組)를 조직하여 항일투쟁의식을 고취하였으며, 1940년 [[창씨개명]]에 저항하다가 학교로부터 퇴학 처분을 받기도 했다.[[https://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300774|#]] 인천상업학교에서 퇴학당한 뒤에는 [[한국상업은행|조선상업은행]]에 취직하였다가, [[일본제국]]의 [[진주만 공습]]으로 [[학병]]으로 끌려가게 되자 1943년경 [[경기도]] [[경성부]]에서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960028|송재필]](宋在弼) 등 인천상업학교 졸업생들과 함께 [[학병]]반대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1944년 1월 충청북도 [[영동경찰서]]에 체포되었고, 1944년 1월 10일 정식으로 영장에 의한 구속이 집행되어, 그해 6월 8일 동지들과 함께 대전지방법원 검사국에 송치되었다. 이후 대전형무소에서 갖은 고문 및 취조를 당한 뒤 구금되었다가, 옥중에서 [[8.15 광복]]을 맞았다. 광복 직후 그는 기소중지 처분을 받고 이틀 뒤인 8월 17일 출옥하였다. 출옥 후에는 [[용인시]] [[수지구]]에 거주하다가 2011년 11월 16일 [[서울특별시]]에서 별세하였다. 2006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사후 2011년 11월 19일 그의 유해는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4묘역에 안장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연일 정씨]][[분류:당진시 출신 인물]][[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분류:1921년 출생]][[분류:2011년 사망]][[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