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료과 || [[산부인과]] || || 관련증상 || 무통증성 질출혈, 양막파수 || '''Vasa Previa''' [[파일:external/www.ourangelmatthew.com/pic_vasaprevia.gif]] 전치혈관([[前]][[置]][[血]][[管]])은 태아의 혈관(fetal vessels)이 내 자궁경관부 뼈(internal cervical os)를 가로질러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경우, [[탯줄]](umbilical cord)의 피막부착(velamentous insertion)이나 부태반(succenturiate placenta)이 [[태반]]과 붙어버리면서 발생하게 된다. 만일 이 혈관이 파열할 경우, 급작스러운 출혈로 인해 태아에게 쇼크가 발생하여 사망에 이르게 되는 심각한 질병이다. 임신 20주 후에 발생할수 있는 하혈(vaginal bleeding)의 원인 중 하나로, 중요한 점은 이 경우 초음파검사를 시행하기 전 까지 절대 질경(speculum) 검사를 하지 않아야 한다. 만일 하혈이 임신 36주 이후에 보여질 경우, 출산(deliver)을 유도하게 된다. 임신 20주 후에 하혈이 발생하는 등의 비슷한 질병으로 [[전치태반]](placenta previa), [[유착태반]](placenta accreta), [[태반조기박리]](abruptio placenta) 및 [[자궁파열]](uterine rupture)이 있다. 증상은 전형적으로 양막파수(rupture of membrane)와 무통증성 질출혈(painless vaginal bleeding)이 발생한 후, 태아의 서맥(bradycardia)이 보여지게 된다. 진단은 도플러법-초음파검사(Doppler)를 통해 혈관이 자궁경관부 내에 발견될 경우 확진하게 된다. [[다태 임신]](multiple gestation)과 관련성이 보여진다고. 전치혈관이 진단될 경우 그 즉시 [[제왕절개]]를 시술하게 된다. [[분류:질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