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DomineeringObsequiousActuallyCrate, 합의사항1=가상 사례는 등재 금지하고 현실 사례 예시는 근거 신뢰성 7순위 이상의 사례만 등재)]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제목의 숙어적 의미로 인해 전화위복이라고 불리는 노래, rd1=blessing in disguise )] ||<-4> '''[[고사성어|{{{#white 고사성어}}}]]''' || || {{{+5 '''[[轉]]'''}}} || {{{+5 '''[[禍]]'''}}} || {{{+5 '''[[爲]]'''}}} || {{{+5 '''[[福]]'''}}} || || 구를 '''전''' || 재앙 '''화''' || 할 '''위''' || 복 '''복''' || [목차] == 개요 == 재앙이 오히려 복이 되어 돌아오다. 전국 시대 합종책으로 6국(國)([[한(전국시대)|한]], [[위(전국시대)|위]], [[조(전국시대)|조]], [[연(춘추전국시대)|연]], [[제(춘추전국시대)|제]], [[초(춘추전국시대)|초]])의 임금을 돕는 일을 겸임했던 종횡가 [[소진(전국시대)|소진]]은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옛날에 일을 잘 처리했던 사람은 '''\'화를 바꾸어 복이 되게 했고\' '''실패한 것을 바꾸어 공이 되게 했다. 어떤 불행한 일이라도 끊임없는 노력과 강인한 의지로 힘쓰면 불행을 행복으로 바꾸어 놓을 수 있다는 말이다. == 유의어 == *[[고진감래]](苦盡甘來) * 반화위복(反禍爲福) * 새옹득실(塞翁得失) * 새옹위복(塞翁爲福) * [[새옹지마]]: 전화위복의 사례도 포함하나 반대로 행운이 불행으로 변하는 경우에도 쓸 수 있다. * 화전위복(禍轉爲福) * [[호사다마]](好事多魔): 역방향이기에 아래 반의어에도 있다. * ~~[[그레샴의 법칙|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 원래는 전혀 다른 뜻인데 [[문맥을 무시한 인용|전화위복의 유의어로 오용하는 사례]]. * [[오히려 좋아]] == 반의어 == * 방향이 반대 * 호사다마(好事多魔): 복이 재앙으로 돌아올 수 있음. 변수가 많아 예측이 어렵다는 맥락에서는 전화위복과 뜻을 같이 한다. * 방향이 일직선 * 화불단행(禍不單行): 재앙이 오면 또 다른 재앙이 뒤따름.[* 여기서 재앙을 복으로 바꾸면 일범풍순(一帆風順)이다.] == 기타 == * 제네더 질라의 노래 [[분류:고사성어]][[분류:엔하계 위키/특징적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