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 rd1=정광호)]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정광호}}}'''[br]'''鄭光好'''}}}}}}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정광호(1897).jpg|width=100%]]}}} || ||<|2> '''출생''' ||[[1895년]][* 대한민국 헌정회에서는 1897년으로 기재되었다.] [[8월 22일]] || ||[[전라남도]] [[화순군|능주군]] 주내면 내리[br](現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내리) || ||<|2> '''사망''' ||[[1955년]] [[11월 6일]] (향년 60세) || ||[[북한]] || ||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무후선열 위패-215호 || || '''본관''' ||[[정(성씨)|온양 정씨]][* [[https://jnilbo.com/view/media/view?code=2021072816572815951|#]]] || || '''부모''' ||[[아버지]] 정대교|| || '''형제자매''' ||2남 3녀 중 장남|| || '''학력''' ||광주공립보통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사범대학|한성사범학교]] {{{-2 (졸업)}}}|| || '''의원 선수''' ||'''2'''|| || '''의원 대수''' ||[[제헌 국회의원|'''1''']] [[제2대 국회의원|'''2''']]|| || '''서훈'''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정치인]].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95년 8월 22일 전라남도 능주군 주내면 내리(현 화순군 능주면 내리)에서 아버지 정대교의 2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전라남도 광주군 공수방 교촌리(현 [[광주광역시]] [[남구(광주)|남구]] 사동)으로 이주하여 본적을 두었다. 광주공립보통학교(현 광주서석초등학교), [[서울대학교/학부/사범대학|한성사범학교]]를 졸업하고 1917년 능주공립보통학교 훈도로 잠시 근무하다가[[http://db.history.go.kr/search/searchResultList.do?sort=&dir=&limit=20&page=1&pre_page=1&setId=1&totalCount=1&kristalProtocol=&itemId=jw&synonym=off&chinessChar=on&searchTermImages=%E9%84%AD%E5%85%89%E5%A5%BD&brokerPagingInfo=SnUpYrZZuHIxMzHLMdPQRSi0k0mUUpCDsHuCGHyKLMNd0f0h&selectedTypes=&selectedSujectClass=&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9%84%AD%E5%85%89%E5%A5%BD&searchKeywordConjunction=AND|#]], '독립찬가' 등의 노래를 가르치는 등 학생들의 배일사상을 고취한다는 이유로 해임되었다. 이후 [[일본]] [[도쿄]]로 유학하여 [[메이지대학]] 정치경제과에 입학하였다. 메이지대학 정치경제과 3학년에 재학 중이던 1919년 1월, [[최팔용]] 등 조선인 유학생들과 함께 [[2.8 독립 선언]]을 사전에 계획하였으며, [[백관수]] 등과 [[도쿄]]에서 [[김마리아]] 등 조선인 여자 유학생 10여 명에게 2.8 독립 선언에 참여하도록 권유하였다. 그해 2월 2일 도쿄 조선청년독립단 대표로서 2.8 독립 선언서를 휴대하고 귀국하여 [[경기도]] [[경성부]]에서 김범수(金範洙)·[[김기형(1894)|김기형]]·[[박일구]] 등 10여 명과 함께 2.8 독립 선언서 초안을 국내에서 새로 제작하여 배포하기로 하고, 2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에 걸쳐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백암리 김기형의 집에서 선언문을 인쇄하였다. 같은 해 3월, 그는 인쇄된 선언문을 휴대하고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최한영(崔漢泳)·[[김강(1890)|김강]] 등 5명과 함께 독립만세시위를 계획한 뒤, 같은 달 10일부터 13일 사이에 광주시민 2,000여 명을 규합하였다. 그는 규합된 시민을 선도하여 1919년 [[3.1 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하였다. 이로 인해 그해 6월 16일 광주지방법원에서 열린 궐석재판에서 소위 보안법 및 출판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402&evntId=0034991452&evntdowngbn=Y&indpnId=0000022498&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 한편, 그는 일본 경찰의 검거망을 피해 피신하다가 경기도 [[인천광역시|인천부]]에서 밀항선을 타고 [[평안북도]] [[신의주시|신의주부]]를 경유, [[중국]] [[칭다오]]에 며칠간 체류하다가 마침내 [[상하이]]에 도착하였다. 그곳에서 [[프랑스]] [[조계]]에 있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합류하여 [[이동녕]]·[[김구]] 등 임시정부 요인들의 영접을 받았다. 1920년 2월 13일부터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교통부 참사로 근무하다가, 교통부 국장에 올랐으며, 1921년 2월 14일 사임하고 그해 3월 18일 [[임시의정원]] 전라남도 대의원에 선임되어 입법활동에 참여했다. 1921년 9월 동지들과 함께 상해유화학생회(上海留華學生會)를 조직하고 회장에 선임되었다. 1923년 1월 [[국민대표회의]]가 소집되어 개최되자, 그해 6월 20일 창조파의 한 사람으로 [[김규식]]·[[원세훈]] 등 30여 명과 함께 조선공화국(朝鮮共和國)을 조직하였다. 같은 해 9월 [[러시아]]로 가서 [[소련]]에 의지하려다가 1924년 1월 21일 [[블라디미르 레닌]]의 죽음으로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그해 3월 동지들과 함께 중국으로 귀환하였다. 1926년 7월 29일 상하이에서 [[안창호]]·[[조상섭]]·진희창(秦熙昌) 등 10여 명과 함께 대한민국 임시정부 경제후원회를 조직하고 위원으로 활동하다가 1927년 귀국하였다.[[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9975|#]] 귀국 후에는 경성제일약품주식회사 지배인에 취임하였다.[[http://db.history.go.kr/id/hs_001_1929_03_14_0790|#]] 1929년 3월 15일에는 경성부 [[종로1가|종로1정목]](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가]])에 한양자동차상회 [[합자회사]]를 창립하고 대표에 취임하였다.[[http://db.history.go.kr/id/hs_001_1933_04_14_4830|#]] [[8.15 광복]] 후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여 [[한국민주당]] 조직에 참여하였으며, 입당 후 중앙상무집행위원, 조직부장 등을 지냈다. 1947년 8월부터 1948년 5월까지 제3대 [[광주광역시장|광주부윤]]을 지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민주당]] 후보로 [[전라남도]] [[광주광역시|광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경기도]] [[양주시|양주군]]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곧 후보를 사퇴하였다. 그러다가 같은 해 [[6.25 전쟁]] 발발한 직후 납북되었다. 납북인사들은 1953년 휴전이 이뤄졌다. 1955년 11월 북한에서 생을 마감하였다. 1989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을, 이어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으며, [[국립서울현충원]]에 무후선열 위패가 봉안되었다. == [[제헌 국회]] 활동 == * 1948년 6월 1일 UN에 보내는 공함 뿐만 아니라 [[북한|북쪽 동포]]에게도 공함을 보내 화합하자 주장하였다. * 1948년 6월 2일 국회기초위원 15인에 뽑혔다.[* [[장기영(1903)|장기영]],[[전진한]],[[최윤동]],[[이원홍(1903)|이원홍]],[[김약수]],[[김장열]],[[정광호(1897)|정광호]],[[김봉두]],[[배헌]],[[김명동]],[[성낙서]],정구삼,[[이유선(정치인)|이유선]],[[서정희(정치인)|서정희]],[[윤치영]]. ] * 1948년 9월 9일 연호에 관한 법률안을 법제사법위원회에 넘겨 법안을 작성해야 된다 주장하였다. * 1948년 10월 27일 내란행위 특별처벌법 기초의 건을 발의하였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전남 제1선거구([[광주광역시|광주시]]) || '''[[한국민주당]]''' ||<-2> '''무투표 당선''' || ||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제9선거구([[양주시|양주군]] 을)) || [[민주국민당]] ||<-2> 후보 사퇴 || || == 같이 보기 == [include(틀:제헌 국회의원/전라남도)] [각주] [[분류:온양 정씨]][[분류:화순군 출신 인물]][[분류:1895년 출생]][[분류:1955년 사망]][[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광주광역시장]][[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한국민주당 국회의원]][[분류:납북자]][[분류:실종된 인물]][[분류:건국훈장 애국장]][[분류:서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사범대학]][[분류: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