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NCCK 가입 교단 및 가입 기관과 유관 기관)] ---- ||<-2> '''{{{#efbc00 {{{+2 정교회 한국대교구}}}[br]正敎會 韓國大敎區 | Orthodox Metropolis of Korea}}}''' || ||<-2><#FFFFFF><:>[[파일:한국 정교회 대교구.png|width=80%]]|| || '''형태''' ||<:> {{{#000000,#FFFFFF [[정교회]] 대교구}}} || || '''소속관구'''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총대주교청 직할 || || '''주보성인''' || 한국 정교회 24인 수호성인 || || '''교구 설정''' || [[2004년]] [[6월 20일]]{{{-2 ([age(2004-06-20)]주년)}}} || || '''주교좌 ''' || [[서울 성 니콜라스 대성당]] || || '''교구장''' || [[암브로시오스 조그라포스]] 대주교[* 정식직함은 '한국의 대주교, 일본의 대리주교'] || || '''관할구역''' || 대한민국, 북한, 일본[* 일본 정교회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에 의해 자치교회로 선언되었으나 세계총대주교청을 비롯한 다른 정교회들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 || '''교구 현황''' || 신자수 약 2~3천 명(최대 4천 명), 대주교 1명, 사제 9명, [[본당]] 8개 || || '''대교구청 소재'''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18길 43(아현동)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마포구 마포대로 18길 43, 높이=224px, 너비=100%)]}}} || ||<-2> [[https://www.orthodoxkorea.org/%ed%99%88-%ed%8e%98%ec%9d%b4%ec%a7%80/|정교회 한국대교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static1.squarespace.com/SSI_20070529174314_V.jpg|width=100%]]}}}|| || '''{{{#efbc00 한국대교구의 주교좌 성당인 [[서울 성 니콜라스 대성당|{{{#efbc00 성 니콜라스 대성당}}}]]}}}''' || [목차] [clearfix] == 개요 == 정교회 한국대교구(正敎會 韓國大敎區)는 [[대한민국]], [[북한]], [[일본]]을 관할하는 [[정교회]] 교구로서,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직할 교구이다. == 역대 교구장 == [Include(틀:역대 정교회 한국대교구장)] ||<-5> '''{{{#efbc00 역대 정교회 한국대교구장}}}''' || || '''대수''' || '''이름''' || '''재임''' || '''재임기간''' || '''비고''' || || '''초대''' || [[소티리오스 트람바스]] 대주교 || 2004년 6월 20일 ~ 2008년 7월 20일 || 4년 1개월 1일 ||튀르키예 피시디아와 안탈리아의 대주교|| || '''2대''' || [[암브로시오스 아리스토텔리스 조그라포스]] 대주교 || 2008년 7월 20일 ~ || || || == 상세 == 대한민국에서는 교세가 작다는 [[성공회]]보다도 신자 수가 적은 [[그리스도교]] 교파다. 9곳의 [[성당]]과 2곳의 [[수도원]]이 있다. --차라리 [[모스크]]가 더 많다.-- [[http://orthodoxkorea.org/%EB%B3%B8%EB%8B%B9/|한국정교회 대교구 성당과 수도원 소재지]] 위 링크의 리스트를 보면 주로 [[러시아]]나 [[그리스]]와 관계가 깊은 지역에 주로 세워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한국 정교회 성당들은 [[가톨릭]]이나 [[성공회]] 성당에 비교해볼 때[* 가톨릭은 가장 먼저 도입된 그리스도교이니만큼 역사가 오래된 대도시인 [[서울특별시]]와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에 관구가 하나씩 있고 수도권이 강세이긴 하지만 전국적으로 인구 따라 고르게 교구가 나뉘어있다. [[대한성공회]]는 [[서울특별시]]와 [[대전광역시]], [[부산광역시]] 세 곳에 교구가 있다.] 다소 특이하게도 [[인천광역시]]나 [[울산광역시]]에 먼저 성당이 세워져있는데, 이 점은 [[항구]]와 [[조선소]]의 존재가 정교회 확산에 미친 영향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한민국에 선박 수주를 맡기는 거물 선주들 상당수가 [[그리스인]] 선주들이며, 선박에서 일하는 외국인 선원들 중에서는 [[러시아인]]의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규모가 작은 한국정교회는 한동안 다른 나라 정교회에 속했다. 1956년에서 [[1970년]]까지는 미국 대교구, 1970년부터 [[2004년]]까지는 뉴질랜드 대교구 소속으로 이 기간에는 해당 국가의 정교회를 통해야만 콘스탄티노폴리스와 소통할 수 있었다. [[1993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콘스탄티노폴리스 한국정교회 대교구로 격상되었다. 이후 교회 규모의 확대를 인정받아 [[2004년]] 6월 20일부로 세계 총대주교청 직속의 대교구가 되어 콘스탄티노폴리스와 직접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정교회 한국대교구의 초대 교구장으로 그리스 출신 소티리오스 대주교가 착좌하였다. [[그리스인|그리스계]] [[튀르키예인]]인 [[바르톨로메오스 1세|바르톨로메오스 세계 총대주교]]가 네 차례 한국을 방문했다. 첫 방한은 대교구로 격상되고 2년이 지난 [[1995년]]이었다. [[2000년]]에는 방한 기간 중에 60번째 생일을 맞아 한국에서 전통 환갑상을 받기도 했다. [[2005년]] 방한 때에는 직접 정교회 한국대교구 총대주교청 관할 50주년 기념 대영광식을 집전했다. 최근 방한은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812071834001|2018년 12월]]이다. 현재 [[한국]] 내의 신자 수는 대략 2~3천 명(최대 4천 명 예상) 정도이다. 콘스탄티노폴리스 한국정교회의 본산인 [[서울 성 니콜라스 대성당|성 니콜라스 성당]]은 [[서울]] [[마포구]] [[아현동]]에 소재한다. 이 성당은 [[돔]] 양식인데 그리스 정부에서 건물을 지어 주었다. 주택가 속에 있어서 초행길엔 조금 찾기 힘들 수 있다. [[수도권 전철 5호선|5호선]] [[애오개역]]에서 내려서 5분 정도 걸으면 된다. 이 건물이 지어진 부지는 과거 러시아 정교회가 있던 자리를 팔아서 마련한 돈으로 구입한 것이라, 한러 수교 이후 러시아 정교회 측에서 자기들 거니 돌려달라고 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물론 들어줄 리가 없는 소원이라,~~말이 되냐~~ 성 니콜라스 주교좌 성당 바로 아래에 성 막심 성당이 있고, [[러시아인]]들이 아쉬우나마 여기서 러시아어[* 정확히는 교회 슬라브어] 성찬예배를 할 수 있게 했다. [[한국]]은 각 이민자들의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외국인 신자들과 한국인 신자들이 모두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오리엔트 정교회 신자들이 일부 참석하기도 한다. 이 중에는 [[에티오피아]]인들도 가끔 있었으며, 콥트교도들도 있었으나 [[신촌]]에 새로이 콥트 정교회 성모 마리아 성당을 만든 이후엔 나오지 않게 되었다([[콥트 정교회#한국에서의 콥트 정교회|문서]] 참조). 또한 조금은 여러가지 면에서 다른 모습을 보이는 러시아인 교인들을[* 여담으로 [[가톨릭]]은 "총대주교 자리가 문제라면, 자리를 더 이상 안 만들면 되지"라는 간단한 논리로 수위권 문제를 해결했다. 또한 현대 가톨릭의 총대주교 자리는 다른 주교들과 비교했을 때, 실질적으로 큰 권력이 없다.] 위해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에서 고려인 [[테오파니스 김|테오판 김 신부]]를 파견하여 슬라브어 전례를 실시하기도 했었다.[* 참고로 [[테오파니스 김|테오판 김 신부]]가 위에서 말한 모스크바 정교회 대한교구의 교구장 주교이다.] 이 신부가 [[2011년]]까지 봉직하다가 러시아의 [[투바 공화국]]의 주교로 서품되어 콘스탄티노폴리스 정교회 한국대교구를 떠난 이후, 러시아인들을 위한 성직자는 공석이었다가 [[우크라이나]]인 신부가 파견되어 이르고 있다. 2008년부로 현재까지 그리스 출신 [[암브로시오스 아리스토텔리스 조그라포스|암브로시오스]] 대주교가 제2대 한국 교구장으로 재임 중이다.[* 2016년 11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회장으로 선임되었다. 정교회 성직자가 교회협의회 회장을 맡음은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최초라고 한다.] 그 이전에는 초대 교구장인 [[ 소티리오스 트람바스|소티리오스]] 대주교가 첫 그리스 출신 교구장으로서 [[1975년]] 12월 1일부터 [[2008년]] 7월 20일까지 30여 년 이상 한국에서 재임하였다. == 관할구역 == || '''지역''' || '''명칭''' || || [[서울특별시]] || '''[[성 니콜라스 대성당]]'''[* 주교좌성당], 성 막심 성당[* 슬라브인들을 위한 성당이며, 성 니콜라스 대성당의 부속성당이다.] || || [[부산광역시]] || 성모희보성당 || || [[인천광역시]] || [[http://www.orthodoxincheon.or.kr/|성 바울로 성당]] || || [[울산광역시]] || 성 디오니시오스 성당[* 성 니콜라스 대성당에 이어 두 번째로 세워진 비잔티움 양식 성당이다.] || || [[전주시]] || [[https://cafe.naver.com/theotokosjj|성모안식성당]][* 기존의 성당이 있었으나 [[효천지구]] 개발로 인해 철거되고 한동안 인근 상가 건물 한층을 임대해 성당으로 사용하다 기존 성당의 옆자리에 세워진 새 성당으로 되돌아왔다. 새로지어진 현 성당은 정교회 성당으로는 전국에서 세번째, 전주시에서는 [[전동성당|천주교 전동성당]]에 이어 두 번째로 세워진 비잔티움 양식 성당이다.] || || [[완주군]] || 성 안나 성당[* [[전주예술고등학교]]의 부속성당. 전주예고는 정교회에서 설립한 대표적인 미션스쿨이기도 하다.] || || [[춘천시]] || 성 보리스 성당 || || [[파주시]] || 용미리 구세주 부활 성당[* 교회 묘지용 성당 ] || == [[미션스쿨|교육기관]] == [include(틀:학교법인 성 안나 교육재단)] * [[전주예술고등학교]] * [[전주예술중학교]] 같은 기독교 계열인 가톨릭과 개신교의 각 교파와 달리 [[고등교육기관]]인 [[종합대학]]은커녕 성직자를 양성하는 [[신학대학]]도 설치되어 있지 않다.[* 교세나 신자 수가 비슷한 [[기독교한국루터회]]가 산하에 [[루터대학교]]를 두고 있는 걸로 보아서는 의아한 일이다.] 다만 종교 활동과는 무관하게 매 반기마다 [[한국외국어대학교]]의 그리스·불가리아학과와 협력하여 정교회 국가들의 전통 음식을 선보이는 [[http://gb.hufs.ac.kr/gb/3393/subview.do?enc=Zm5jdDF8QEB8JTJGYmJzJTJGZ2IlMkY1ODclMkYyMDEyJTJGYXJ0Y2xWaWV3LmRvJTNGcGFnZSUzRDElMjZzcmNoQ29sdW1uJTNEJTI2c3JjaFdyZCUzRCUyNmJic0NsU2VxJTNEJTI2YmJzT3BlbldyZFNlcSUzRCUyNnJnc0JnbmRlU3RyJTNEJTI2cmdzRW5kZGVTdHIlM0QlMjZpc1ZpZXdNaW5lJTNEZmFsc2UlMjZwYXNzd29yZCUzRCUyNg%3D%3D|바자회]]를 개최하고 있다. == 여담 == * 그리스에서는 선박을 진수할 때 정교회 사제가 축복하는 관습이 있다. 그리스인들이 한국에서 선박 제작을 많이 주문하곤 했는데[* [[정주영]] 회장이 조선소 세우려고 지폐의 거북선 그림으로 영국 은행을 설득했다고 전해지는 전설의 사건에서, 성공에 가장 결정적이었던 것은 [[대한민국 정부]]의 보증과 더불어 [[아리스토틀 오나시스]]의 친척이 보증을 서 준 것이었다.], 특히 그리스 부자(富者)들은 진수식을 할 적에 한국의 최고위 성직자인 소티리오스 대주교를 많이 모셔와 배에 축복을 받았다. 조선소 근처에서 살았거나 근무한 사람들이라면 검은 라손(ράσον)[* 일종의 장삼으로, 가톨릭의 [[수단(의복)|수단]]에 해당하는 옷]을 입고 검은 기다란 사각형 모자인 칼리마프히온(καλυμμαύχιον)에 [[성모 마리아]](παναγία) 목걸이를 착용한 백인 노인이 나뭇가지에 물을 적셔 새로 제작된 배에 뿌리면서 저울 같은 것에 향을 태우는 모습을 볼 기회가 있었을 것이다. 그 백인 노인이 [[아르히만드라이트 소티리오스 트람바스|소티리오스]] 대주교였을 가능성이 높다. * 세계 총대주교청 산하의 정교회이므로 [[정교회 분열]] 당시 대주교가 직접 러시아 정교회를 강하게 비판했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정교회, version=1472, paragraph=5.1.)] [[분류:정교회 한국대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