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의 후궁(환조 ~ 연산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ffd400 '''정경궁주 유씨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한제국의 후궁(태조 ~ 고종))]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73679, #403F95 20%, #403F95 80%, #373679); color: #FFD400" '''대한제국 태조의 후궁[br]{{{+1 정경궁주 유씨 | 貞慶宮主 柳氏}}}'''}}}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color: #FFD400" '''조선 태조의 후궁[br]{{{+1 정경궁주 유씨 | 貞慶宮主 柳氏}}}'''}}} || || '''출생''' ||연대 미상 || || '''사망''' ||[[1406년]] 이후 || || '''능묘''' ||미상 || ||<|4> '''직위기간''' ||'''{{{#gold 조선 정경옹주}}}''' || ||[[1398년]] [[1월 25일]] ~ [[1406년]] [[5월 19일]] || ||'''{{{#gold 조선 정경궁주}}}''' || ||[[1406년]] [[5월 19일]] ~ 미상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류(성씨)|고흥 류씨]] || || '''부모''' ||부친 - 유준(柳濬, {{{-3 1321 ~ 1406}}}) || || '''배우자''' ||[[태조(조선)|태조 고황제]] || || '''봉작''' ||정경옹주(貞慶翁主)[br]→ '''정경궁주(貞慶宮主)'''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태조(조선)|태조]]의 후궁. 아버지는 고흥백(高興伯) 유준(柳濬)이며, [[의안대군(이방석)|의안대군 이방석]]의 [[세자빈]] [[현빈 심씨]]의 5촌 고모가 된다.[* 정경궁주의 사촌 오빠 유습(柳濕)의 딸이 심효생(沈孝生)과 혼인을 하여 딸을 두었고, 이 딸이 태조의 8남이자 한때 세자였던 의안대군 이방석과 혼인을 한 것이다. ] == 생애 == 1398년(태조 7) 정경옹주로 봉작되었다. 그녀는 [[신덕왕후]]가 죽고 후궁으로 뽑혀 들어왔는데, 적법한 [[간택]] 절차를 거쳐 선발된 것은 아니었다. 당시 밀직부사였던 유준이 궁인에게 아첨한 끝에 태조에게 딸을 보일 기회를 얻었고, 태조가 그 딸을 보고 마음에 들어하여 후궁이 되었다. 이 덕분에 유준은 밀직부사에서 고흥백으로 벼슬이 높아졌다고 한다.[* 태조실록 13권, 태조 7년 1월 7일 을묘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aa_10701007_001|#]] ] 1406년(태종 6) 옹주에서 궁주로 높아져, 정경궁주가 되었다. 그러나 슬하에 자식을 두지 못하였다. 기록에서 정경궁주로 책봉된 이후의 행적은 확인되지 않는다. [[분류:조선의 후궁]][[분류:고흥 류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