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2 接近性 / Accessibility}}} 접근성이란 최대한의 사용자가 어떠한 제품이나 [[서비스]]등에 접근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정도를 뜻한다. 제품이나 서비스의 접근성이 높으면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접근성이 낮으면 사용자가 해당 제품/서비스를 이용하기에 불편해하거나, 이용하기가 아예 불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 단계에서 사용자의 나이, 지식, 성별, 신체적 특성 등을 고려하게된다. [[진입장벽]]이라고도 한다. 대부분 접근성을 고려하는 설계라고 하면 무조건 장애인을 배려한다는 뜻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반만 사실이다. 소수 이용자들을 흡수하며 이용자 수를 확장하는 이유도 있지만, 다른 큰 이유는 장애인을 위주로 설계를 했을 시 상향된 사용감을 얻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쉬운 예로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사이트의 자막 기능은 청각 장애인을 타켓으로 하지만, 일반 사용자들이 도심지와 같은 시끄러운 환경에서 무음으로 컨텐츠를 즐기는 데에 큰 도움을 준다. 또는 왼쪽 정렬이나 명료한 색대비와 같이 가독성에 관련된 경우, 가장 큰 이득을 얻는 것은 난독증 및 색맹인 사용자들이지만 일반 사용자들에게도 더 나은 가독성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일시적인 불편함은 누구나 겪을 수 있다. 부상으로 몸 일부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손에 많은 물건을 들고 있어 음성 서비스에 의지해야 되는 경우 등을 생각해보자. 이런 이유로 다양한 기업들이 접근성에 중점을 둔 서비스를 설계하고 있다. == [[정보기술]]에서의 접근성 == > 웹의 힘은 그 광범위함에 있다. 장애에 관계 없이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 절대적인 장점이다. > ---- > - [[팀 버너스리]] [[정보기술]]에서는 접근성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이는 크게 두가지 이유를 가지는데, 하나는 사용자의 범위 확대는 곧 서비스 이익의 확대로 돌아오기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기업의 프로젝트 사명이 '모두를 위한' 서비스/어플리케이션인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국 IT기업의 경우 접근성에 대한 명확한 내부 지침이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다. === [[웹 표준]] === 웹을 이용하는 주체([[사람]], [[컴퓨터]](예: [[웹 브라우저]]), [[사물인터넷|사물]] 등 웹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모든 존재) 사이의 기술적 호환성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스펙만을 정의하고 있다. === 정보 접근성 === 접근성의 범위를 웹의 기술 스펙에 한정하는 [[웹 표준]]보다 넓은 개념이다. [[웹 접근성]]에서 [[웹 표준]]이 기술 스펙만을 정의한 '법'이라면 접근성은 시행규칙이다. [[웹 접근성]]의 잘 알려진 조항인 '텍스트 정보가 있는 이미지는 대체 텍스트가 같이 제공되어야 한다'가 여기에 해당한다. 바라보는 범위에 따라 개발도구(예: [[통합 개발 환경|IDE]], [[프로그래밍 언어]], [[마크업 언어]])에서 제공하는 접근성 속성[* 주로 [[HTML]]과 [[XML]] 같은 [[마크업 언어]]가 해당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에서부터, 휴먼 인터페이스([[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스크린 리더]] 등)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하드웨어(예: [[키오스크]])의 접근성까지 포함한다. === 플랫폼별 접근성 === ==== [[iOS]] ==== [[iOS]] 플랫폼에서는 '접근성'을 '손쉬운 사용'으로 부른다. 손쉬운 사용 메뉴에는 터치 동작이 불편한 사람을 위한 스위치 제어, 시력이 낮은 사람을 위한 반전(또는 스마트반전), 대비 증가, 볼드체(굵은) 글씨, 버튼 모양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글자를 읽기 어려운 사람을 위한 스크린 리더인 VoiceOver를 제공한다. 또한, 청각장애인을 위한 모노 오디오 기능이나 소리를 LED 등으로 대체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 [[Android]] ==== Android에서는 접근성이라는 표현을 그대로 사용한다. 터치가 어려운 사람을 위한 스위치 제어, 시력이 낮은 사람을 위한 화면 비율 확대, 텍스트 크기 확대, 돋보기, 대비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앞이 전혀 보이지 않는 사람이나 글자를 읽기 어려운 사람이 TTS로 화면을 읽을 수 있게 지원해주는 모바일 스크린리더, Talkback을 지원한다. ==== [[Windows]] ==== [[https://www.microsoft.com/ko-kr/Accessibility|소프트웨어 및 장치 접근성 | Microsoft]] [[Microsoft]]에서는 [[Windows]]에서 접근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설정과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 내레이터 * 내레이터는 Windows 및 앱을 읽어주고, 화면을 보지 않고도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7개 언어로 사용할 수 있다. 키보드, 컨트롤러 및 터치 장치와 연결해 사용할 수 있다. * 돋보기 * 돋보기를 사용하면 화면의 일부나 전체를 확대하여 단어와 이미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색 반전, 비트맵 다듬기, 로그인 전에 돋보기 시작, 아이콘 접기 등 다양한 설정을 제공한다. 전체화면 / 도킹됨 / 렌즈 등 다양한 보기 모드도 지원한다. * 화면 항목의 더 크게 표시 (돋보기) * 더욱 선명한 색으로 표시 (고대비) *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입력 (화상 키보드) * 바로 가기 키를 누른 상태로 고정 (고정 키) * 키를 반복해서 누른 경우 필요 이상 반복된 누르기 무시 (필터 키) === 관련 기념일 === 대한민국의 경우, 매년 4월 20일, 21일, 22일 순으로 휴일은 아닌 법정기념일이 3일동안 연달아 있는데 각각 [[장애인의 날]], [[과학의 날]], [[정보통신의 날]]이다. 그래서 이 기간을 '정보접근성 기념일'로 부르기도 한다.[[https://blog.naver.com/isc7981/222344346320|#]] == 관련 문서 == * [[건축]] * [[배리어프리]] * [[사용자 경험]] * 유니버설 디자인 * [[wai-aria]] * [[정보격차]] == 외부 링크 == * [[네이버]] [[http://nax.naver.com|온라인 웹 접근성 체험]] * [[https://blog.naver.com/kids1412/222833025143| Unity 게임 접근성 강좌 번역]] [[분류:한자어]][[분류:서비스 디자인]][[분류:웹 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