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북 현대 모터스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00px-Aux._field_of_Jeonju_World_Cup_Stadium.jpg|width=100%]]}}} || ---- ||||<:> [[전북 현대 모터스 B|{{{#ffde00 {{{+5 전북 현대 모터스 B}}}}}}]] || |||| '''{{{#034f36 {{{+4 전주월드컵경기장 보조경기장}}}[br]JEONJU WORLD CUP AUXILIARY STADIUM}}}''' || || '''애칭''' || '''[[전주성|소전주성]](小全州城)''' || || '''개장''' || [[2001년]] [[11월 8일]] || || '''소재지'''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기린대로]] 1055 ([[조촌동(전주)|반월동]] 763-1번지) || || '''홈 구단''' || [[전주시민축구단]] (2021)[br][[전북 현대 모터스 B|{{{#034f36 '''전북 현대 모터스 B'''}}}]] (2022) || || '''형태''' || [[종합 운동장]] || || '''좌석 수''' || 546석 || || '''수용 인원''' || 6,400명 || || '''표면''' || [[천연 잔디]] 축구장 1본[* 102x66m][br][[우레탄]] 트랙 8본[* 400m] || || '''관리 주체''' || 전주시설공단 [[https://www.jjss.or.kr/index.9is?contentUid=ff8080816c5f9de6016cb2a02452004c| ]] || || '''시공사''' || [[성원건설]] | [[동부건설]] | [[쌍용건설]]] || ||<-2> [[http://www.jblifesports.or.kr/facility/facility_search_view.asp?location1=%EC%A0%84%EC%A3%BC%EC%8B%9C&facility_id=F2012101800818&page=22|[[파일:전라북도 휘장.svg|width=17]]]]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전주월드컵보조구장, 너비=100%, 높이=225px)]}}}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라북도]] [[전주시]]에 소재한 [[종합 운동장]]으로 [[전주월드컵경기장]]의 보조 구장이다. == 역사 == [[2022년]]부터 [[K4리그]]에 참가하는 [[전북 현대 모터스]]의 [[B팀]]인 [[전북 현대 모터스 B]]의 홈경기를 1년 동안 이곳에서 개최했다. 2023년 3월 전후로 철거를 개시했다. 인근 부지에 동명의 시설을 건설할 예정이다. == 미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주월드컵경기장 야구장)] [[http://www.haeahn.com/ko/project/detail.do?prjctUseSeq=2&addr=&prjctServiceSeq=&prjctListSeq=0&prjctSeq=2698&searchKeyword=&searchCondition=|해안건축의 새 전주종합경기장 조감도]] 노후화된 [[전주종합경기장]]을 대신하게 될 전주 스포츠타운 개발 프로젝트가 이 부지에서 실현될 예정이다. 당초에는 현재 본부석과 잔디 관중석만 있는 본 경기장 주변에 정식 관중석을 증축해 [[전주종합경기장]] 주경기장을 대신하는 주경기장을 이곳으로 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전주시가 계획을 일부 바꿔서 현재 보조경기장 위치에 야구장을 짓고 월드컵 골프장 아래 부지에[* 장동주유소와 그 주변의 공터가 해당된다.] 주경기장과 보조경기장, 실내체육관을 함께 짓는 쪽으로 경기장 배치 계획을 확정했다. 이에 따라 오는 2024년 현재의 보조경기장 자리에는 8000석 규모의 야구장이 들어서고 보조경기장은 추후 새로 들어설 예정이다. 추후 전북 현대가 B팀의 경기를 보조경기장에서 치르는 방안을 검토 중인 만큼 B팀의 원활한 경기 진행을 위해서는 새로운 보조경기장의 조성이 먼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행히 보조경기장 부지에는 특별한 장애물이 없고 이 땅에 대한 보상 절차도 끝났으며 대규모 관중석도 필요치 않은 경기장이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보조경기장 공사를 끝낼 수 있다. 보조경기장 자리에 들어서는 전주 야구장은 추후 전주 연고 프로야구단 유치의 가능성에 대비해서 [[울산 문수 야구장]]처럼 2만 석까지 증축이 가능하도록 설계할 예정이라고 한다. 다만 구단 연고지역의 거주 인구 하한선을 100만명으로 두고 있는 KBO의 기준을 고려하고 60만명대 중반에서 좀처럼 늘어나지 못하고 있는 전주의 인구 증감 상황을 고려한다면 전주 연고 프로야구단 유치 가능성은 높지 않다. 따라서 야구장이 들어선다고 해도 [[롯데 자이언츠]]의 [[울산 문수 야구장]], [[삼성 라이온즈]]의 [[포항 야구장]], [[한화 이글스]]의 [[청주종합운동장 야구장|청주 야구장]]처럼 [[KIA 타이거즈]]의 일부 홈경기를 분산 개최하는 선에서 프로야구 경기 유치가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전주 연고 구단의 제1 홈구장까지는 못 되더라도 KIA의 [[중립구장 경기|광역 연고권 홈경기]]를 유치할 가능성은 매우 높다. 과거 타이거즈는 1982년부터 1989년까지 [[전주종합운동장 야구장|전주 야구장]]에서 [[해태 타이거즈]]의 홈경기를 분산 개최한 적이 있고 2001년부터 2013년까지 [[월명 야구장|군산 월명 야구장]]에서 [[KIA 타이거즈]]의 홈경기를 치른 바 있다. 전북 지역 연고팀은 없지만 여전히 전북 지역에 타이거즈 팬들이 많이 있고 타이거즈의 역사에서 전북이 차지하는 비중이 꽤 큰 만큼[* 1990년대 이후로 들어와서는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광주일고]], [[광주동성고등학교 야구부|광주동성고]], [[광주진흥고등학교 야구부|광주진흥고]], [[화순고등학교 야구부|화순고]], [[순천효천고등학교 야구부|순천효천고]] 등 광주·전남지역 출신 선수들이 타이거즈의 로컬 보이로 활동하고 있지만 1982년 해태 창단 당시에는 [[군산상업고등학교 야구부|군산상고]]가 팀의 핵심이었다. 타이거즈 왕조의 핵심 역할을 했던 선수들 중에도 [[김봉연]], [[김준환]], [[김성한]], [[김일권]], [[조계현]] 등 군산상고 출신 선수들이 유독 많았다.] 전주 홈경기 유치의 당위성은 충분하다. == 교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주월드컵경기장, 문단=4)] == 관련 문서 == * [[종합 운동장]] [[분류:전주월드컵경기장]][[분류:전라북도의 경기장]][[분류:대한민국의 축구장]][[분류:보조 경기장]][[분류:덕진구의 건축물]][[분류:전북 현대 모터스 B]][[분류:2001년 건설]][[분류:2023년 해체]][[분류:2026년 건설]]