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문학상]] ||||<:><#FFFFFF>[[파일:젊은작가상.png|width=100%]] |||| [목차] == 개요 == '''젊은작가상'''은 젊은 작가들을 널리 알리자는 취지로 [[문학동네]]에서 [[2010년]]에 제정한 [[문학상]]이다. '''[[등단]] 십 년 이내의 작가''' 작품 중 전년도 1월부터 12월까지 한 해 동안 [[문예지]]를 비롯한 각종 지면[* [[계간지]]와 월간지는 물론. 각종 [[웹진]], 문예지 발표 없이 바로 [[단행본]]으로 묶인 작품들까지 모두 심사 대상이다.]에 발표된 '''신작 중·단편 소설'''을 심사 대상으로 삼는다. 젊은 평론가들로 구성된 선고위원회에서 15편 내외의 본심 대상작을, 문학동네에서 위촉한 심사위원회에서 7편의 수상작을 선정하고, 그중 1편을 대상작으로 최종 결정한다. 수상자들에게는 '''상금 각 700만원과 트로피'''가 수여된다. == 특징 == 한두 명을 수상자로 선정하는 다른 문학상들과는 다르게 다수의 수상자들을 선정하는 것이 특징이며, 다음 연도에도 중복해서 수상이 가능하다[* 다회 수상자로 손보미, 이장욱(4회) [[김금희]], [[김미월]], [[김성중]], [[정용준(소설가)|정용준]], [[최은미]], [[황정은]], 최은영(3회) 강화길, 기준영, [[박상영(소설가)|박상영]], [[백수린]], 윤이형, [[임현]], 정영수, [[정소현]](2회)]. 수상작품집은 젊은 작가들을 널리 알리자는 상의 취지에 따라 출간 후 1년 동안은 특별보급가[* 특별보급가 7,700원. 1년 후에는 적정가인 14,000원에 판매한다.]로 판매한다. 수상작품집의 인세(10%)가 상금을 상회할 경우, 초과분에 대한 인세를 수상자 모두에게 똑같이 나누어 지급한다고 한다. [[이상문학상]]이나 [[동인문학상]] 같은 여타 상에 비해 페미니즘, 퀴어 문학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특히, [[2010년대]] 후반 이후부터는 매 해 수상작 대부분이 여성, 성소수자를 주제로 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독자들의 호불호가 뚜렷이 갈리는 편이다. 참고로 출간 이후로 1년간은 젊은 작가들의 작품을 더 많은 독자가 읽을 수 있도록 '''특별보급가'''로 '''7,700원'''이라는 상당히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게 된다. '''사실상 [[도서정가제]] 이후,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읽을 수 있는 [[책]]'''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저렴한 가격 덕분에 [[책]]을 처음으로 읽어보려는 독자 사이에서는 [[혜자]]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 수상작 == * '''2010년 제1회''' '''{{{#DarkBlue 대상}}} : [[김중혁]]''' 1F/B1[br]'''[[편혜영]]''' 저녁의 구애 ⁝ '''[[이장욱]]''' 변희봉 ⁝ '''[[배명훈]]''' 안녕, 인공존재! ⁝ '''[[김미월]]''' 중국어 수업 ⁝ '''[[정소현]]''' 돌아오다 ⁝ '''[[김성중]]''' 개그맨 ---- * '''2011년 제2회''' '''{{{#DarkBlue 대상}}} : [[김애란]]''' 물속 골리앗[br]'''[[김유진]]''' 여름 ⁝ '''이장욱''' 이반 멘슈코프의 춤추는 방 ⁝ '''[[김사과]]''' 움직이면 움직일수록 이상한 일이 벌어지는 오늘은 참으로 신기한 날이다 ⁝ '''김성중''' 허공의 아이들 ⁝ '''[[김이환]]''' 너의 변신 ⁝ '''[[정용준(소설가)|정용준]]''' 떠떠떠, 떠 ---- * '''2012년 제3회''' '''{{{#DarkBlue 대상}}} : [[손보미]]''' 폭우[br]'''김미월''' 프라자 호텔 ⁝ '''[[황정은]]''' 양산 펴기 ⁝ '''김이설''' 부고 ⁝ '''[[정소현]]''' 너를 닮은 사람 ⁝ '''김성중''' 국경시장 ⁝ '''[[이영훈]]''' 모두가 소녀시대를 좋아해 ---- * '''2013년 제4회''' '''{{{#DarkBlue 대상}}} : 김종옥''' 거리의 마술사[br]'''이장욱''' 절반 이상의 하루오 ⁝ '''김미월'''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 ⁝ '''황정은''' 上行 ⁝ '''손보미''' 과학자의 사랑 ⁝ '''정용준''' 당신의 피 ⁝ '''[[박솔뫼]]''' 우리는 매일 오후에 ---- * '''2014년 제5회''' '''{{{#DarkBlue 대상}}} : 황정은''' 상류엔 맹금류[br]'''[[조해진(소설가)|조해진]]''' 빛의 호위 ⁝ '''[[윤이형]]''' 쿤의 여행 ⁝ '''[[최은미]]''' 창 너머 겨울 ⁝ '''기준영''' 이상한 정열 ⁝ '''손보미''' 산책 ⁝ '''[[최은영]]''' 쇼코의 미소 ---- * '''2015년 제6회''' '''{{{#DarkBlue 대상}}} : [[정지돈]]''' 건축이냐 혁명이냐[br]'''이장욱''' 우리 모두의 정귀보 ⁝ '''윤이형''' 루카 ⁝ '''최은미''' 근린 ⁝ '''[[김금희]]''' 조중균의 세계 ⁝ '''손보미''' 임시교사 ⁝ '''[[백수린]]''' 여름의 정오 ---- * '''2016년 제7회''' '''{{{#DarkBlue 대상}}} : 김금희''' 너무 한낮의 연애[br]'''기준영''' 누가 내 문을 두드리는가 ⁝ '''정용준''' 선릉 산책 ⁝ '''[[장강명]]''' 알바생 자르기 ⁝ '''김솔''' 유럽식 독서법 ⁝ '''[[최정화]]''' 인터뷰 ⁝ '''오한기''' 새해 ---- * '''2017년 제8회''' '''{{{#DarkBlue 대상}}} : [[임현]]''' 고두(叩頭)[br]'''최은미''' 눈으로 만든 사람 ⁝ '''김금희''' 문상 ⁝ '''백수린''' 고요한 사건 ⁝ '''강화길''' 호수-다른 사람 ⁝ '''최은영''' 그 여름 ⁝ '''천희란''' 다섯 개의 프렐류드, 그리고 푸가 ---- * '''2018년 제9회''' '''{{{#DarkBlue 대상}}} : [[박민정(소설가)|박민정]]''' 세실, 주희[br]'''임성순''' 회랑을 배회하는 양떼와 그 포식자들 ⁝ '''임현''' 그들의 이해관계 ⁝ '''[[정영수(소설가)|정영수]]''' 더 인간적인 말 ⁝ '''[[김세희]]''' 가만한 나날 ⁝ '''최정나''' 한밤의 손님들 ⁝ '''[[박상영(소설가)|박상영]]''' 알려지지 않은 예술가의 눈물과 자이툰 파스타 ---- * '''2019년 제10회''' '''{{{#DarkBlue 대상}}} : [[박상영(소설가)|박상영]]''' 우럭 한 점 우주의 맛[br]'''김봉곤''' 데이 포 나이트 ⁝ '''김희선''' 공의 기원 ⁝ '''백수린''' 시간의 궤적 ⁝ '''이미상''' 하긴 ⁝ '''이주란''' 넌 쉽게 말했지만 ⁝ '''정영수''' 우리들 ---- * '''2020년 제11회''' '''{{{#DarkBlue 대상}}} : 강화길''' 음복(飮福)[br]'''최은영''' 아주 희미한 빛으로도 ⁝ --'''김봉곤''' 그런 생활-- ⁝ '''이현석''' 다른 세계에서도 ⁝ '''[[김초엽]]''' 인지 공간 ⁝ '''[[장류진]]''' 연수 ⁝ '''장희원''' 우리(畜舍)의 환대 ---- * '''2021년 제12회''' '''{{{#DarkBlue 대상}}} : 전하영''' 그녀는 조명등 아래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br]'''[[김멜라]]''' 나뭇잎이 마르고 ⁝ '''김지연''' 사랑하는 일 ⁝ '''[[김혜진]]''' 목화맨션 ⁝ '''[[박서련]]''' 당신 엄마가 당신보다 잘하는 게임 ⁝ '''[[서이제]]''' 0%를 향하여 ⁝ '''한정현''' 우리의 소원은 과학 소년 ---- * '''10주년 특별판 [* 젊은작가상 10주년을 기념해 수상 작가들이 추천한 7편의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 '''편혜영''' 저녁의 구애 (제 1회) ⁝ '''김애란''' 물속 골리앗 (제 2회) ⁝ '''손보미''' 폭우 (제 3회) ⁝ '''[[이장욱]]''' 절반 이상의 하루오 (제 4회) ⁝ '''[[황정은]]''' 상류엔 맹금류 (제 5회) ⁝ '''정지돈''' 건축이냐 혁명이냐 (제 6회) ⁝ '''강화길''' 호수-다른 사람 (제 8회) 여담으로 특별판에는 대상을 받지 못한 작품들이 더 많이 수록되어 있다. ---- * '''2022년 제13회''' '''{{{#DarkBlue 대상}}} : 임솔아''' 초파리 돌보기[br]'''[[김멜라]]''' 저녁놀 ⁝ '''[[김병운]]''' 기다릴 때 우리가 하는 말들 ⁝ '''김지연''' 공원에서 ⁝ '''김혜진''' 미애 ⁝ '''서수진''' 골드러시 ⁝ '''[[서이제]]''' 두개골의 안과 밖 ---- * '''2023년 제14회''' '''{{{#DarkBlue 대상}}} : 이미상''' 모래 고모와 목경과 무경의 모험[br]'''[[김멜라]]''' 제 꿈 꾸세요 ⁝ '''성혜령''' 버섯 농장 ⁝ '''[[이서수]]''' 젊은 근희의 행진 ⁝ '''정선임''' 요카타 ⁝ '''함윤이''' 자개장의 용도 ⁝ '''현호정''' 연필 샌드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